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

 1  [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1
 2  [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2
 3  [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3
 4  [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4
 5  [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5
 6  [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6
 7  [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7
 8  [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8
 9  [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감해제
가. 이본(異本) 소개
1) 유재영본 「韋生傳」
2) 임형택본 「韋敬天傳」
3) 翥初本 「韋生傳」
4) 간호윤본 「韋生傳」
나. 이본(異本)의 계열문제
2. 작품해제
가. 작가문제
나. 내용상의 특징
3. 줄거리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교감해제

가. 이본(異本) 소개

1) 유재영본 「韋生傳」
이 이본은 전 원광대학교 교수인 유재영 소장의 󰡔御眠盾󰡕(「禦眠楯」의 誤記)에 「御眠盾」, 「雲英傳」, 「慶尙道星州朴孝娘事蹟」등과 합철되어 있다. 가로 17.5× 세로 22.5cm의 1책으로 이루어진 한문 필사본으로, 「韋生傳」은 그 가운데 22장 뒷면 5행에서 25장 뒷면 3행까지 약 3면에 걸쳐 필사되어 있다. 어떠한 이유에서인지는 분명치 않으나 원 「韋生傳」 가운데 앞 1/3까지만 전사된 채 중단된 이본이다. 중단된 문면을 바로 이어 「雲英傳」의 일부 부분이 나타나고 있다. 매면 11행, 매행 15자 균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맨 마지막 장에 “庚申夏 軍器謄 可觀”이라는 필사기(?)가 나타나고 있는 바, 이 필사기를 이 작품집 전체에 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 여기서 보이는 “庚申”은 1800, 1860, 1920년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것으로 추단된다. 그러나 이 가운데서 어느 연대가 그에 해당되는지는 현재의 상황 아래서는 분명히 파악할 수 없는 실정이다. 현재 남아 있는 부분까지를 살펴본 결과, 이 자료는 임형택본 「韋敬天傳」보다는 저초본(翥初本) 「韋生傳」과 친연성이 강한 이본인 것으로, 또 그에 비하여 시대적으로 뒤에 출현한 이본이 분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임형택본 「韋敬天傳」
이 이본은 일찍이 이명선이 󰡔조선문학사󰡕에서 소개한 「章敬天傳」에 다름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그 근거로는 이 이본이 이명선이 언급한 바 있는 󰡔古談要覽󰡕이라는 동일 제명의 작품집에 실려 있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이명선이 소장하고 있던 위의 자료를 뒷날 임형택이 통문관에서 입수하여 학계에 소개하면서 비로소 우리에게 알려지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총 13장으로 되어 있으며, 정자체로 쓰여 있는 1책의 한문 필사본으로, 매면 8행, 매행 22~26자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 이본은 다른 이본들과는 달리 작품의 제명 아래에 “權石洲製”라고 하여 그 작자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는 점과 아울러 작품명이 여타의 이본들과 달리 「韋敬天傳」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색다른 면모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古談要覽󰡕에는 「韋敬天傳」 이외에도 「英英傳」, 「雲英傳」등이 합철되어 있다. 이본의 필사 연대라든가 필사자를 알 수 있는 내적 정보는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
고찰의 대상이 되는 다른 이본들이 모두 「韋生傳」(국문본의 경우 「위뎐」)이라는 제목과 주인공의 자가 “擎天”(“警天”)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비하여, 이 이본은 다른 이본들과 작품의 제명과 아울러 “경천”의 字가 “敬天”으로 달리 표기되고 있다는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 바, 이점은 곧 「韋生傳」 계열이 둘로 나뉘어 전승되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라 할 수 있다.

3) 翥初本 「韋生傳」
이 이본은 원광대학교 교수인 정명기 소장본으로, 표제는 󰡔古傳󰡕이며 가로 18×세로 26cm의 1책으로 이루어진 한문필사본이다. 작품집 전체에 걸쳐 한국식 토가 나타나고 있다는 형태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 작품집에는 「林將軍傳」(1~15장 1행), 「馬武傳」(15장 뒷면 2행~22장 뒷면 3행), 「孫臏傳」(22장 뒷면 4행~34장 앞면 7행), 「韋生傳」(34장 앞면 8행~39장 뒷면 11행), 「沉香傳」(39장 뒷면 12행~59장 앞면 11행 이하 반면 정도 낙장?) 등의 작품이 합철되어 있다. 이 가운데 「沉香傳」은 학계에 그 존재조차 전혀 알려지지 않은 자료로 보인다. 매면 12행, 매행 36자 내외로 된 이본으로, 안 표지 여백에 “咸平郡 新光面 伏興里”, “李龍逸”이라는 낙서가 적혀 있다. 그가 이 이본의 필사자(거주지)인지 아니면 원 소장자(거주지)인지 또한 정확히 알 수 없다. 임형택본과 마찬가지로 이본의 필사 연대를 알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나타나 있지 않다.

4) 간호윤본 「韋生傳」
이 이본은 인하대학교의 간호윤 소장본의 󰡔閒汨董󰡕에 수록되어 있다. 󰡔한골동󰡕은 총 157쪽으로 적지 않은 품을 들였으며 보관 상태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나 풍상(風霜)을 거친 마멸이 보인다. 크기는 세로 25㎝×가로 18.5㎝이다 각 면은 12행, 각 행은 22~25자 정도이다. 글씨는 획이 힘찬 것으로 미루어 필사자는 20~30대의 청장년층인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덧써 고친 흔적을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는데 먹흔이 뚜렷이 구별되고 글씨체도 다른 것으로 미루어 후일 누군가에 의해 추고(推敲), 첨삭(添削)된 듯하다. 󰡔한골동󰡕 소재 글의 면면이나 각종 교정부호로 미루어 ‘간호윤본’은 원본을 충실하게 베낀 모사본이고 여기에 편찬연대를 고려하면 원본, 혹은 원본을 필사한 사본에 가깝다고 비정할 수 있다.

표) 「韋生傳」 이본의 서지상황

유재영본
임형택본
翥初本
간호윤본
표제
御眠盾
古談要錄
古傳
閒汨董
원제목
韋生傳
韋敬天傳
韋生傳
韋生傳
작자 표기
未出
權石洲製
未出
未出
크기
17.5×22.5cm
미상
18×26cm
18.5×25cm
책수, 면수
1책/총3면
(중단본)
매면 11행,
매행 15자 균일
달필 흘림체
1책/총26면
매면 8행,
매행 22~26자
1책/총12면
매면12행,
매행 36자내외
달필. 吐 있음.
1책/ 총19면
매면12행, 매행 22~25자
합철 여부
「어면순」, 「운영전」,
「박효랑사적」
등과 합철
「영영전」, 「운영전」
등과 합철
「임장군전」,
「마무전」, 「손빈전」,
「침향전」 등과 합철
「왕경룡전」,
「주생전」 등과 합철
소장자
柳在泳
林熒澤
鄭明基
간호윤

참고문헌
윤재민,「전기소설의 성격」,󰡔韓國漢文學硏究󰡕 創立二十周年紀念特輯號, 韓國漢文學會, 333-367면. 1996.12.
윤재민,「전기소설의 인물성격」,『民族文化硏究』 제28호 高麗大 民族文化硏究所 53-67면. 1995.12.
윤재민,「한국 한문소설의 유형론」,『民族文化硏究』 제35호 高麗大 民族文化硏究所 2001.12.
문범두,「에 대하여」,『한민족어문학』, 1995.
우수경,「과 대비 연구」, 신라대학교, 2002.
이상구,「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월인, 1999.
임형택,「전기소설의 연애주제와 위경천전」, 동양학 제22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2.
정민,「의 낭만적 비극성」,『한국학 논집』,한양대학교, 1993.
정병호,「주생전과 위경천전의 비교 고찰」, 『고소설연구』제6집, 한국고소설학회, 1998.
정명기,「 이본연구」한국어문학회, 2007.
간호윤, 「한골동 소재 연구」『고전문학과 교육』 제14집,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