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로미어와 노화의 연관성

 1  텔로미어와 노화의 연관성-1
 2  텔로미어와 노화의 연관성-2
 3  텔로미어와 노화의 연관성-3
 4  텔로미어와 노화의 연관성-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텔로미어와 노화의 연관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연구 제목
연구 초록
연구 소개
연구 진행 내용 [2]:
▶ 각 암세포와 정상 primary 세포에서의 MKRN1의 발현 확인
▶Cell line 별 MKRN1 의 mRNA level 비교
▶MKRN1과 p53과의 관계
▶p53에 의한 MKRN1 mRNA 양적 변화 관찰
▶p53에 의한 MKRN1의 조절 및 telomerase activity의 rescue
▶MKRN1에 의한 telomerase 활성 조절 고찰
▶연구 개발 결과의 파급효과
참고 서적:
본문내용
▶Cell line 별 MKRN1 의 mRNA level 비교
RT-PCR을 통한 각 cell line 별로의 MRKN1 mRNA을 비교한 결과, MKRN1의 mRNA level은 암 세포인 H460, HT1080에서는 낮은 반면, 정상 Primary 세포인 IMR90에서는 높았으며, H1299와 TERT로 telomere을 유지 하지 않는 Saos2에서도 높이 나왔다. H1299는 TERT로 자신의 telomere를 유지하기 때문에 H1299에서의 MKRN1의 mRNA level이 높은 것을 TERT의 유무로 설명 할 수 없다. 따라서 H1299의 다른 cell line과의 차별화된 특징을 조사하였고 H1299가 p53이라는 단백질이 결여된 세포 임을 감안하여 p53과 MKRN1의 발현과의 연관성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Fig. 2).
[Fig. 2] Cell line 별 MKRN1의 mRNA level 비교

▶MKRN1과 p53과의 관계
H1299 cell line에 p53의 농도를 높여 가며 transfection 한 후 MG132를 treat 한 결과, endogenous한 MKRN1의 양이 준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MKRN1을 동일 양으로 과 발현 시킨 후 농도를 높여 가며 p53을 발현 시켰을 때에도 유사 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MG132를 처리 했을 때 더욱 극명한 pattern 변화를 확일 할 수 있었다 (Fig. 3).

참고문헌
참고 서적:
[1] 정인권 (2005), 생체적 노화현상은 피할 수 없는 가: ‘노화시계’ 텔로미어, 과학과 기술 = (The) Science & technology
[2] 정인권 (2008), 미래보건기술개발사업: 노화유전자 기능연구, 한국보건사업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