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

 1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1
 2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2
 3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3
 4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4
 5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5
 6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6
 7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7
 8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8
 9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9
 10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10
 11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11
 12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12
 13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13
 14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14
 15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15
 16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16
 17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17
 18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18
 19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19
 20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국어 명사구의 통사구조와 의미

1. 국어의 문장구조와 접속명사구의 개념

2. 국어 명사구의 유형
2.1. 동사의 논항
2.2. 핵명사 앞요소의 분포유형

3. 접속 명사구의 통사구조

4. 접속 명사구의 의미 기능

5. 접속표지 {-와/-과}의 기능과 의미

6. 결론

Ⅲ. 맺음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Ⅱ. 국어 명사구의 통사구조와 의미

1. 국어의 문장구조와 접속명사구의 개념

국어의 문장구조는 구조적 층위를 갖는다. 이러한 층위의 형성은 어미의 교착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국어문장의 형성에서 각 층위의 단계성과 관련된 기존의 몇 가지 논점을 검토해 보고 이와 관련하여 국어의 교착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을 해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어미 교착에 따라 문장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성에 주목하게 될 것이다.
국어의 문장은 선조적인 표층형으로 볼 때, (1ㄱ)에서처럼 용언 어간을 중심으로 해서 좌향적으로는 명사 참여항들을 실현시키고, 우향적으로는 어미라는 기능범주들을 실현시키는 분리적 표층형을 갖는다. 국어가 교착어라는 점을 감안하고 (1ㄴ')에서의 비문법성을 고려할 때, 기능범주들의 고정화된 구조적 위치와 그 제약적 실현은 국어의 문장 형성에 일정한 내적 질서나 규칙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1) ㄱ. 철수가 밥을 먹 - 었겠다.
ㄴ. 밥을 철수가 먹 -었겠다.
ㄴ.' *밥을 철수가 먹-겠다었
ㄷ. [[[[철수가 밥을 먹VP] 었TP] 겠MP] 다CP]

그런데 통사적인 관점에서 볼 때, (1ㄷ)에서처럼 동사구를 포함하는 변별적인 교착 층위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게 된다. 그 각각을 ‘명제문, 시제문, 양상문, 의향문’ 등으로 구분해서 불러 볼 수 있겠는데 이러한 층위들은 교착 형태들의 실현과 관련되어 있다. 이들 층위간에는 일정한 조건이 존재한다. 서술어는 명제문을 형성하는 핵 요소이다. 그리고 시제문은 명제문을 그 보충어로 두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양상문은 시제문을, 의향문은 양상문을 보충어로 두는 층위를 통해 문장이 형성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몇 가지 원론적인 의문을 제시해 볼 수 있다. 첫째, ‘-었-’, ‘-겠-’, ‘-다’와 같은 어미들의 실현이 필수적이어야 하는가 하는 점이다. 둘째, 1(ㄷ)을 인정할 때 용언이 명제를 형성하는 핵 요소로서의 기능을 앞선 단계로 하고, 어미 교착의 형태적 숙주로서의 기능을 다음 단계로 하고 있다. 이때 어미들은 명제문에만 교착적이어야 하는가 하는 점이다. 다시 말해 교착소들이 명제문이 아닌 다른 층위, 구체적으로 그 하위의 구성에는 교착되지 못하는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기술 태도는 국어 문장의 통사적 구성에 대한 설명에 많은 파생적 효과를 낳을 수 있다.
참고문헌
김완진(1970), 문접속의 ‘와’와 구접속의 ‘와’, 《어학연구》 6-2, 서울대.
김지홍(1995), 명사구의 확장과 그 논항 구조에 대하여, 《배달말》 20, 배달말학회.
남기심․조은(1995), 통사와 화용 -명사항의 생략-, 《현대언어학 지금어디로》, 서울: 한신문화사.
박호관(2000), 국어 명사구의 이동규칙에 대하여, 《우리말글》 20, 우리말글학회.
박호관(2001),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 《언어과학 연구》 19, 언어과학회.
양정석(1996), ‘-와/과’ 문장의 통사 구조, 《국어문법의 탐구Ⅲ》, 서울: 태학사.
이동석(1999), ‘-와/-과’의 성격과 기능분화에 대하여, 《국어의 격과 조사》, 한국어학회.
임홍빈(1972ㄱ), NP-병렬의 {와/과}에 대하여, 《논문집》 4, 서울대 교양과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