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우리글][우리말]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

 1  [한글][우리글][우리말]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1
 2  [한글][우리글][우리말]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2
 3  [한글][우리글][우리말]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3
 4  [한글][우리글][우리말]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4
 5  [한글][우리글][우리말]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5
 6  [한글][우리글][우리말]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6
 7  [한글][우리글][우리말]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7
 8  [한글][우리글][우리말]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글][우리글][우리말]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

Ⅲ.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의의

Ⅳ.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Ⅴ.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Ⅵ.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Ⅶ.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Ⅷ.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사점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 겨레가 사용하는 글자의 이름을 말하며, 겨레의 가장 빛나는 문화유산이다. 세종(조선 제 4대 임금)이 1443년(세종 25년)에 창제하여 1446년(세종 28년)에 "훈민정음"이란 이름으로 반포한 글이다. 훈민정음은 발음기관과 삼재(하늘, 땅, 사람)를 본떠서 만든 독창적인 글자이다. 처음에는 28 글자였으나 현재는 4 글자는 쓰지 않고 24 글자만 쓴다. 한글은 낱소리글자 이면서 음절글자의 특징도 아울러 지닌 세계에서 으뜸가는 과학적인 글자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이 지구에는 여러 종류의 글자가 쓰이고 있지만, 이러한 여러 글자 가운데 훈민정음과 같이 만든 목적과 만든 사람이 분명한 글자는 흔치 않다. 이 훈민정음의 서문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을 읽을 수 있다. 그 하나는, 우리말은 중국말과 다르므로 중국말을 적는 중국의 글자로써는 우리말을 적을 수 없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러므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려고 해도(자기의 뜻을 글로 적으려 해도) 그 뜻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이 둘째 사실은 우리들에게 매우 중요한 뜻을 가지는 것이다. 그 옛날에는 우리들의 글자살이는, 한문으로 하든지, 아니면 한자를 빌어서 우리말을 적어 뜻을 통하고 있었다. 그런데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한자는 이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글자이다. 그러므로 우리들이 한문으로 적거나, 또는 한문 글자를 빌어 우리말을 적거나 간에 이러한 글자살이는 매우 어려운 것이었을 것이다.
훈민정음 꼬리글을 쓴 정인지는 이 사정을 가리켜, ‘이두 같은 것이 지금 관청과 민간에 쓰이고 있으나, 그 말을 적는 데 있어서는 만에 하나도 제대로 통하지 않는다’고 평하고 있다. 한문글자를 빌어 쓰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어색한 것이었는지, 능히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지금 우리가 정확한 통계 숫자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그 때에는 글자를 아는 사람의 수는 극히 국한되어 있었으리란 것은 쉽사리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참고문헌
김미경,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한글, 자우출판사, 2006
김정수, 한글의 역사와 미래, 열화당, 1990
원광호, 이것이 한글이다, 한글바른말 연구원
염종률, 훈민정음에 대하여, 한국문화사, 1982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6
이익섭․이상억․채완,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1997
정광,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