[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

 1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1
 2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2
 3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3
 4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4
 5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5
 6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6
 7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7
 8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8
 9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9
 10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10
 11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11
 12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12
 13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13
 14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14
 15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15
 16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16
 17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17
 18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18
 19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19
 20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콘텐츠] 흥부와 놀부 고전문학콘텐츠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들어가면서


2. 사례분석
사례 1-①.고전과 대중가요와의 만남
사례 1-②.전자제품광고와 만남
사례 2.MBC 마당놀이 제비가 기가막혀
사례 3.세계로 뻗어나가는 (주)놀부NBG
사례 4.남원의 축제 흥부제



3. 결론 - 마치면서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1. 서론 - 들어가면서

흥부전은 친근하다. 학교에서 배우기 전에 우리는 이미 그림책, 인형극, 만화 등에서 자연스럽게 흥부전을 접한다. 권선징악과 형제우애가 주제인 흥부전은 우리 정서에 그대로 녹아 있어 다양한 아류 형제작들을 무수히 낳았다. 이와 같이 흥부전의 친근성을 바탕으로, 흥부놀부의 캐릭터적 요소와 스토리적 요소는 현대의 문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다양한 자원으로써 활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흥부와 놀부의 이야기가 현대로 이어져옴과 동시에 그 가치를 발할 수 있게 만든 요인은 무엇일까? 그것은 흥부와 놀부가 지니는 이야기의 이중성으로부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흥부와 놀부에 대한 해석이 시대에 따라 엇갈리게 나타남으로써 그 원동력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엇갈린 해석의 예로 볼 수 있는 것이 ‘봉건 사회 흥부, 산업 사회 놀부’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흥부전의 전통적 인물 평가를 뒤집는 것이 80년대까지의 일반적 분위기였다. 본문 마지막에서 패퇴한 놀부는 에필로그에서 컴백에 완전 성공했고 흥부는 또다시 나락으로 떨어지는 듯한 분위기였던 것이다. 하지만 80년대 이후 맹목적인 부의 추구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모순이 불거지자 무조건 앞만 보고 달려왔던 사람들이 다시 한 번 주위를 돌아보게 보면서 이런 분위기는 다시 반전되기 시작했다. 이번엔 흥부에 대한 재평가였다. 비록 놀부 재평가 때만큼 폭발력을 지녔거나 급진적이진 않지만 이런 움직임은 학계는 물론 사회적으로 서서히 세력을 넓혀가고 있다.
흥부와 놀부를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는 이처럼 시대관을 그대로 반영한 측면이 강하다. 우리는 산업화 과정의 과열된 경쟁에서 승리자가 되기 위하여 이기는 방법만을 생각했고, 그 결과 ‘나’ 하나만이 존재할 뿐 타인은 안중에도 없었다. 놀부에겐 친구도 없다. 결국 고립된 상태에서 스스로 소외되어 버렸다. 놀부가 산업화 사회의 한 전형으로 긍정될 수 있던 것은 부정적이던 전대의 가치관이 긍정적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봉건 사회에서의 흥부, 산업화 사회에서의 놀부, 그리고 산업화 이후 새로운 세기에 살고 있는 지금 우린, 다시 흥부를 그리워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렇듯 흥부전으로부터 추출된 흥부 놀부 캐릭터와 이야기는 ‘엇갈린 해석’을 거름삼아 Multi Use의 기폭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그러므로 본 보고서에서는 ‘흥부전’을 One Source로 삼아, 스토리적 요소와 캐리터적 요소를 통해 활용된 다양한 콘텐츠들의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Multi Use
1. 대중가요

2. 광고

3. 마당놀이

4. 기업 브랜드화

5. 지역축제


★ One Source: 흥부전


2. 사례분석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사례 1-①. 고전과 대중가요의 만남: 육각수의 ‘흥보가 기가막혀’의 대중적 성공





♪ 흥보가 기가막혀 ♪
-작사 정홍철 ․ 작곡 정홍철 ․ 노래 육각수-

흥보가 기가 막혀X7
아이고 성님 동상을 나가라고 하니 어느 곳으로 가오리오 이 엄동설한에
어느 곳으로 가면 산단 말이오 갈 곳이나 일러 주오
지리산으로 가오리까 백이숙제 주려 죽던 수양산으로 가오리까
아따 이놈아 내가 니 갈 곳까지 일러 주랴 잔소리 말고 썩 꺼져라
해지는 겨울들녘 스며드는 바람에 초라한 내 몸 하나 둘 곳 어데요
어디로 이제 난 어디로 가나 그대 떠나가는 지금 (허이여)
굳게 다문 입술 사이로 쉬어진 눈물이 머금어진다 그렇지
무거워진 가슴을 어루만져 멀어진 기억속에 담근다
어슴프레 져가는 노을 너머로 소리내어 비워본다
어디서부터 잘못됐나 이제 나는 어디로 가나 갈 곳 없는 나를 떠밀면
이제 난 어디로 가나
안으로 들어가며 아이고 여보 마누라 형님이 나가라고 하니 어느 명이라 안가것소
자식들을 챙겨보오 큰자식아 어디 갔냐 둘째놈아 이리 오너라
이삿짐을 짊어지고 놀부 앞에다 늘어놓고 형님 나 갈라요
해지는 겨울 들녘 스며드는 바람에 초라한 내 몸 하나 둘 곳 어데요
어디로 이제 난 어디로 가나 이제 떠나가는 지금 (히이여)
흥보가 기가 막혀X7




♪ 판소리 ‘흥보가’ 中… ♪
-중모리-

나가란 말을 듣더니마는 "아이고, 여보 형님 동생을 나가라고허니 어느곳으로 가오리까? 이 엄동설한풍의 어느 곳으로 가면 살듯허오 지리산으로 가오리까 백이숙제 주려죽던 수양산으로 가오리까" "이놈 내가 너를 갈 곳까지 일러주랴 ? 잔소리 말고 나가거라!" 흥보가 기가 맥혀 안으로 들어가며 "아이고 여보 마누라! 형님이 나가라고 허니 어느 영이라 거역허며 어느 말씀이라고 안가겄소,자식들을 챙겨보오" "큰 자식아 어디갔나 둘째 놈아 이리 오너라" 이삿짐을 챙겨지고 놀보앞으가 늘어서서 "형님 갑니다. 부디 안녕히 계옵시오" "오냐 잘가거라!" 흥보신세 볼작시면 울며불며 나가면서 "아이고! 아이고 내 신세야. 내신세는 왜 이런고 부모님이 살어계실 적으난 니것 내것이 다툼없이 평생의 호의호식 먹고 입고 쓰고 남고 쓰고 먹고도 입고 남어 세상 분별을 내가 모르더니마는 흥보놈의 신세가 일조에 이리 될 줄을 귀신인들 알것느냐. 여보게 마누라 어느 곳으로 갈까" 아서라 산중으로 살자 전라도난 지리산 경상도로난 태백산 산중으가 살자허니 백물이 없어서 살 수 없고 아서라 도방으로 가자 일월산 이강경이 삼포주 사백성이 도방으가 살자허니 비린내 찌우어 살 수 없고 아서라 서울가서 살자 서울가서 사자허니 경우를 모르니 따구만 맞고 충청도가 사자허니 양반들이 억시어서 살 수가 없으니 어느 곳으로 가면 살 듯 허오.


대중가요 ‘흥보가 기가막혀’ 사례분석
특 징
성 과
성 공 요 인
①‘국악적 요소’, ‘한국적 음율'이 들어간 대중음악

②판소리 ‘흥보가’의 노랫말을 거의 그대로 차용

③‘아이고 성님 동상을 나가라고 하니…’등 원문의 맛을 제대로 살림

④예스러우면서도 흥겨움

⑤판소리+랩의 조화를 통해 ‘판랩’이라는 창조적 장르 형성

⑥흥부의 심정을 통해 현대인의 방황과 고독을 표현하여 정서적 공감을 이끌어냄

- 1995년 강변가요제 금상과 인기상 수상

- KBS 가요TOP10 2주 연속 1위 수상

- 연말 10대 가수상과 신인상의 수상과 전국민적 인기

- 당대의 기라성같은 가요들과 어깨를 나란히 함(예: 룰라의
'날개잃은 천사')

- 음악관계자 및 대중들에게 ‘기가막혀 신드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유행어와 같은 부가창출이 일어남
대중들의 ‘흥부놀부’캐릭터로부터의 소재적 친근함

+

‘판소리’와 ‘대중가요’의 결합으로부터의
방법적 참신함
+

‘흥보가 사설’의 차용을 통한 현대인의 외로움을 표현한
정서적 공감
󰀻

★ 대중적 성공 ★

◉ 사례 1-②. 고전적 가사의 ‘흥보가 기가막혀’와 전자제품 광고의 만남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xvkissvx?Redirect=Log&logNo=130021094688
http://blog.daum.net/enidesign/3038189
http://www.koreartnet.com/wOOrII/sori/pansori/pansori_5madang.html
http://blog.naver.com/lkw012?Redirect=Log&logNo=80056003251
http://softmach.tistory.com/158
http://www.himart.co.kr/ad/news_ad_2007.jsp?userid=200705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805300099
http://www.otr.co.kr/play/view.htm?mdevide=06&sid=304
http://www.imbc.com/entertain/mbcticket/mbcplay/2004/swallow/concept/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