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

 1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1
 2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2
 3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3
 4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4
 5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5
 6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6
 7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7
 8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8
 9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9
 10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10
 11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11
 12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어미의 특징

Ⅱ.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Ⅲ. 국어 의문어미
1. 중세 국어 의문어미의 특징
2. 근대 국어 의문 어미의 특징
3. 의문 어미의 변천

Ⅳ. 국어 약속어미

Ⅴ. 국어 연결어미

Ⅵ. 국어 명령어미

Ⅶ. 국어 부사형어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국어 어미의 특징
조사가 명사에 결합하여 명사구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듯이 어미도 술어에 결합하여 절이 전체 문장 속에서 담당하는 문법적 기능을 드러낸다. 한국어의 통사 특성을 밝히는 데 있어서 어미 체계는 매우 중요하며, 제반 통사 현상을 설명하는 기제로서 어미의 특성이 연구될 수 있다. 우선, 어미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1)선어말어미(비종결어미)
(2)어말어미(종결어미)
접속어미
내포어미
의향어미(문장종결어미)
이들 어미가 보여주는 통사적 현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절 내에서 일어나는 통사적 현상이고, 하나는 절을 넘어서서 일어나는 통사적 현상이다.
(3)절 내부의 통사적 현상: 어미가 자신이 지배하는 성분과 보이는 일치/제약
(4)절 사이의 통사적 현상: 어미가 절을 넘어서 다른 어미와 가지는 위계 관계
절 내부의 통사적 현상에는 선어말어미와 어말어미가 모두 관여한다. 어말어미는 모두 구, 절, 문장의 경계가 될 수 있지만 선어말 어미는 통사적인 단위의 경계가 되지 못 한다. 따라서 경계를 넘어서는, 어미들 사이의
참고문헌
* 김문웅(1978), 연결형 어미 ‘-니까’, ‘-아서’, ‘-므로’, ‘-매’의 말쓰임에 대하여, 인문과학논총 11,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김지홍(1989), 부정과 부사형 어미 구문, 국어국문학논총, 서울 : 탑출판사
* 서태룡(1987), 국어 활용어미의 형태와 의미, 서울대 박사논문
* 이영민(1995), 내포문 의문 어미 ‘-지’에 대한 고찰, 서강어문 11, 서강어문학회
* 우순조(1997), 국어 어미의 통사적 지위, 국어학 30
* 한영균(1994), 후기중세국어의 모음조화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