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

 1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1
 2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2
 3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3
 4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4
 5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5
 6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6
 7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7
 8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8
 9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9
 10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10
 11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11
 12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12
 13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13
 14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행복] 행복의 측정, 행복의 느낌,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행복

I. 행복의 측정

II. 행복의 느낌

III. 사람들은 얼마나 행복한가?

IV. 행복의 결정요인
1. 행복과 성격
2. 기본 욕구의 충족
3. 큰 행운 또는 불행이 우리 삶에 주는 영향

V. 과연 행복은 무엇인가?
본문내용
행복

행복이란 우리 누구나 열망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무엇인지 쉽게 정의 내릴 수도 또 사람들이 쉽게 자신의 행복수준을 판단할 수도 없다. Averil과 More(1993)는 행복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정리하고 그 정의를 종합한 결과 행복이란 경계(boundary)가 없는 'fuzzy set'이고 전형적인 유형(Prototype)이 없다고 결론지었다. 이들은 행복연구자들이 행복이란 피험자가 생활을 전체로 평가하거나 중요한 생활영역 예컨대 가정생활 그리고 직장생활을 평가한 것으로 규정하거나 행복의 범위를 좁혀 즐거움 또는 기쁨을 측정했지만 그 어느 것도 행복의 진면목을 들어내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행복에 대한 정의가 이렇게 오리무중인 또 다른 원인은 행복에 대한 개인의 생각, 느낌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부귀다남을 행복의 조건으로 생각해 왔다. 우리가 행복하려면 경제적으로 풍족해야 하고 출세해야 한다는 생각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러나 어느 정도로 돈이 많아야하고 어느 정도로 출세해야 행복할지에 관해서는 각자 생각이 다를 것이다. 또 어떤 사람은 진정한 행복은 물질적인 풍족이 아닌 편안한 마음가짐에 있다고 주장할 수 있는데 이도 맞는 말이다. 이렇게 보면 행복을 과연 과학적으로 다룰 수 있겠는가하는 의구심마저 생긴다. 즉 행복은 과학으로보다는 오히려 철학 또는 윤리학적으로 다루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이런 저런 이유 때문에 지금까지 심리학자들은 행복에 관해 관심을 가져오지 않았다.
1970년대에 이르러 행복과 유사한 개념인 주관적 안녕(subjective Wellbeing)을 연구하는 일군의 심리학자들이 생겨났고 이들은 설문지방법이나 기타 사회조사방법으로 이 문제를 연구했다. 이들이 주관적 안녕을 연구하게 된 배경은 사회학에서 일기 시작한 사회지표(social indicators)연구 때문이다. 사회지표 연구한 어떤 사회가 행복한 사회인지의 여부를 가리려는 목적으로 한 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문화적 수준을 찾아보고 이를 지표로 나타내려는 것이다. 예컨대 어느 나라가 사회보장제도가 잘 갖추어져 있으면 그 결과 인간의 수명과 같은 사회지표가 좋게 나타날 것이다. 아울러 어떤 사회가 교육기회가 균등하고 취업이 용이하다면 그 사회의 교육수준과 취업률이란 사회지표가 좋을 것이며 이렇게 여러 가지 사회지표가 좋은 국가는 행복한 사회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GNP나 GDP같은 경제지표도 중요한 사회적 지표가 된다. 그런데 사회지표를 연구한 사회학자들이 재미있는 연구결과를 얻게 되었다.
하고 싶은 말
세심히 정리하여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참고하시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