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

 1  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1
 2  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2
 3  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3
 4  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4
 5  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5
 6  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6
 7  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7
 8  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8
 9  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9
 10  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개신교의 기원, 개신교의 義(의)개념, 개신교의 탄압, 개신교의 투쟁, 개신교의 부흥운동, 개신교의 성령운동,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신교의 기원

Ⅱ. 개신교의 義(의)개념

Ⅲ. 개신교의 탄압

Ⅳ. 개신교의 투쟁
1. 민족 문화의 수호
2. 무궁화 사건과 십자당 사건
3. 신사 참배 반대 운동

Ⅴ. 개신교의 부흥운동

Ⅵ. 개신교의 성령운동

Ⅶ.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의 비교
1. 소원을 빌거나 기도를 할 때
2. 아주 기본적인 것이 될 수도 있는 인간의 쾌락에 관한 것이다
3. 우상 숭배에 관한 것이다
4. 성체 성사의 유무에 있다
5. 참회 행위에 관한 것이다
6. 성서에 대한 것이다
7. 종교의식의 차이점이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신교의 기원
만주(滿洲)는 한국 개신교가 이 땅에 들어오는 경로가 되었고 역사의 한 장이 되었다. 한국 개신교사에 첫 순교자의 영광을 얻은 토마스(Robert Jeremian Thomas) 목사가 1865년 만주 땅 고려문(高麗門 corean gate)이란 곳에 가서 한국인들에게 복음을 전하기도 했다. 본격적인 기원을 논하기 위해서는 스코틀랜드 선교사인 존 로스(Jhon Ross 羅約翰 1841-1915)와 매킨타이어(John McIntyre 馬勤泰 1837-?)를 들어야만 한다.
한국개신교의 기원은 개신교인으로서 세례를 받은 최초의 사람이 누구인지를 정확히 논한 후에야 가능한 질문이다. 최초로 세례를 받은 사람은 청년 ★★★, 백홍준(白鴻俊)이다. 이때가 1879년이다. 그리고 이들의 수세에 용기를 얻은 이응찬(李應贊)이 7월에 세례를 받았다. 12월에는 이응찬을 따라왔던 한의사 출신의 친척 청년 ★★★이 세례를 받고 의주로 돌아갔다. 이로써 1789년에는 4명의 세례인을 얻게 된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들의 세례 후의 활동이다. 이미 김양선 목사는 1884년에 한국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교회인 서간도 한인교회가 존재했음을 밝혔다. 그러나 이에 감추어진 뒷이야기 1879년부터 1884년까지의 기간에 한국 개신교의 주춧돌 역할을 한 인물이 올바로 밝혀져야 하는 것이다. 1879년에 세례를 받은 4명은 로스와 매킨타이어를 도와 계속 성서번역을 하면서, 한문에서 한글성서로 발간을 하는가 하면, 지방 사투리를 서울 표준말로 바꾸어 나가기 시작했다. 일단의 성서가 완성되면 성서를 가지고 전도활동을 시작하였다.
홍삼 팔러 갔다가 성경 팔러 돌아온 서상륜(徐相崙 1849-1925)은 만주의 스코트랜드 선교사인 로스(J.Ross)를 만나 거듭나는 체험을 했고 1879년 세례를 받았다고 하는데, 우리는 서상륜의 권서활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서상륜을 살핌으로써 1789-1884년간의 자치기간(自治期間)의 모습을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강근권 역(1974) : 한국개신교의 성장에 미친 초기 선교정책의 영향〈신학사상〉6 , 한국신학연구소
김진환(1976) : 한국교회 부흥운동사, 크리스챤 비전사
이만열(1982) : 개신교의 전래와 일제하 교회와 국가, 국가권력과 기독교, 민중사
차은정(1997) : 1960년대 이후 한국 개신교 의례의 변화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학위논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1996) : 1920년대 초 한국 개신교에 대한 사회의 비판, 한국 기독교와 역사
J.욤파르트 지음, 정종휴 옮김(1990) : 가톨릭과 개신교 - 같은 점·다른 점 서로의 이해를 찾아서, 성바오로출판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