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

 1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1
 2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2
 3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3
 4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4
 5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5
 6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6
 7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7
 8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8
 9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9
 10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10
 11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11
 12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어미][어미]국어 어미 기능, 국어 명사형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국어 의문어미, 국어 서술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어미 오용 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어미의 기능
1. 선어말어미
2. 문말어미의 기능

Ⅱ. 국어 명사형어미

Ⅲ. 국어 부사형어미

Ⅳ. 국어 의문어미

Ⅴ. 국어 서술어미

Ⅵ. 국어 연결어미

Ⅶ. 국어 어미의 오용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국어 어미의 기능

1. 선어말어미

선어말어미는 종래 補助語幹이라 불러 오던 것들이다. ‘-겠-’을 예로 보면 ‘뛰겠다, 뛰겠으니, 뛰겠으면, 뛰겠고’ 처럼 마치 ‘뛰겠-’까지가 어간처럼 활용한다. 이러한 특성을 들어 보조어간이란 용어를 썼던 것인데 ‘뛰겠-’까지가 어간은 아니므로, 즉 ‘-겠-’은 어미이므로 요즈음은 보조어간이란 용어 대신 선어말어미란 용어를 쓰고 있다. 만일 ‘뛰겠-’까지가 어간 이라면 ‘뛰겠다, 놀겠다, 웃겠다’ 등은 ‘뛰다, 놀다, 웃다’ 등과함께 별개의 단어로 사전에 등록시켜야 할 것인데 그럴 수는 없을 것이다. ‘-겠-’이나 ‘-았’이나 ‘-시-’나 모두 거의 모든 어간에 자유롭게 나타나 활용의 일부를 담당하지, 파생접미사들처럼 일부 어간에만 결합되어서 어간, 즉 새 단어를 만들어내는 일은 하지 못한다.
선어말어미가 하는 일은 주로 時制(tence)의 범주를 나타내 주는 일이다.
(過去時制 : ‘-았 / 었-’, 大過去時制 : 과거시제에 ‘-었-’이 하나 더 결합, 回想時制 : ‘-더-’)

2. 문말어미의 기능

문장 끝에 쓰이는 종결어미, 즉 文末語尾는 크게 두 가지 일을 동시에 담당한다.
하나. 문말어미는 相對敬語法을 결정한다. 상대경어법이란 말을 듣는 相對方을 언어적으로 알맞게 대접하는 체계로서 흔히 ‘해라체, 반말체, 하게체, 하오체, 해요체, 합쇼체’의 여섯 등급으로 나눈다.
둘. 문말어미는 문장의 종류를 결정짓는 일을 한다.
참고문헌
◈ 김용석(1981), 연결 어미 -는데에 대하여, 배달말 6, 배달말학회
◈ 남기심(1985), 접속어미와 부사형 어미, 말 10
◈ 유현경(2003),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에 대하여, 한글 261
◈ 유동준(1980), 한국어 접속화 연구-접속어미 니까의 화용론, 연세어문학 13,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이연희(1982), 국어 종결어미의 발달에 대한 관견, 국어학 11, 국어학회
◈ 홍종선(1983), 명사화 어미 ‘-음’과 ‘-기’, 한국언어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