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

 1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1
 2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2
 3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3
 4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4
 5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5
 6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6
 7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7
 8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8
 9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9
 10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10
 11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11
 12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12
 13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13
 14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14
 15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15
 16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16
 17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17
 18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18
 19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19
 20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사학] 광개토대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발전과 사회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광개토왕비에 대하여
1.설립배경
2.광개토대왕은 누구인가?
3.비의 위치
4.서체
5.광개토왕비를 둘러싼 현재의 논쟁들

Ⅱ.광개토왕비에 보이는 고구려인들의 사회상
1.기풍
2.수묘인

Ⅲ.광개토왕비에 보이는 정복활동과 대외관계
1.정복활동
2.대외관계

Ⅳ.비문을 통해 본 고구려인들의 천하관
1.고구려 건국 신화에 나타난 천하관
2.인접국과의 관계 속에서의 천하관
3.동아시아 세계 속에서 고구려인의 천하관
4.고구려의 천하관과 중국의 천하관이 다른 점

Ⅴ.광개토왕비의 역사적의의

본문내용
수묘가 중요한 이유
의 왕통보는 현왕의 임무를 마치고 승천한 조상들의 계보상의 위치를, 후손 장수왕이 정리하여 기록한 것이다. 다시 말해 은, 현재에는 명계에 존재할 조상들이 현왕으로 재위하면서 통치한 과거를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장수왕은 을 구성하면서 수묘를 실천하는 역으로 자신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의 세계와 자신을 접속시켜 놓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세계를 계승하는 방법으로 현세를 통치하는 자신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광개토왕은 천하에 떨치는 무위로 국부민은을, 자연조절능력으로 오곡의 풍작을 실현하였으며, 선조왕릉의 수묘에 충실한 후손이었다. 다시 말하자면, 광개토왕은 조상을 숭상하는 의례에 충실한 후손이었으며, 혈통으로 전이되는 왕통보의 무위와 자연조절능력을 적절히 발현하여, 왕통의 권위를 천하에 떨치고 오곡의 풍작을 실현하는 것으로, 국부민은을 실현한 후손이었다. 그 국부민은이, 천제의 후손 광개토왕이, 혈통으로 전이되는 왕통의 권능을 근거로 해서 실현한 것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그가 충실했던 수묘활동이 그의 통치내용과 무관하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처럼 통치가 계보의 능력에 의거한다는 것은 후손들의 통치내용이 조상들의 그것과 동질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 그것은 조상의 수호를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후손들은 조상들의 수호를 획득하려 노력하게 되는데, 그것의 일환으로 거행되는 것이 수묘의례였다. 따라서 현왕의 수묘활동은 조상의 수호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의례이고, 그 수호에 감사하는 보은으로서의 의례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p255~256


Ⅲ.광개토왕비에 보이는 정복활동과 대외관계

1.정복활동
광개토대왕은 위대한 정복군주인 동시에 유능한 통치자였다. 광개토대왕대 고구려의 정복전쟁이 갖는 역사적 의미는 실질적인 농경지의 확보와 민호의 획득을 통한 국력배양에 있었음은 물론이지만 전제왕권의 자존적 대외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인국에 대한 정토를 합리화하는 동시에 주 정복대상에 대하여는 그러한 복속관계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던 점에 있다고 하겠다.
주목되는 것은 고구려에 있어 주 정복대상은 백제와 신라 및 동부여였으며, 왜와 비려 등은 부수적인 대상으로 단지 토멸의 대상일 뿐이었다는 점이다. 이는 고구려에 있어 백제와 신라 및 동부여가 왜, 비려와는 성격이 다른 동일 세력권 내의 민족집단으로 인식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김정배, 『고구려 역사문제 연구 논문집』, 고구려연구재단, 2005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 분과,『고대로부터의 통신』, 푸른역사, 2004
서길수, 『고구려 역사유적 답사 - 홀본, 국내성편』, 사계절, 1998
손영종, 『광개토왕릉 비문 연구』, 중심, 2001
임기환, 『광개토왕릉비의 국연과 간연』, 《연사와 현실》13, 한국역사 연구회, 1994
천관우. 『광개토대왕의 정복활동』,《한구사시민강좌》3, 일조각, 1987
안춘배, 『광개토대왕릉비문 연구 (1)-비석의 문단과 해석을 중심으로』, 고고역사학지 8, 동아대학교 박물관, 1992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2000 , 사계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