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삼][해삼먹이][해삼생식]해삼의 특성, 해삼의 먹이, 해삼의 번식, 해삼의 재생, 해삼의 내장토출, 해삼의 영양, 해삼의 효능, 해삼의 활동

 1  [해삼][해삼먹이][해삼생식]해삼의 특성, 해삼의 먹이, 해삼의 번식, 해삼의 재생, 해삼의 내장토출, 해삼의 영양, 해삼의 효능, 해삼의 활동-1
 2  [해삼][해삼먹이][해삼생식]해삼의 특성, 해삼의 먹이, 해삼의 번식, 해삼의 재생, 해삼의 내장토출, 해삼의 영양, 해삼의 효능, 해삼의 활동-2
 3  [해삼][해삼먹이][해삼생식]해삼의 특성, 해삼의 먹이, 해삼의 번식, 해삼의 재생, 해삼의 내장토출, 해삼의 영양, 해삼의 효능, 해삼의 활동-3
 4  [해삼][해삼먹이][해삼생식]해삼의 특성, 해삼의 먹이, 해삼의 번식, 해삼의 재생, 해삼의 내장토출, 해삼의 영양, 해삼의 효능, 해삼의 활동-4
 5  [해삼][해삼먹이][해삼생식]해삼의 특성, 해삼의 먹이, 해삼의 번식, 해삼의 재생, 해삼의 내장토출, 해삼의 영양, 해삼의 효능, 해삼의 활동-5
 6  [해삼][해삼먹이][해삼생식]해삼의 특성, 해삼의 먹이, 해삼의 번식, 해삼의 재생, 해삼의 내장토출, 해삼의 영양, 해삼의 효능, 해삼의 활동-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해삼][해삼먹이][해삼생식]해삼의 특성, 해삼의 먹이, 해삼의 번식, 해삼의 재생, 해삼의 내장토출, 해삼의 영양, 해삼의 효능, 해삼의 활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해삼의 특성

Ⅲ. 해삼의 먹이와 번식
1. 먹이
2. 번식
3. 산란

Ⅳ. 해삼의 재생과 내장토출
1. 각의 재생
2. 내장토출과 내장 기관 재생

Ⅴ. 해삼의 영양과 효능

Ⅵ. 해삼의 활동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해삼과 일본인의 관계를 자세하게 고증한 오시마 히로시(大島廣)박사도 일본인이 언제부터 해삼을 식용하게 되었는지 그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고 한다.(712년)에는 海月 (해파리) 등에 섞여 ‘海鼠(해삼)’의 이름이 나온다. 천상에서 니니기노미코토들(일본 건국 신화의 주인공들-역자 주)이 지상으로 강림할 때 하늘의 신에게 “나를 섬길 것이냐?”는 물음을 받았다. 이때 해삼이 대답하지 않자 신이 노여워하며 “이 입은 대답하지 못하는 입이 되어라.” 하고 입을 찢어버렸다고 한다.
에도 시대에는 건해삼을 상어지느러미, 말린 전복과 함께 중국에 수출했다. 이것들을 가마니에 넣어 운반했기 때문에 ‘가마니 물건’ 이라고도 불렀다. 말린 해삼은 주로 중국 요리의 재료로 쓰였으나, 일본에서는 원래 날것으로 먹는다. 술집에서는 대부분 ‘해삼 초무침’을 안주로 내놓는데 이 요리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
‘해삼 창자젓’은 일본 특유의 제품이다. 앞서 말하 오시마 히로시 박사의 저서에 따르면, ‘해삼 창자젓’은 (905년)에 이미 소개되어 있다고 하다. 해삼의 창자는 고문서에 종종 ‘삼조(三條) 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소화관이 항문으로 이어지기까지 두어 번 꺾어져, 그 모양이 마치 창자 세 개가 나란히 놓여 있는 모습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 창자를 깨끗한 바닷물로 씻은 다음 젓갈로 만든다. 황갈색으로 만든 것이 일등품이다. 옛날 책에는 ‘해삼 창자젓’을 먹을 때는 계란 노른자와 섞어 먹으면 훨씬 맛있다고 쓰여있다.
일본에서 이용하는 해삼은 돌기해삼이 주종을 이루고, 수출용 말린 해삼에는 훨씬 많은 종이 쓰인다. 혼슈 동북 지방에서는 타워광삼을, 오키나와 지방에서는 하네짐해삼(Holothuria seabra)이나 파인애플해삼(Thelenota ananas) 등을 이용한다.

Ⅱ. 해삼의 특성
해삼은 그 생김새와는 달리 바다의 인삼으로 불리거나 최고의 스태미나 식품으로 그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과 일본 등 동양권에서는 매우 중요한 보양 수산물인데, 최근 건강 강장식품으로 알려지면서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참고문헌
1. 강경호(1994), 해삼 산란유발 및 유생사육, 연구논문
2. 국립 수산 진흥원 여천 종묘 배양장(1993), 패류 양식 기술 개발 현황과 전망
3. 남해 수산 종묘 배양장(1996), 패류 인공 종묘 생산 및 관리
4. 박흥식·최성순(2001), 한국해양생물사진도감, 서울 : 풍등출판사
5. 해양수산부(2003), 해양수산주요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