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보에 대해서

 1  이규보에 대해서-1
 2  이규보에 대해서-2
 3  이규보에 대해서-3
 4  이규보에 대해서-4
 5  이규보에 대해서-5
 6  이규보에 대해서-6
 7  이규보에 대해서-7
 8  이규보에 대해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규보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연구사 검토
3. 이규보의 생애
4. 문학사상과 작가의식
1)참신함의 문학사상
2)역사인식
3)현실인식
5. 문학사적 의의
6. 맺음말
본문내용
작품에 대한 연구鄭在洪, 「李奎報의 假傳体文學考」, (『國文學論文集』,8집, 효성여대, 1968)
張德順, 「英雄敍事詩 東明王」(『人文科學』,5집, 연세대, 1960)
李佑成, 「高麗中期의 民族敍事詩」,(『論文集』,7, 成均舘大,1962)
李在秀, 「朱蒙傳説(東明王篇)考」(『韓國小説研究』, 宣明文化社, 1969)
朴菖煕, 「李奎報의 東明王篇詩」(『歷史教育』,11,12合集,1969)
金鉉龍, 「麴醇傳과 麴先生研究」(『國語國文學』,65,66合集, 1974)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러 분야에 걸친 이러한 연구 결과로 李奎報문학의 실상이 상당히 부각되었으니, 李奎報의 시대인식에 대하여는 당시의 무신정권에 아부했던 어용문인이라는 견해와 불의와 대결하면서 현실을 타개한 문인이라는 평이 엇갈리고, 문학관에 대하여는 그의 문학관 전체를 新意論으로 보는 등 여러 가지 논지가 분분하여, 그의 대표작의 하나인 東明王篇의 창작동기에 대하여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이는 李奎報문학의 연구가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이 남아 있음을 뜻하며 본격적인 연구는 이제부터 착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申用浩, 「李奎報의 意識世界와 文學論硏究」, (『漢文學과 漢文敎育』,보고사, 2004)


3. 이규보의 생애
이규보의 생애를 언급하기 전에 먼저 그가 처해 있는 시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규보가 활동했던 고려의 당대는 한창 內憂外患으로 시달린 시기였다. 우선 국내적으로는 문신과 무신의 차별대우가 점차 심화되고, 끝내는 1170년(의종 24)에 누적되었던 무신들의 불만이 폭발하여 정중부(鄭仲夫)를 중심으로 무신들이 난을 일으켜 정권을 탈취하였다. 이러한 무신란은 역사의 방향을 바꾸어 놓았는데 무신들이 이로 인해 정권을 잡게 되고 國政은 獨斷하게 되었고, 많은 무고한 문신들이 화를 입게 되자 요행히 죽음을 면한 문신들도 벼슬을 버리고 산림에 은거하여 일시 문화의 암흑시대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한 후에는 무신 상호간에 주도권 爭奪戰이 벌어졌다. 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의 혼란 또한 극심하여 간악한 아전들이 남의 토지를 權門의 것으로 만들어 놓고, 농민들의 수확을 심하게 탈취했기 때문에 농민들의 생활을 점점 어려워지고 民亂과 草賊이 봉기하게 되었다.
대외적으로는 점차 强盛해졌던 몽고가 고종 18(1231년)년에 제1차 고려침입을 하고 그 이후에 몽고측은 대군을 이끌고 여러 차례 고려를 침략하였다. 몽고의 침략은 백성들이 더욱 곤고한 경지에 처하게 하였다. 이러한 내․외부적인 수난 시기가 상하의 힘을 한데 합쳐야 한다는 것을 깨달아 문학 혁신의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김시업, 李奎報의 現實認識과 農民詩, 『大東文化硏究 1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8
崔敬桓, 李奎報의 詩精神과 詩世界의 몇 局面, 『李奎報 硏究, 새문사, 1986
김진영, 『이규보문학연구』, 집문당, 1984
金時鄴, 위의 논문
金鎭英, 앞의 책. 77-78
李佑成 「高麗中期의 民族敍事詩 --東明王篇과 帝王韻記의 硏究」, (『韓國의 歷史認識(上)』 創作과 批評社, 1976)
申用浩, ⌜李奎報의 意識世界과 文學論 硏究⌟,(漢文學과 漢文敎育,보고사, 2004)
權斗換, ⌜李奎報의 文章⌟,, (『李奎報 硏究』, 새문사.1986)
金時鄴,「李奎報의 新意論과 詩의 特質」 , 『韓國漢文學硏究, 3.4집, 한국한문학연구회, 1979
김시업, 「武臣執權期의 문학적 전환」(『한국문학 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崔信浩, 「韓國文學論의 發達過程」,檀囯大박사학위논문,1977
崔雲植, 「李奎報의 詩論-白雲小説을 중심으로」 (『韓文學研究』2집,1979)
趙東一, 「李奎報」(『韓國文學思想史試論』,1978)
金鎣大, 「高麗의 詩學」(『韓國古典詩學史』,1979)
金時鄴, 「李奎報의 新意論과 詩의 特質」(『漢文學,研究』 3,4집1979)
金鎮英, 「李奎報의 文學觀에 대하여」(『論文集』8 서울여대, 1979)
金學主, 「中國에 견주어본 李奎報의 氣論」(『震檀學報』,48,1979)
柳在泳, 「白雲小説研究」,圓光大出版部 1979
李信馥, 「李奎報의 文學思想」(『論文集』,15, 檀囯大,1981)
金周漢, 「其詩不甚高小考」(『徐首生博士還曆幾年輪叢』,1981)
申用浩, 「13世紀高麗文人의 文學觀小考」(『論文集,』20, 公州師大,1982)
徐首生, 「創新詩捷 白雲文學」(『高麗朝漢文學研究』,1973)
金錫下, 「東國李相國集研究」,(『韓國文學의 樂園思想研究』,1973)
張德順, 「李奎報와 그의 隨筆」(『隨筆文學』,41-42號,1975)
權斗煥, 「李奎報의 隨筆文學」(『현상과 인식』 4권, 2,3 호)
全鎣大, 「李奎報의 漢詩」(『京畿語文學』,京畿大,1981)
金慶洙, 「李奎報의 詩에 대한 小考」(『國語教育』,38,1981)
呂連弼, 「李奎報詩研究」, 서울대대학원, 1982
朴性奎, 『李奎報研究』, 啓明大出版部,1982,
金鎮英, 『李奎報文學研究』, 集文堂,1984
金正德, 「李奎報의 漢詩研究」, 檀囯大大學院, 1985
鄭在洪, 「李奎報의 假傳体文學考」, (『國文學論文集』,8집, 효성여대, 1968)
張德順, 「英雄敍事詩 東明王」(『人文科學』,5집, 연세대, 1960)
李佑成, 「高麗中期의 民族敍事詩」,(『論文集』,7, 成均舘大,1962)
李在秀, 「朱蒙傳説(東明王篇)考」(『韓國小説研究』, 宣明文化社, 1969)
朴菖煕, 「李奎報의 東明王篇詩」(『歷史教育』,11,12合集,1969)
金鉉龍, 「麴醇傳과 麴先生研究」(『國語國文學』,65,66合集, 1974)
申用浩, 「李奎報의 意識世界와 文學論硏究」, (『漢文學과 漢文敎育』,보고사, 2004)
金台俊, 「朝鮮漢文學史」, (『朝鮮語文學會』, 1931)
李家源, 「韓國漢文學史」, (『民衆書館』,1961)
金東旭, 「東國李相國集解題」, (民族文化推進會, 『국역동국이상국집』 1, 1980)
張德順, 『國文學通論,
金東旭, 「曠世의 文豪 李奎報」(『人物韓國史』,卷2)
-----, 『東國李相國集 解題』(주 3과 같은 책)
張德順, 「붓의 정치가 李奎報」(『韓國의 人物象』, 卷5)
李石來, 「東國李相國集解題」,(『韓國의 名著』)
徐首生, 『高麗朝漢文學硏究, 螢雪出版社, 1971
金鎭英, 「李奎報硏究」, (『國文學硏究』15, 1972)
陳祝三, 「李奎報硏究」, 성균관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77
金慶洙, 「李奎報硏究」, 단국대 대학원, 1980
金暎春, 「李奎報硏究」, 계명대교육대학원, 1981
申東旭, 「高麗時代 批評輪考」,(『杏丁李尚憲先生回甲紀念論文集』,1962)
김 현, 「中世知性과 權利」(『文學과 知性』,創刊號,1972)
李佑成, 「高麗武臣政權下의 文人知識層의 動向」,(『文理大學報』,8-10號, 嶺南大,1977)
金鎭英, 「麗朝武臣政權期文壇,知性面의 李奎報」(『國語教育』 31號, 1979)
金時鄴, 「李奎報의 現實認識과 農民詩」(『大東文化研究』12 成均舘大,1978)
----- 「武臣政權期의 文學的轉換」,(『韓國文學研究入門』,知識產業社,1982)
金東旭, 「變革期의 文學人 李奎報」(『比較文學과 比較文化』,3,4집,1979)
金毅圭, 「高麗武人政權期文士의 政治活動」
申用浩, 「李奎報의 現實認識과 文學」,(『論文集』 22, 公州師大,1984)
李庸昱, 「李奎報硏究. 白雲小説을 中心으로」, 서울대 대학원,1962
趙鍾業, 「高麗詩論研究」,(『國文研究』1집,1963)
張鴻在, 「李奎報의 文學批評研究」, 慶煕大 대학원, 1966
崔信浩, 「高麗詩話에 나타난 修辭에 대하여」 ,(『人文社會科學』2집, 서울대 教養學部,1970
徐首生, 「白雲의 詩文學詞藻」(『高麗詩論研究』,1971)
李相翊, 「高麗散文學小考, 白雲小説,破閑集」 (『國語教育』,18-20合集,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