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구과학회319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반도 서해 연안 해역에서의 해양 부이 관측 수온과 위성 마이크로파 관측 해수면온도의 비교
김희영 ( Hee-young Kim ) , 박경애 ( Kyung-ae Park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6호, 555~567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서해 연안에서의 실측-위성 해수면온도 차이를 규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GCOM-W1/AMSR2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 자료와 서해 연안에 위치한 덕적도, 칠발도, 외연도 해양기상 부이의 실측 수온 자료를 활용하여 2012년 7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총 6,457개의 일치점 자료를 생산하였다. 5년 이상의 덕적도, 칠발도, 외연도 해양 부이 수온 자료와 AMSR2 해수면온도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제시하였다. 마이크로파 위성 해수면온도와 현장관측 부이 해수면온도 간의 차이는 풍속과 수온 등 환경 요인에 대한 의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시간 풍속이 약할 때 (<6 ms-1) AMSR2 해수면온도는 실측 해수면온도보다 높게 산출되며, 밤시간에 대해서는 풍속이 커질수록 양의 편차가 증가함을 밝혔다. 또한...
TAG sea surface temperature, GCOM-W1/AMSR2, oceanic buoys, microwave radiometer, SST difference, 해수면온도, 해양기상부이, 마이크로파 위성, 해수면온도 차이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흑요석 내 미세결정의 형태와 조직 관찰
좌용주 ( Yong-joo Jwa ) , 황가현 ( Ga-hyun Hwang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6호, 568~574페이지(총7페이지)
흑요석 내 미세결정은 화산암질 마그마의 과냉각 조건에서 정출된 아주 작은 결정이다. 백두산, 일본 규슈와 홋카이도, 그리고 이태리 리파리 섬에서 산출되는 흑요석을 대상으로 그 내부에 포함된 미세결정의 형태와 조직을 전자현 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여 정리하였다. 전자현미경의 후방산란전자 이미지로부터 관찰한 보다 자세한 미세결정에 대한 형태학적 분류는 기존의 광학현미경으로 얻을 수 없는 미세결정의 결정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 논문에서는 Clark (1961)의 미세결정 형태 분류 14가지 중에서 10가지에 대해 새로이 기재하였다. 즉, Lath, Crenulite, Bacillite, Margarite, Belonites, Trichites, Arculites, Furculite, Scopulites, Scopulitic growth 등의 미세결정에 ...
TAG obsidian, microlite, morphology, texture, electron microscopy, 흑요석, 미세결정, 형태, 조직, 전자현미경
일본 산인해안지오파크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의 형성메커니즘
안건상 ( Kun Sang Ahn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6호, 575~592페이지(총18페이지)
일본 산인해안지오파크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에 대해 그 형태, 암종 및 이를 형성하는 화성암의 산출상태를 조사하여 형성메커니즘을 연구했다. 이 지오파크에서 주상절리가 분포하는 지역은 3개 지방의 5개 구역이다. 조사한 주상절리 분포는 다음과 같다. 쿄토부 교탄고 지역: 쿄가미사키( ヶ岬), 뵤부이와(屛風岩), 타테이와(立岩)와 큐겐카도(給源火道); 효고켄 토요오카 시: 겐부도(玄武洞), 키누마키신사(絹卷神社); 효고켄 가미초: 요로이노소테(鎧の袖), 타카노스시마(鷹の島), 미니 요로이노소데(mini 鎧の袖); 효고켄 신온센초: 미오오시마(三尾大島)와 나가사키하나(長崎鼻), 시타아라동문(下荒洞門), 쿠자쿠이시(孔雀石), 모로요세(諸寄) 맥암; 돗토리켄 이와미초: 시라와라(城原海岸)의 석영반암 맥암이다. 화성구조는 크게 용암류, 암상, 암맥으로 삼분되며, ...
TAG columnar joint, Sanin Kaigan Geopark, Genbudo, Hyogo prefecture, basalt, 주상절리, 산인해안지오파크, 겐부도(현무동), 효고켄, 현무암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IC)를 이용한 경산 지진관측소 P파와 S파 도착시간 자동추정
권조아 ( Joa Kwon ) , 강수영 ( Su Young Kang ) , 김광희 ( Kwang-hee Kim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6호, 593~599페이지(총7페이지)
P파와 S파의 도착시간 정보는 지진 발생위치 결정, 1차원 및 3차원 지하구조 등 지진학 연구 수행에 중요한 정보이다. 최근 지진관측소의 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관측망을 운영하면서 수동으로 지진파의 도착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일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진원요소에 대한 사전정보(지진 발생위치와 시간)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IC)을 적용하여 추가의 관측소에서 국지지진의 P파와 S파의 도착시간을 자동측정하였다. 해당 방법을 경산(DAG2) 지진관측소에 기록된 자료에 적용한 후 수동 측정한 값과 자동 측정한 값을 비교한 결과 P파의 경우 95.1%, S파의 경우 93.7%가 0.1초 이하의 차이를 보이면서 결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동측정결과의 높은 정확성은 향후 고밀도...
TAG earthquakes, automatic onset time estimation,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IC), seismic array, 지진, 초동 자동 추정,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지진관측망 운영
초등학생들의 과학 흥미 수준의 변화와 발달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최윤성 ( Yoon-sung Choi ) , 김찬종 ( Chan-jong Kim ) , 최승언 ( Seung-urn Cho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6호, 600~616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흥미가 발달한 초등학생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 2개의 초등학교 201명을 대상으로 1년 동안 3차례에 걸쳐서 흥미 변화, 과학과 관련된 활동의 선호도와 참여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차례의 설문조사에서 과학 흥미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 참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사례연구 참여에 동의한 7명의 학생들에게 12주에 걸쳐서 매일 과학관련 활동 포토저널을 작성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는 2주에 한 번씩 연구자 중 한 명을 만나 총 6차례 반-구조화된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7명의 사례연구 참여자 중에서 과학 흥미가 상황적 흥미 II 수준까지 발달한 학생 1인과 개인적 흥미 I 수준까지 발달한 학생 1인, 총 2명(TK와 QQ)을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심층 분석을...
TAG interest in science, development of interest in science, science activity, photo-journal, 과학 흥미, 과학 흥미 발달, 과학 활동, 포토저널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 실험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이규호 ( Gyuho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6호, 617~629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 실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화산 활동모형 만들기’ 실험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30명의 초등 교사들에게 설문을 통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학교과학 탐구의 목표를 바탕으로 해당 실험에 가진 장점과 개선점을 알아보았다. 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50-60%가 경력이나 근무 지역에 관계없이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사들이 언급한 현재 교과서 화산모형 만들기 실험의 장점은 안전하고 학생들의 창의성에 개발에 유용하다는 것이었다. 반면, 교사들은 현재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의 문제점으로 현재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은 이 수업이 추구해야 하는 본질과 괴리가 있으며 실제 화산 활동 모습과도 다르고 단순한 만들기 활동에 한정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
TAG teachers’ perceptions, making volcanic activity model, the goal of school science inquiry, reality, 교사의 인식,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 학교 과학 탐구의 목표, 실제성
A Case Study of Tsukuba Tornado in Japan on 6 May 2012
( Seonhee Choo ) , ( Ki-hong Min ) , ( Kyung-eak Kim ) , ( Gyuwon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5호, 403~418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 실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화산 활동모형 만들기’ 실험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30명의 초등 교사들에게 설문을 통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학교과학 탐구의 목표를 바탕으로 해당 실험에 가진 장점과 개선점을 알아보았다. 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50-60%가 경력이나 근무 지역에 관계없이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사들이 언급한 현재 교과서 화산모형 만들기 실험의 장점은 안전하고 학생들의 창의성에 개발에 유용하다는 것이었다. 반면, 교사들은 현재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의 문제점으로 현재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은 이 수업이 추구해야 하는 본질과 괴리가 있으며 실제 화산 활동 모습과도 다르고 단순한 만들기 활동에 한정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
TAG tornado, supercell, instability, potential vorticity, topography
기상기후정보가 마늘 작물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적 가치 분석
박승혜 ( Seung Hye Park ) , 문윤섭 ( Yun Seob Moon ) , 정옥진 ( Ok Jin Jeong ) , 강우경 ( Woo Kyeong Kang ) , 김다빈 ( Da Bin Kim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5호, 419~435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서산·태안 지역에서 마늘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기상 및 기후 인자를 파악하고 농가의 기후 정보이용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지역에서 기후 특성과 경향이 1984-2013년의 서산지방기상청 기상자료, 1989-2013년의 마늘 생산량 국가통계자료, 2001-2100년간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RCP 4.5, 8.5)와 함께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산·태안 지역에서 겨울철 평균기온과 평균풍속이 다른 마늘 재배 지역에 비해 낮고 강하여 마늘 성장을 위한 저온 조건을 만족하였고, 5월의 누적강수량이 감소하여 한지형 마늘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마늘의 수확기 때 평균기온, 누적강수량 및 평균풍속 등의 증가추세로 인해 미래 한지형 마늘 재배지는 줄어들 것이다. ...
TAG Product of garlic, meteorological and climatical factors, the seedtime and the harvest time, economical evaluation, 마늘 생산량, 기상 및 기후 인자, 기후변화 시나리오, 파종적기와 수확적기, 경제적 가치
2016년 동아시아 해역의 MOHID 지역 해양 순환 모델 검증
이재호 ( Jae-ho Lee ) , 임병준 ( Byeong-jun Lim ) , 김도연 ( Do-youn Kim ) , 박상훈 ( Sang-hoon Park ) , 장유순 ( You-soon Chang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5호, 436~457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순환 모델인 MOHID (MOdelo HIDrodinâmico) 모델을 적용하여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해역의 2016년 해황 변동을 재현하였다. 재현 결과는 객관 분석장(EN4, ARMOR3D, AVISO, SIO 자료)과 현장 관측 자료(정선 해양 자료, 부이 자료)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MOHID로 재현된 수온, 해면 고도 편차, 표층유속 및 혼합 층 깊이 등의 전반적인 해황 구조가 동아시아 해역의 객관 분석 자료들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연안의 부이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표층 수온 및 해면 고도 편차의 상관 계수는 모두 0.8 이상이며, 표준화된 표준편차는 0.85-1.15의 값을 보였다. 그러나 여름철 동해의 수온 약층의 구조 및 황해와 남해의 강한...
TAG MOHID, East Asian seas, objective analysis, in-situ observation, 동아시아 해역, 객관 분석, 현장 관측
울산 울주군 대곡리에서 산출된 백악기 익룡 발자국: 한반도 익룡의 시공간적 분포
하수진 ( Sujin Ha ) , 채용운 ( Yong-un Chae ) , 임종덕 ( Jong Deock Lim ) , 김정빈 ( Cheong-bin Kim ) , 임현수 ( Hyoun Soo Lim ) , 김경수 ( Kyung Soo Kim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5호, 458~472페이지(총15페이지)
울산 울주군 대곡리 공룡 발자국 화석산지(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호)에서 익룡 발자국이 새롭게 발견되었다. 이들은 울산 지역 백악기 퇴적층에서 처음 보고된 것이다. 이 발자국 화석산지는 익룡 발자국이 집중적으로 보고되었던 경상남도 해안 지역과 지리적으로 비교적 원거리에 위치하고, 층서적인 차이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곡리의 익룡 발자국 및 보행렬을 기재하였고, 백악기 동안 한반도에서 활동한 익룡의 시공간적 분포를 논의하였다. 대곡리에서 발견된 익룡 발자국은 형태적인 특징에 근거해 Pteraichnus ichnosp.로 분류할 수 있다. 대곡리 익룡 발자국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한반도 익룡 발자국의 분포를 근거로 할 때, 한반도의 익룡들은 적어도 약 1억2천 만 년 전(120 Ma, 전기 백악기)부터 8천만 년 전(80 Ma, 후기 백악기)까지...
TAG Pterosaur track, Spatio-temporal distribution, ichnodiversity, Cretaceous, Ulsan, 익룡 발자국, 시공간적 분포, 생흔다양성, 백악기, 울산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