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

 1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1
 2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2
 3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3
 4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4
 5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5
 6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6
 7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7
 8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8
 9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9
 10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10
 11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11
 12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12
 13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13
 14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14
 15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15
 16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16
 17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17
 18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18
 19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19
 20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목 차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이인식)
Ⅰ.문학, 과학기술을 즐기다
1장 학문의 통합과 자연의 융합(박이문)
2장 허름한 지도 제작자의 삶(복거일)
3장 과학과 문학(존 버로스)
Ⅱ.어문학자, 경계를 넘다
1장 상상력과 테크놀로지의 융합을 위한 테크네 인문학(임정택)
2장 문학과 뇌(석영중)
3장 중문과 나온 기자, 건축을 전공 삼다(구본준)
Ⅲ.철학, 과학기술에 빠진다
1장 공간의 다차원성(조광제)
2장 사이보그와 매트릭스(신상규)
3장 로봇 윤리(이상헌)
Ⅳ.종교학자에게 과학기술은 무엇인가
1장 신학 연구에 있어서의 과학(조군호)
2장 새로운 정신의 탄생(신승환)
3장 불교와 과학(윤성식)
Ⅴ.사회학자, 과학기술을 생각하다
1장 다른 것과의 만남(김진현)
2장 법과 환경(이상돈)
3장 보이지 않는 도시를 찾아서(전상인)
4장 사이버공간의 의미와 변화(홍성태)
Ⅵ.경제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
1장 ‘예술 수준의 기술’을 통한 융합 혁신(김용근)
2장 경제학은 욕망의 단순한 계산기에 불과한가?(송경모)
3장 환경 경제와 기술의 만남(임성진)
4장 인문과 시술 융합을 위한 정책 방향(송종국)
5장 산업 융합의 나아갈 방향(안현실)
Ⅶ.행정학자, 과학시술과 융합하다
1장 리더십 교육에 과학과 예술을 입히다(김광웅)
2장 과학기술과 지역 발전(강계두)
3장 과학시술 정책(염재호)
서문
따뜻한 기술을 위하여
이인식(지식융합연구소 소장)
300년 전 우리가 기술과 인문주의를 떼어 놓았을 때 큰 잘못을 저질렀다. 이제는 이 두 개를 함께 제자리에 되돌려 놓을 때이다. -마이클 더투조스
1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멋지게 융합되는 모습이 궁금한 독자들에게 더글러스 호프스태터의 [괴델, 에셔, 바흐]만큼 휼륭한 본보기도 없을 것 같다. 1979년 미국에서 출간되어 이듬해에 퓰리처상을 받고 베스트셀러가 된 이 책에 대해 당대 최고의 과학 저술가 마틴 가드너(1914~2010)는 “몇십 년마다 한 명쯤의 무명작가가 불쑥 나타나서 논의의 심오함이나 명증성, 다루는 주제의 광범위한 폭과 번뜩이는 재치, 나아가서 아름다움과 독창성에서 단숨에 획기적인 사건으로 기록되는 놀라운 책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이 책이 그런 책이다.”라고 극찬했다.
호프스태터는 음계(바흐의 카논), 계단(에셔의 ), 패러독스(괴델의 정리)에서 ‘이상한 고리(strange loop)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에셔의에서처럼 우리가 계층구조를 가진 체계에서 어떤 수준을 따라 위쪽(또는 아래쪽)을 향해 이동하다가 느닷없이 처음 출발했던 곳에 다시 돌아와 있는 우리 자신을 발견할 때마다 이상한 고리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음악, 미술, 수학에서 이상한 고리의 사례를 찾아낸 호프스태터는 마음을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뇌를 하드웨어에 비유하고 뇌가 떠받들고 있는 마음에서 의식이 출현하는 것처럼 컴퓨터 역시 하드웨어의 지원을 받는 소프트웨어로부터 의식이 창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말하자면 인공지능 컴퓨터가 사람의 마음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이 책은 한마디로 인문학과 과학기술을 가로지르며 상상력의 정수를 모조리 모아 놓은 듯한 역작이라 하겠다.
2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융합이 활발히 전개될수록 과학전쟁이 발발할 개연성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과학전쟁이란 과학철학과 과학사회학 등 과학학 이론가들이 과학 지식은 객관적인 진리가 아니며 사회문화적 조건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 한 것이 빌미가 되어 과학 지식의 본질을 놓고 자연과학자와 인문학자 사이에 전쟁 하듯 주고받는 논쟁을 가리킨다.
과학철학자인 토머스 쿤(1922~1996)은 과학의 진보가 누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패러다임의 변환을 통해 혁명적으로 성취된다고 주장했다. 한 시대의 과학자 사회가 채택한 가설, 법칙, 이론, 개념을 통틀어 패러다임이라한다. 따라서 과학에 관한 지식은 본질적으로 어느 한 집단의 공통된 속성일 따름이다. 본격적으로 과학전쟁이 불붙기 시작한 기기는 1994년. 미국 생물학자 폴 그로스와 수학자 노먼 레빗(1943~2009)이 함께 펴낸[고등 미신]이 도화선이 되었다. 책의 부제는 ‘학문적 좌익과 그들의 과학과의 싸움’이 었는데, 사회구성주의자, 포스트모던과학자, 페미니스트, 급진적 환경론자들을 학문적 좌익으로 규정하고 이들의 과학에 대한 무지와 적대적 태도를 맹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