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

 1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1
 2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2
 3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3
 4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4
 5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5
 6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6
 7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7
 8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8
 9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9
 10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10
 11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모음][모음조화]모음의 분류기준,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특성, 모음조화의 배경,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제언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모음의 분류기준
1. 입술의 모양
1) 원순모음(둥근 홀소리, round vowel)
2) 비원순모음(평순모음, unrounded vowel)
2. 혀의 높낮이
1) 고모음(높은 홀소리, high vowel)
2) 중모음(가운데 홀소리, mid vowel)
3) 저모음(낮은 홀소리, low vowel)
4) 폐모음(닫은 홀소리, closed vowel)
5) 반폐모음(반닫은 홀소리 half-closed vowel)
6) 반개모음(반연 홀소리, half-open vowel)
7) 개모음(열린 홀소리, open vowel)
3. 혀의 전후 위치
1) 전설모음(앞홀소리, front vowel)
2) 중설모음(central)
3) 후설모음(뒤홀소리, back vowel)

Ⅲ. 모음의 동시조음
1. 비음화(콧소리되기, nasalization)
2. 권설음화(혀말이소리되기, retroflection)
3. 후두음화(켕김소리되기, pharyngalization)

Ⅳ. 모음조화의 개념
1. 현대 국어에서는 의성어, 의태어에서 가장 잘 준수된다
2. ‘-아-/-어-’,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았-/-었-’ 등에서 대체로 잘 지켜진다

Ⅴ. 모음조화의 특성

Ⅵ. 모음조화의 배경
1. 모음조화는 국어 음운사 연구에 종사하는 이들이 가장 오랫동안 그리고 빈번히 다루어온 주제의 하나다
1) 국어의 모음조화가 지니고 있는 일반언어학적인 면에서의 특수성
2) 국어 모음사 기술과 국어 모음조화에 대한 이해가 아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
2. 규칙의 실현 환경‧제약 조건‧변화 과정 등 모음조화의 기본적인 성격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는 더 이상 더할 것이 없을 정도로 소상히 밝혀졌다
1) 검토 자료의 편중성
2) 검토 대상 범주의 편중성

Ⅶ. 모음조화의 약화원인

Ⅷ. 모음조화와 모음체계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국어에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와 어미가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다. 이러한 조사와 어미는, 단순한 문법적 관계뿐만 아니라 미묘한 문체적 효과까지 드러낸다. 이런 점에서 국어는 교착어에 속하는 언어로 분류된다.
또 하나의 중요한 문법적 특질은, 국어에서는 중요한 부분, 즉 화자의 결론을 맨 끝에 진술한다는 점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인구어는 중요 부분을 먼저 진술하고, 이차적인 부분을 나중에 진술한다.
어순은 사고의 흐름을 반영한다. 우리말이 ‘주어 - 목적어 - 서술어’의 어순인 반면, 영어는 ‘주어 - 서술어 - 목적어’의 어순이다. 이는 생활 양식과 사고 방식의 차이가 언어에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도 있는 한 예가 된다. 전자는 끝까지 청자를 잡아 놓는 장점을 지니는 반면, 후자는 청자가 비판적으로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반면에, 전자는 비판적으로 사고할 기회를 빼앗을 수도 있지만, 후자는 청자를 끝까지 붙들어 두는 긴장감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국어의 이 같은 특징으로 말미암아, 국어의 문장은 주어와 서술어 사이에 많은 이차적 사실을 언급해 장문이 되기가 쉽다. 따라서 국어 문장을 쓸 때에는 되도록 짧은 문장으로 표현하거나 중간중간에 접속어를 넣어 가면서 표현하는 것이 좋다. 문장이 너무나 길어진 나머지 본래의 주어에 대응하는 서술어를 놓쳐 주술 호응이 되지 않는 문장을 쓰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이렇게 문법에 어긋나는 문장은 그 글을 쓴 사람의 문법 의식을 의심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사고 과정 자체가 비논리적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국어의 특질을 음운, 어휘, 구문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리가 이와 같이 국어에만 있는 특징을 공부를 하는 것은 우리의 국어를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우리는 흔히 국어를 사랑해야 한다고 하지만, 모름지기 사랑이란 결국 이해하는 데서 싹이 트는 것이다.
국어의 특질을 바르게 이해하는 일이야말로 국어를 사랑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할 때, 비로소 국어를 더욱 갈고 닦아야 하겠다는 데 생각이 미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국어가 더욱 세련된다면, 국어를 사용한 의사 소통의 수준도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어를 통해서 풍요로운 문화를 창조하고 전승하는 일도 가능
참고문헌
김방한 / 국어 모음 체계의 변동에 관한 고찰 : 중세 국어 모음 체계의 재구를 위한 방법론적 시도, 동아 문화 2, 1964
김무림 / 중기 국어 모음 체계 일고, 어문논집 28, 1989
김차균 / 훈민정음 해례의 모음 체계, 선오당 김형기 선생 팔질기념 국어학 논총, 서울 : 태학사, 1985/1988
이숭녕 / 모음조화연구, 진단학보 16, 1949
정연찬 / 15세기 국어의 모음 체계와 그것에 딸린 몇 가지 문제, 국어학 18, 1989
최명욱 / 경북방언의 모음 조화,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