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구과학회319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Vari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ctic Oscillation and East Asian Winter Monsoon in CCSM3 Simulation
( Jieun Wie ) , ( Byung-kwon Moon ) , ( Hyomee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1호, 1~8페이지(총8페이지)
TAG Arctic Oscillation, East Asian Winter Monsoon, cold surge, sea ice cover, climate change
X-밴드 이중편파 레이더 변수를 이용한 과대굴절에코 제거
서은경 ( Eun-kyoung Seo ) , 김동영 ( Dong Young Kim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1호, 9~23페이지(총15페이지)
레이더 빔의 과대굴절현상은 수증기압과 기온의 특정한 연직적 대기 조건 하에 주로 발생한다. 과대굴절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전파에코는 레이더 영상에서 강수에코로 자주 오인되기 때문에 자료품질 과정에서 미리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 관측에서 비기상에코(과대굴절에코와 청천대기에코)와 기상에코의 영역에 있는 이중편파변수(차등반사도, 교차상관계수, 차등위상차) 자료들만을 수집하여, 반사도와 이중편파변수들과의 관계성 및 그룹함수에 대해서 두 에코 유형을 비교하였다. 이들 이중편파변수에 텍스쳐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비기상에코를 최대한 제거하는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용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전반적으로 이 알고리즘은 이상전파에코를 비교적 잘 탐지하여 제거하였으며, 또한 전라남도 진도에 위치한 S밴드 단일편파레이더 영상 자료와 비교하여 정성적으로 평가...
TAG super-refraction echo, anomalous propagation, dual-polarimetric parameters, X-band radar, algorithm, 과대굴절에코, 이상전파에코, 이중편파변수, X밴드 레이더, 알고리즘
황해 중동부 해역 YSDP-105 심부코어 지점의 지음향 모델
양우헌 ( Woo-hun Ryang ) , 진재화 ( Jae-hwa Jin ) , 한주영 ( Jooyoung Hahn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1호, 24~36페이지(총13페이지)
황해 중동부에서 후기 플라이스토세-홀로세 동안 빙하기원 전 지구적 해수면 변동과 지역적인 지구조 침강은 퇴적 단위층의 중첩된 매적 양상으로 나타났다. 중첩 퇴적층은 고해상 에어건 탄성파 단면과 YSDP-105 시추코어에서 A형과 B형의 두가지 유형의 단위층으로 구분된다. A형 단위층은 주로 역이 풍부한 조립질 육성 및 인접 천해성 퇴적물인 반면, B형 단위층은 조석의 영향을 받은 세립질 퇴적물로 대부분 구성된다. 퇴적 단위층의 지층 모델에 근거하여, 이 연구는 황해 중동부 해역에 위치한 YSDP-105 시추 지점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모델을 제시하였다. 수심 45 m의 대륙붕 지층에서 4개 지음향 단위층으로 구성된 64-m 심도의 지음향 모델을 구성하였다. 실제 모델링을 위해, 모델의 지음향 특성값은 Hamilton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면...
TAG geoacoustic model, YSDP-105, geoacoustic property, Yellow Sea, 지음향 모델, 지음향 특성, 황해
2016년 태풍 차바 내습 전후의 해운대 해빈의 침식과 회복 과정
이영윤 ( Young Yun Lee ) , 장태수 ( Tae Soo Chang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1호, 37~45페이지(총9페이지)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은 양빈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침식이 일어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파랑 에너지 증가와 간헐적인 태풍이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2016년 10월 태풍 차바는 부산을 내습하였는데, 태풍이 해빈침식에 있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태풍 전과 후 VRS-GPS 시스템을 사용해 해빈 측량과 표층 시료를 채취하여 입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침식 후 복원이 어느 정도 되는지 주기적으로 해운대 해빈 지형을 측량하였다. 조사결과, 태풍 내습 직후 해운대 해빈은 평균 약 1.4m 침식되어 낮아졌고, 평균 고조위선은 약 12 m 후퇴했으며, 이에 따라 해빈 경사는 3.8o에서 1.7o로 완만해졌다. 퇴적물 평균입도는 평균 1.6Φ에서 2개월 후 1.2Φ로 조립해졌으며, 분급은 상대적으로 좋아졌다. 태풍 내습 2개월 ...
TAG Haeundae, Typhoon ‘Chaba’, Beach erosion, Beach recovery, 해운대, 태풍 차바, 해빈침식, 해빈회복
광화문 월대 부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석재공급지 추정
박성철 ( Sung Chul Park ) , 박상구 ( Sang Gu Park ) , 김성태 ( Sung Tae Kim ) , 김재환 ( Jae Hwan Kim ) , 좌용주 ( Yong-joo Jwa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1호, 46~55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광화문 월대로 사용된 석재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를 활용한 석재공급지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월대는 2010년에 일부 구간이 다시 복원된 것으로 원부재인 담홍색 화강암과 신석재인 회백색 화강암이 사용되었다. 석재공급지 추정을 위해 북한산과 수락산의 지질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채취한 시료는 모두 담홍색 화강암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전암대자율은 북한산에 비해 수락산의 값이 크고 암석의 색에서 부분적인 차이를 보이지만 수락산이 상대적으로 선명한 담홍색을 띤다. 수락산은 월대에 사용된 원부재와 비슷한 암석기재적 특징, 전암대자율, 역사적 사료 그리고 야외조사 시 발견된 채석흔적 등을 통해 최종 복원용 석재공급지로 판단된다. 물성시험 결과, 월대 원부재는 풍화로 인해 147 MPa로 다소 낮은 수치를 보이며 석재공급지로 생각되는 수락산은 244 ...
TAG Kwanghwamun Woldae, Mt. Surak, Magnetic susceptibility, Ultrasonic velocity, Schmidt hammer, 광화문 월대, 수락산, 전암대자율, 초음파속도, 슈미트해머
물리적 지진모델링 기반 강지진동 모사를 통한 진도 감쇠 특성 분석
김수경 ( Su-kyong Kim ) , 송석구 ( Seok Goo Song ) , 경재복 ( Jai Bok Kyung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1호, 56~67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미국 남캘리포니아 지진센터에서 개발한 물리적 지진모델링 기반 광대역 강지진동 모사 플랫폼(버전 16.5)을 활용하여, 규모 6.0, 6.5, 7.0 지진에 대한 진도 감쇠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진 발생 위치는 2016년 규모 5.8 경주 지진 진앙 인근을 가정하였으나 지각 전파 모델의 경우 남캘리포니아 강지진동 모사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지각 모델 두 개를 사용하였다. 하나는 판 내부를 대표하는 미국 중동부 지역(Central and Eastern United States, CEUS) 모델이고 다른 하나는 판의 경계를 대표하는 미 서부 지역(LA Basin) 모델이다. 버전 16.5 플랫폼에는 5개의 모델링 방법론이 제시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Song 모델과 Exsim 모델을 사용하였다. 동일 규모...
TAG seismic hazard, intensity attenuation, ground motion, physics-based earthquake modeling, 지진 재해, 진도 감쇠, 지반 진동, 물리적 지진 모델링
초등학교 교사의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과학 교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형욱 ( Hyunguk Kim ) , 이효녕 ( Hyonyong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제40권 제1호, 68~85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는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4명의 초등 교사가 참여했으며,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질문은 Seidman(1998)과 Schuman(1982)이 제시한 면담법을 재구성하였으며, Giorgi(1985)의 현상학적 체험 연구 방법 4단계를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수업 중에 시스템 사고를 증진시키는 확산적 발문을 많이 하였고, 학생 중심의 물리적, 심리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시스템 사고를 향상시켰다. 둘째, 교사들은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수학습 예시 자료의 부족과 수업 주제 선정의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또한, 평가 도구와 측정 방법이 부족하여 학생...
TAG system thinking, science inquiry class, phenomenological study, elementary school teacher, 시스템 사고, 과학 탐구 수업, 현상학적 연구, 초등 교사
12CO 분자선 관측 자료를 이용한 오리온 분자운 복합체내 북쪽 필라멘트의 운동학 연구
조훈 ( Hoon Jo ) , 손정주 ( Jungjoo Sohn ) , 김신영 ( Shinyoung Kim ) , 이지원 ( Jeewon Lee ) , 김성수 ( Sungsoo S. Kim ) , ( Mark Morris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6호, 519~532페이지(총14페이지)
우리는 오리온 분자운 복합체의 북부 필라멘트(이하 NF)에 대하여 12CO (J=1-0) 분자선의 자료를 이용하여 은하 평면이 분자의 운동과 운동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6 m 서울대학교 전파망원경(Seou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SRAO)을 이용하여 2arcmin 공간분해능으로 은하면으로부터 먼 순서로 NF1, NF2, NF3 세 곳을 총 270시간 동안 관측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은하면과 OMC NF는 12CO (J=2-1) 경우 3% 밀도에서, 티끌의 경우 9% 밝기 수준에서 자기장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12CO (J=1-0), 12CO (J=2-1), 성간 티끌 관측결...
TAG Orion Molecular Clouds Complex (OMC), filament, galactic plane, 12CO line, 오리온 분자운 복합체, 필라멘트, 은하면, 12CO 분자선
한반도 육상지역에서의 위성기반 IMERG 월 강수 관측 자료의 정확도 평가
류수민 ( Sumin Ryu ) , 홍성욱 ( Sungwook Hong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6호, 533~544페이지(총12페이지)
강수는 기상학, 농업, 수문학, 자연재해, 토목 및 건설 등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상 변수들 중 하나이다. 최근 이러한 강수를 탐지하고, 측정 및 예보를 하기 위해서 위성원격탐사기술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에서 발사한 전 지구 강수 관측 위성인 GPM 위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자료와 합성된 강수 자료인 IMERG 자료의 정확도를 한반도, 특히 남한지역에 대해 지상관측자료와 비교분석 하였다. 기상자동관측 장비인 AWS의 관측 강수량을 검증 자료로 사용하여,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의 기간 동안 한반도의 육상부분에 대하여 IMERG의 월 강수량 자료를 비교 검증하였다. 잘 알려진 대로 ...
TAG rainfall, IMERG, AWS, accuracy assessment, 강수, 정확도 평가
백악기 음성분지 남서부의 구곡리-농다리 퇴적층과 퇴적환경
양우헌 ( Woo-hun Ryang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6호, 545~554페이지(총10페이지)
백악기 음성분지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한 공주 주향이동 단층대를 따라 생성된 인리형 분지이다. 분지 남서부의 구곡리 농다리-미르 숲에는 두꺼운 자색 이암 퇴적층이 분포하며, 역암, 역질 사암, 녹색 이암 등이 자색 이암층에 협재한다. 퇴적층은 7개의 퇴적상으로 구성된다: 층리를 보이는 역암(C2), 실트암 내 역암(CE), 실트암 내 층리를 보이는 역질 사암(PSE2), 자색 사질 실트암(Zp), 녹색 사질 실트암(Zg), 자색 이암(Mp), 녹색 이암(Mg). 퇴적환경은 분지 남서부에서 발달하였던 충적-호소 퇴적계에서 충적 평원이 우세한 환경으로 해석된다. 구곡리 퇴적계의 퇴적층을 1:5000 축척 지형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도로 지질도로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이 숲의 새로운 노두에서 측정한 고수류 방향 자료와 퇴적층의 특징에 근거하여,...
TAG pull-apart basin, Cretaceous Eumsung Basin, Nongdari-Meer forest, Gugokri sedimentary system, 인리형 분지, 백악기 음성분지, 농다리-미르 숲, 구곡리 퇴적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