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

 1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1
 2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2
 3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3
 4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4
 5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5
 6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6
 7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7
 8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8
 9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9
 10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10
 11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11
 12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아동관찰] California 척도에 따른 만 5세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관찰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2. 용어의 정의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1) 사전 관찰(연습)

(2) 예비조사
(3) 본조사
① 본조사⑴ -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② 본조사⑵ - 시립 세곡어린이집
Ⅳ. 결과 및 해석

1. 결론
2. 제한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관찰은 아동의 사회성이 잘 나타나는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자유놀이시간과 바깥놀이시간에 이루어졌다. 서울시 신촌동에 위치한 연세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과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시립세곡어린이집의 기관에서 2개의 학급을 표집하였다.
대상 아동은 만 5세 아동으로, 각각 18명과 18명, 전체 36명을 표집하였다. 대상 아동의 연령을 만 5세로 잡은 것은 이 시기의 아동들의 사회성이 활발하게 진행∙발달하기 때문이다.

표집한 어린이집에서는 모두 연세개방주의 교육과정을 교육 프로그램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관찰 시, 학급의 교사 대 아동 비율은 각각 1:9이었다.

2. 연구도구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개념으로 이은해(1997)가 번안한 Califonia 사회적 능력 척도인(California Preschool Social Competency Scale : CPSCS) CPSCS를 사용하였다. CPSCS는 ‘4단계 기술척도’로서, 1-4점으로 채점하며, 교사가 평정하는 관찰도구이다. 교사는 아동이 놀이실 내에서 보여주는 대인행동, 활동의 참여도, 일과에 대한 적응, 지시 따르기 등을 관찰하여 평정한다. 교사가 문항별로 평가한 점수를 합한 것이 사회적 유능감 평점점수가 된다. 따라서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도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예비조사 결과, 이은해(1997)가 사용한 전체 30문항 중에서 모호하거나 흔히 관찰되지 않는 문항은 제외시키고 총 23개의 문항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본 관찰에 사용된 사회적 능력 척도의 Cronbach alpha는 .93이었으며 관찰자간 일치도는 평균 84.7%로 신뢰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절차

(1) 사전 관찰(연습)

본 관찰을 실시하기 이전에 검사도구의 적절성과 관찰자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2010년 4월 25일 12:00시부터 3:30분까지 사전관찰을 실시하였다. 현장에서 직접 사전관찰을 가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이영교수님께서 (관찰자간 신뢰도 측정을 위해) 주신 동영상 3개를 조원들과 함께 보면서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세 개의 동영상은 모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에서 촬영한 것으로 4월 넷째 주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며 20분짜리 실내놀이 동영상 한 개와 각각 40분, 20분짜리 실외놀이를 촬영한 동영상 두 개로 총 세 개의 동영상을 관찰하였다. 실외놀이 동영상의 관찰대상연령은 만 2-3세로 구성되었으며 실내놀이 동영상은 만 3-4세 유아로 구성되어 있었다. 앞에서 말했듯이 우리 조는 만5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California 사회적 능력척도(CPSCS)를 사용하기로 하였기 때문에 본 관찰에 앞선 사전관찰에 있어서도 CPSCS의 4단계 기술척도를 사용하였다. 사전관찰은 관찰대상연령에 있어서 본 관찰 대상의 연령과의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사전관찰은 검사도구의 적절성보다는 관찰자간 신뢰도가 얼마나 일치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되었다.
사전 관찰의 결과 총 23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CPSCS관찰척도 중 10개의 문항에서 다섯 명 모두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그 중 8개가 문항번호(1-4)까지 일치하였다. 따라서 신뢰도는 8/50*5(관찰자수)를 계산하여 80%의 신뢰도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우리조의 주제인 사회적 유능성을 관찰하기에는 자료가 부족했기 때문에 동영상에 나온 아동전체를 한 명으로 생각하고 관찰하였다는 점과 세 개의 동영상을 한 개로 생각하고 관찰했다는 점에서 이번 사전관찰은 한계점이 있다. 왜냐하면 동영상 내용이 각 조의 주제를 포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관찰절차를 변형해서 신뢰도를 측정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2) 예비조사

예비관찰은 만5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이은해(1997)가 번안한 Califonia 사회적 능력 척도로 관찰하기에 적절한지 살펴보기 위하여 2010년 4월 26일 60분 동안 실시하였다. 예비관찰 대상 아동은 본 조사 대상 기관인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에서 만5세 아동이 속하는 장미반으로, 오전 실내 자유놀이 40분과 실외놀이 20분 동안 관찰하였다. 관찰을 하는 동안 아동들이 평소와 달리 행동하거나 관찰자를 의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찰실에서 일방경을 통해 비참여 관찰을 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회적 유능성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관찰결과 실내놀이 70분만으로도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관찰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었고, 피관찰자가 가진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본 조사시에는 오전 자유놀이시간 40분만을 관찰하기로 하였다.
예비관찰 결과 Califonia 사회적 능력 척도로 관찰하되, 만5세 아동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지도력, 유능성, 과민성,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관찰하도록 결정하였다.
우선, 아동들을 관찰하면서 다른 친구들을 이끌어 놀이를 주도하는 면모가 눈에 띄게 관찰되는 아동들이 있어 사회성 분야에서 지도력을 주의집중하여 살펴보기로 하였다.
다음으로는 사회성에 있어 얼마나 유능성이 있는지를 척도화할 수 있도록 눈여겨 관찰하였다. 만5세 유아의 사회성 중 타인과 어느 정도로 잘 의사소통 할 수 있는지와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선생님과 같은 성인의 지시를 잘 이해할 수 있는지 관찰하
참고문헌
이혜경(2010). 만 5세 유아의 놀이성 및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이윤선(1998). 아동의 상상놀이 수준과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박진현(2002). 가정환경 및 보육환경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김영아(2007).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