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구과학회319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활용한 야외지질학습 개발 및 적용
최윤성 ( Yoon-sung Choi ) , 김찬종 ( Chan-jong Kim ) , 최승언 ( Seung-urn Cho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2호, 178~192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지질답사 장소를 개발하고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야외지질학습에 적용하는 것이다. Orion(1993)의 가상의 공간(Novelty Space)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고려하고 답사 장소를 개발하였다. G 영재 교육원 과학과 8명 학생을 대상으로 ‘관악산 형성과정’이라는 것을 주제로 하여 총 5차시 분량의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활용한 야외지질학습을 실시하였다. 야외지질학습 전후로 1차시 분량의 설문 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개념 이해 정도를 파악하고, 심층 면담에서는 개념 확인과 야외지질학습의 정의적인 면을 다루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야외 답사 장소는 계곡 하류와 상류로 각각 명명하였고 변성암, 화강암, 절리, 포획암, 광물 입자를 관찰하도록 구성하였다. 두 번째, 사전...
TAG 화강암, 야외지질학습,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관악산, granite,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Mt. Gwanak
인공위성 고도계 해상풍 검증과 해상상태편차와의 관련성 - 이어도, 마라도, 외연도 해상풍 관측치를 중심으로 -
최도영 ( Do-young Choi ) , 우혜진 ( Hye-jin Woo ) , 박경애 ( Kyung-ae Park ) , 변도성 ( Do-seong Byun ) , 이은일 ( Eunil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2호, 139~153페이지(총15페이지)
해상풍은 장기간동안 인공위성 산란계와 마이크로파 복사계를 주로 활용하여 관측되어왔다. 반면 위성 고도계 산출 풍속 자료의 중요성은 산란계의 탁월한 해상풍 관측 성능으로 인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인공위성 고도계 풍속 자료는 해수면고도를 산출하기 위한 해상상태편차(sea state bias) 보정항의 입력 자료로서 활용됨에 따라 높은 정확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고도계(GFO, Jason-1, Envisat, Jason-2, Cryosat-2, SARAL) 풍속을 검증하고 오차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와 마라도, 외연도 해양기상부이의 풍속 자료를 활용하여 2007년 12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총 1504개의 일치점 자료를 생성하였다. 해양실측 풍속에 대한 고도계 풍속은 1.59 m s-1의 평...
TAG 인공위성 고도계, 풍속,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기상청 해양기상부이, 오차 특성, 해상상태편차, satellite altimeter, wind speed, Ieodo Ocean Research Station(IORS), KMA buoy, characteristics of error, sea state bias
연세에어로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지궤도위성 센서(AHI, GOCI, MI)로부터 산출된 에어로졸 광학두께 비교 연구
임현광 ( Hyunkwang Lim ) , 최명제 ( Myungje Choi ) , 김미진 ( Mijin Kim ) , 김준 ( Jhoon Kim ) , 고수정 ( Sujung Go ) , 이서영 ( Seoyoung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2호, 119~130페이지(총12페이지)
동아시아 지역의 에어로졸 광학정보에 대하여 천리안 위성에 탑재된 GOCI, MI, 그리고 Himawari 8 위성에 탑재된 AHI 센서들의 측정자료를 연세 에어로졸 알고리즘(YAER)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센서에서 산출되는 에어로졸 광학두께(Aerosol optical depth, AOD)를 상호비교하고, 지상장비인 AERONET과의 검증결과도 보였다. 사용한 AOD 자료는 세 종류의 센서에서 최소반사도 방법(Minimum reflectance method, MRM)을 이용하여 산출된 AOD, 그리고 AHI에서는 단파적외선이용 지표면정보산출방법(Estimated surface reflectance from SWIR, ESR)을 이용한 방법의 AOD까지 총 네가지이다. 세 위성간의 산출결과에...
TAG 에어로졸 광학두께, 히마와리위성 기상탑재체, 천리안 위성 해양탑재체, 천리안 위성 기상탑재체, 정지궤도위성, aerosol optical depth, AHI, GOCI, MI, geostationary satellite
기상위성 휘도온도와 기상레이더 반사도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영역의 강우강도 추정 비선형 관계식 개선
최학림 ( Haklim Choi ) , 서종진 ( Jong-jin Seo ) , 배주연 ( Juyeon Bae ) , 김수진 ( Sujin Kim ) , 이광목 ( Kwang-mog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2호, 131~138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위성의 밝기온도를 기반으로 한 정량적 강우량 추정기법의 개선을 위함이다. 우리나라 여름철 강우사례를 이용하여 강우추정을 위한 비선형 관계식을 개선하였다. 분석을 위해 레이더 자료로 기상청 기상레이더 관측망의 고도 1.5 km와 CMAX 반사도 합성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위성자료는 천리안 위성의 가시, 적외, 수증기 채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새롭게 도출된 알고리즘은 A-E method, CRR v4.0 analytic function의 결과와 비교를 하였다. 검증을 위해 우리나라 ASOS에서 관측한 지상강우량 자료를 사용하였다. 공간검증을 위해 검증지수로 POD, FAR, CSI를 계산하였으며 각각 0.67, 0.76, 0.21로 나타났다. 정량적 강우검증을 위해 MAE와 RMSE를 계산하였으며 각각 2.49, 6.18 mm/h였다. ...
TAG 위성, 레이더, 강우강도, 비선형 관계식, 통신해양기상위성, satellite, radar, rainfall intensity, non-linear equation, COMS
동해 울산 연안해역 SSDP-105 심부코어 지점의 지음향 모델
양우헌 ( Woo-hun Ryang ) , 이광수 ( Gwang-soo Lee ) , 한주영 ( Jooyoung Hahn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2호, 154~163페이지(총10페이지)
지음향 모델은 수중과 해저 음파의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해저 지층의 물성과 음향 특성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동해 남서부 내대륙붕에 위치한 울산 해역의 SSDP-105 시추 지점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수심 79 m의 연안 퇴적 지층에서 52 m 심도의 3개 지음향 모델을 구성하였다. 지음향 모델은 연구 해역의 SSDP-105 심부시추 코어 자료와 스파커 탄성파 단면 자료에 근거한다. 실제 모델링을 위해, 모델의 지음향 특성값은 Hamilton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면 하부 현장 심도의 특성값으로 보정하였다. 이 지음향 모델은 동해 울산 연안해역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특성을 반영하는 중·저주파수 지음향/수중음향 실험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TAG 지음향 모델, SSDP-105, 지음향 특성, 울산, 동해, geoacosutic model, geoacoustic property, Ulsan, East Sea
Trace Fossils from the Late Pleistocene Marginal Marine Deposits of Jeju Island, Korea: Implications for the Psilonichnus and Skolithos Ichnofacies
( Jeong Yul Kim ) , ( Ji Hyun Kang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1호, 23~45페이지(총23페이지)
지음향 모델은 수중과 해저 음파의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해저 지층의 물성과 음향 특성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동해 남서부 내대륙붕에 위치한 울산 해역의 SSDP-105 시추 지점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수심 79 m의 연안 퇴적 지층에서 52 m 심도의 3개 지음향 모델을 구성하였다. 지음향 모델은 연구 해역의 SSDP-105 심부시추 코어 자료와 스파커 탄성파 단면 자료에 근거한다. 실제 모델링을 위해, 모델의 지음향 특성값은 Hamilton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면 하부 현장 심도의 특성값으로 보정하였다. 이 지음향 모델은 동해 울산 연안해역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특성을 반영하는 중·저주파수 지음향/수중음향 실험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TAG trace fossils, Pleistocene, Psilonichnus and Skolithos ichnofacies, Jeju Island, Korea
Comparative Analysis of Surface Heat Fluxes in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and Its Acquired Combination Data
( Jung-eun Sim ) , ( Hong-ryeol Shin ) , ( Naoki Hiros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1호, 1~22페이지(총22페이지)
지음향 모델은 수중과 해저 음파의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해저 지층의 물성과 음향 특성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동해 남서부 내대륙붕에 위치한 울산 해역의 SSDP-105 시추 지점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수심 79 m의 연안 퇴적 지층에서 52 m 심도의 3개 지음향 모델을 구성하였다. 지음향 모델은 연구 해역의 SSDP-105 심부시추 코어 자료와 스파커 탄성파 단면 자료에 근거한다. 실제 모델링을 위해, 모델의 지음향 특성값은 Hamilton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면 하부 현장 심도의 특성값으로 보정하였다. 이 지음향 모델은 동해 울산 연안해역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특성을 반영하는 중·저주파수 지음향/수중음향 실험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TAG surface heat flux,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the Combination Data, long-term variation trend in surface heat flux, volume transport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WISE 관측자료를 이용한 기상 및 복사 특성 분석
이한경 ( Hankyung Lee ) , 지준범 ( Joon-bum Jee ) , 민재식 ( Jae-sik Min ) , 김상일 ( Sangil Kim ) , 채정훈 ( Jung-hoon Cha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1호, 89~102페이지(총14페이지)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의 에너지수지타워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수도권 기상과 복사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서울 수도권에 위치한 총 14개 에너지수지타워의 기온, 풍속, 상대습도, 지표면 온도, 강수량, 단파 및 장파 복사량과 복사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 알베도와 방출률을 분석하였다. 월별 자료에 따르면, 도시에 위치한 중랑지점에서 알베도는 낮고 방출률은 높은 특성을 나타냈고 교외지역인 부천지점에서는 반대의 특성이 나타났다. 자연적인 지표 상태에서는 태양복사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반사하여 대부분 중랑지점보다 알베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 평균 기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지점들은 서울 도심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알베도가 대체적으로 낮게 분포되었다. 가좌지점과 뚝섬지점은 관측 기온이 높았지만, 관측소 주변 유리벽 건물 및 한강으로 둘러싸인 환경으로 알베도가 비교적 ...
TAG 에너지수지타워, 기상변수, 복사량, 알베도, 방출률, energy flux tower, meteorological variables, radiation, albedo, emissivity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학습 발달과정 탐색: 천문학적 시스템 사고를 중심으로
오현석 ( Hyunseok Oh ) , 이기영 ( Kiyoung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1호, 103~116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을 천문학적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서답형 문항을 개발하고 가설적 학습 발달과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문항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수업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서답형 문항을 이용한 검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가설적 학습 발달과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향식으로 지구-달 계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을 탐색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은 지구 기반 관점과 우주 기반 관점 사이의 사고 전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발달과정을 근거로 할 때, 달의 위상 변화의 개념은 교육과정 상에서 초등학교의 학습 내용으로 다소 높...
TAG 학습 발달과정, 달의 위상 변화, 천문학적 시스템 사고, 서답형 문항, learning progression, lunar phase change, astronomical systems thinking, constructed-response item
Comparison of the Paleontological Heritages of South Korea with Those of North Korea: Implications for Potential International Heritages
( Jeong Yul Kim ) , ( Won Mi Park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8] 제39권 제1호, 67~88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을 천문학적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서답형 문항을 개발하고 가설적 학습 발달과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문항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수업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서답형 문항을 이용한 검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가설적 학습 발달과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향식으로 지구-달 계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을 탐색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은 지구 기반 관점과 우주 기반 관점 사이의 사고 전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발달과정을 근거로 할 때, 달의 위상 변화의 개념은 교육과정 상에서 초등학교의 학습 내용으로 다소 높...
TAG Paleontological heritages, South and North Koreas, natural monuments, geological difference, history of lif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