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사상과문화] 풍류를 통해본 한국 문화

 1  [동서사상과문화] 풍류를 통해본 한국 문화-1
 2  [동서사상과문화] 풍류를 통해본 한국 문화-2
 3  [동서사상과문화] 풍류를 통해본 한국 문화-3
 4  [동서사상과문화] 풍류를 통해본 한국 문화-4
 5  [동서사상과문화] 풍류를 통해본 한국 문화-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서사상과문화] 풍류를 통해본 한국 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풍류란 ?

Ⅱ. 풍류의 정신

Ⅱ.Ⅰ. 包含과 包涵

Ⅱ.Ⅱ. 巫-조화의 원리-

Ⅱ.Ⅲ. 풍류의 정신 - 和의 미학

Ⅲ. 풍류의 장점 - 대동문화

Ⅳ. 풍류의 단점 - 하인스워드

결론.

본문내용
위의 주장을 받아들이면, 풍류는 외래사상과 상호 교류하여 생성되었으며 외래 사상 이전에 있던 고유사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고유사상과 외래사상이 교류하면서 풍류를 탄생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치원이 이러한 차이점을 알고 包含을 사용했는지는 의문시 된다. 그러나 최치원의 난랑비서와 많은 관련 서적을 살펴보면 풍류는 고유사상이었을 것이다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이제 무에 대해서 살펴보면 풍류의 정신에 대해서 알 수 있을 것으로 본다.

Ⅱ.Ⅱ. 巫-조화의 원리-
조흥윤은 한국의 무교에 접근하면서 문화인류학의 개념인 종교문화(religious culture)를 사용한다. 종교문화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접근은 종교를 하나의 하위문화로만 제한하는 약점을 가진다. 그의 생각에 종교는 단순한 하위문화가 아니라 모든 문화의 어머니가 되는 것이다. 종교를 총체적인 문화(holistic culture)로 보는 것이다. 따라서 종교를 통하여 얻어낸 원리는 그 종교뿐만이 아니라 문화의 모든 방면에 확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무속의 원리가 굿의 구조뿐 아니라 한국인의 인성, 한국인의 종교전통 및 사회의 도덕률에 이르기까지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조흥윤이 찾아 낸 무교의 원리는 ꡐ조화ꡑ의 원리라고 한다. 신령과 무당의 단골이 굿이라고 하는 무속의 의례속에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 그 조화 원리가 드러나는 가장 뚜렷한 예이다. 무속의 모든 사상과 의례가 조화라는 원리에 맞게 이루어져 있고, 또 조화를 회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렇듯 조화의 원리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의 무속을 조흥윤은 ꡐ무ꡑ라고 한다. 조흥윤이 말하는 巫 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

나는 이것을 巫라 불러온다. 『說文解字』에 의하면 巫라는 글자는 여자로서 형태 없는 것을 섬기고 춤을 추어 신을 내리게 하는 자라 풀이된다. 이것은 覡이 男巫를 지칭하는데 비하여 女巫를 가리킨다. 한편 이 글자는 하늘과 땅을 잇는 기둥 양 옆에 사람들이 춤추는 꼴을 취한다. 여기서 기둥이란 이른바 神木 또는 宇宙木(Cosmic tree)이 되는 것이고 그 춤추는 이가 바로 巫堂이다. 그럴진대 巫는 무당의 굿하는 장면이기도 하고 그 전체 종교현상을 설명해 주는 적절한 용어가 된다. 그 밖에 무당이나 신도들은 그들의 종교현상을 포괄적으로 무라 부른다. ꡒ우리 무에서는 어떠어떠하다ꡓ는 것이 그러한 용례인데 이것은 무 전체를 나타내는 집단개념이다. 이처럼 가치중립적 용어인 무가
참고문헌
김상일, 『한민족 의식 전개의 역사』, 지식산업사, 2004
김양동, 『한국 고대음악의 기원 시고』, 음악과 문화 7호
서정록, 「한국 풍류의 원형과 그 세계사적 의의」․세계생명포험, 『동아시아 문예부흥과 생명 평화』, 경기 2005
신은경, 『풍류』, 보고사, 2003
유동식,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 한들출판사, 2002
심광현, 『흥한민국』, 현실과문화연구, 2005
조흥윤, 『巫-한국무의 역사와 현상-』, 민족사, 1997
〃 , 『샤머니즘과 한국음악』, 한국음악연구 26호
주강현, 『굿의 사회사』, 웅진, 1992
최길성, 『한국 무속의 이해』, 예전사, 1994
최준식, 『한국인은 왜 틀을 거부하는가 ?』, 소나무, 2002
〃 ,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사계절, 1997
〃 ,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1』, 사계절, 2002
〃 , 『한국미,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 효형, 2000
최종민, 『한국 전통음악의 미학사상』, 집문당, 2003
한흥섭, 『우리 음악의 멋 풍류도』, 책세상, 2003
〃 , 『한국의 음악사상』, 민속원, 200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