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무용예술학회71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긍정심리학을 반영한 무용교육에 대한 연구 :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의 펄마(PERMA)이론을 중심으로
조은숙 ( Cho Eun-sook ) , 김스완 ( Kim Swan )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2016] 제61권 제4호, 55~71페이지(총17페이지)
TAG Dance education, 무용 교육, Positive psychology, 긍정심리학, Martin Seligman, 마틴 셀리그만, Well-being Theory, 웰빙이론, PERMA, 펄마
기독교 무용 지도자 양성의 현황 및 개선 방향
최경희 ( Choi Kyung Hee ) , 박영애 ( Park Young Ae )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2016] 제61권 제4호, 73~86페이지(총14페이지)
TAG Christian dance leader, 기독교무용 지도자, Functions of Christian dance, 기독교 무용의 기능, Christian dance terminology, 기독교무용용어, Church dance, 교회무용, Christian dance education, 기독교무용교육
대만 고등교육 무용의 국제화 : 합법화 전략
토마스해이와드 ( Hayward Thomas ) , 주안앤타이 ( Tai Juanann )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2016] 제61권 제4호, 87~104페이지(총18페이지)
지난 20년 동안, 대만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정부 혹은 인구학적 압박이건, 떠오르는 산재된 자원들의 성장이건 간에 다양한 이유를 가지고 가속화 되었다. 본 연구는 대만 고등교육의 무용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기술하였다. van Leeuwen의 합법화 이론을 방법론적 기틀로 사용하여, 본 논문은 국제화의 가치의 명료성을 대만 무용 고등교육계의 주요 인물들의 음성과 문자 텍스트를 가지고 조사하였다. 정부담화와 공식 연설문, 그리고 학계 주요학자들의 인터뷰 검토를 통해, 본 연구는 국제화의 저항하는 담론이 존재하는 반면, 문화 창조적 산업과 관련한 질적 확신과 부조화된 감정들 가운데 ‘최상의 해결책’의 중요성이라는 이름하에 대만 고등 교육 안에 무용의 가치 가정들이 매우 긍정적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고등교육계의 대문 무용의 국제화의 지속...
TAG 고등교육의 국제화,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합법화, Legitimation, 담론, Discourse, 명료성, Articulation, 가치 가정, Value assumption
창조적 생각의 훈련 : 누구나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다
이은선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2016] 제61권 제4호, 105~108페이지(총4페이지)
지난 20년 동안, 대만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정부 혹은 인구학적 압박이건, 떠오르는 산재된 자원들의 성장이건 간에 다양한 이유를 가지고 가속화 되었다. 본 연구는 대만 고등교육의 무용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기술하였다. van Leeuwen의 합법화 이론을 방법론적 기틀로 사용하여, 본 논문은 국제화의 가치의 명료성을 대만 무용 고등교육계의 주요 인물들의 음성과 문자 텍스트를 가지고 조사하였다. 정부담화와 공식 연설문, 그리고 학계 주요학자들의 인터뷰 검토를 통해, 본 연구는 국제화의 저항하는 담론이 존재하는 반면, 문화 창조적 산업과 관련한 질적 확신과 부조화된 감정들 가운데 ‘최상의 해결책’의 중요성이라는 이름하에 대만 고등 교육 안에 무용의 가치 가정들이 매우 긍정적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고등교육계의 대문 무용의 국제화의 지속...
미국 교육 안에서 핵심교과내용으로서의 무용: 새로운 시대를 위한 새로운 교육표준에 대한 제언
바바라바셔 ( Bashaw Barbara )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2016] 제60권 제3호, 1~15페이지(총15페이지)
본고는 예술 및 무용과목을 미국 교육 시스템하에서 핵심교과과목으로 도입하려고 하는 일련의 노력에 대한 역사를 서술하였다. 역사에 대한 서술 이후 21세기에 접어들어 새로운 국가학습교과표준 구상을 통해 예술/무용과목의 핵심교과 과목 편입을 위한 최근의 사례를 인용하였다. 저자는 2014년의 국가핵심 예술 교육 표준 집필진의 일원으로 해당 기준을 편찬하는 과정에 대해 묘사한다. 본고는 미국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예술 교육 이슈로서 핵심 교과 과정에 대한 외부의 관점 및 국가 수준에서의 예술교육 내 핵심 교과과정에 대한 질의와 편찬 과정에 대한 내부의 관점에 대해 제시한다.
TAG 예술, Arts, 핵심 교과내용, Core Content, 무용, Dance, 교육, Education, 학습 교육과정, Learning Standards
학문분과로서 무용의 다면성에 대한 고찰 : 무용의 신체, 교육, 예술, 학문의 사회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김수인 ( Kim Sue In )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2016] 제60권 제3호, 17~36페이지(총20페이지)
본고는 예술 및 무용과목을 미국 교육 시스템하에서 핵심교과과목으로 도입하려고 하는 일련의 노력에 대한 역사를 서술하였다. 역사에 대한 서술 이후 21세기에 접어들어 새로운 국가학습교과표준 구상을 통해 예술/무용과목의 핵심교과 과목 편입을 위한 최근의 사례를 인용하였다. 저자는 2014년의 국가핵심 예술 교육 표준 집필진의 일원으로 해당 기준을 편찬하는 과정에 대해 묘사한다. 본고는 미국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예술 교육 이슈로서 핵심 교과 과정에 대한 외부의 관점 및 국가 수준에서의 예술교육 내 핵심 교과과정에 대한 질의와 편찬 과정에 대한 내부의 관점에 대해 제시한다.
TAG Dance in university, 대학무용, Physical education, 체육, Art, 예술, Humanities, 인문학, Discourse analysis, 담론 분석
무용창조에서의 질적인 사유
김말복 ( Kim Malborg )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2016] 제60권 제3호, 37~51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무용창조에서 드러나는 예술적 사유의 특성을 설명하고자하는 목적을 지닌다. 안무자들이 지적인 사유나 정신적 판단 없이 예술적 창조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다수의 철학자들은 무용에서 어떤 개념이나 이론을 발견할 수 없다는 이유로 무용의 지적 가치를 폄하하는 경향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창조과정에서 발견되는 사유의 특성을 미국 철학자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의 ‘질적인 사유(qualitative thought)’의 개념을 빌어 설명한다. 논의의 관건은 무용작품을 사유의 결과 즉 사유체로 볼 수 있느냐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먼저 지적되고 설명되어야할 것은 무용창조과정에서 드러나는 예술적 사유의 특성이다. 따라서 듀이의 사상적 영향아래 예술창조에 관한 뛰어난 연구를 한 비어즐리(M. C. Beardsley)와 ...
TAG 질적 사유, Qualitative thinking, 존 듀이, John Dewey, 무용창조, Dance creation, 움직임 특질, Movement quality, 제랄드 마이어스, Gerald Meyers
오스터왈더(Osterwalder)의 비지니스 모델을 통한 발레 STP협동 조합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김경인 ( Kim Kyung In ) , 조은숙 ( Cho Eun-sook )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2016] 제60권 제3호, 53~67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무용창조에서 드러나는 예술적 사유의 특성을 설명하고자하는 목적을 지닌다. 안무자들이 지적인 사유나 정신적 판단 없이 예술적 창조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다수의 철학자들은 무용에서 어떤 개념이나 이론을 발견할 수 없다는 이유로 무용의 지적 가치를 폄하하는 경향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창조과정에서 발견되는 사유의 특성을 미국 철학자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의 ‘질적인 사유(qualitative thought)’의 개념을 빌어 설명한다. 논의의 관건은 무용작품을 사유의 결과 즉 사유체로 볼 수 있느냐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먼저 지적되고 설명되어야할 것은 무용창조과정에서 드러나는 예술적 사유의 특성이다. 따라서 듀이의 사상적 영향아래 예술창조에 관한 뛰어난 연구를 한 비어즐리(M. C. Beardsley)와 ...
TAG Cooperative framework Act, 협동조합기본법, Cultural arts cooperatives, 문화예술협동조합, Private dance Ballet STP cooperatives, 발레STP협동조합, Osterwalder, 오스터왈더, Nine business model building, 9캔버스비즈니스모델
Danse et Musique, 무대 위의 ‘음악의 시각화’ : 「윤이상을 만나다」를 중심으로
변혁 ( Byun Daniel H. )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2016] 제60권 제3호, 69~85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무용창조에서 드러나는 예술적 사유의 특성을 설명하고자하는 목적을 지닌다. 안무자들이 지적인 사유나 정신적 판단 없이 예술적 창조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다수의 철학자들은 무용에서 어떤 개념이나 이론을 발견할 수 없다는 이유로 무용의 지적 가치를 폄하하는 경향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창조과정에서 발견되는 사유의 특성을 미국 철학자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의 ‘질적인 사유(qualitative thought)’의 개념을 빌어 설명한다. 논의의 관건은 무용작품을 사유의 결과 즉 사유체로 볼 수 있느냐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먼저 지적되고 설명되어야할 것은 무용창조과정에서 드러나는 예술적 사유의 특성이다. 따라서 듀이의 사상적 영향아래 예술창조에 관한 뛰어난 연구를 한 비어즐리(M. C. Beardsley)와 ...
TAG Dance, 무용, Music, 음악, Isang YUN, 윤이상, Visualization, 시각화, Eui-Sook CHUNG, 정의숙
문화예술정책과 국립발레단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변화하는 국가 정체성
양영은 ( Yang Youngeun )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2016] 제60권 제3호, 87~107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무용창조에서 드러나는 예술적 사유의 특성을 설명하고자하는 목적을 지닌다. 안무자들이 지적인 사유나 정신적 판단 없이 예술적 창조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다수의 철학자들은 무용에서 어떤 개념이나 이론을 발견할 수 없다는 이유로 무용의 지적 가치를 폄하하는 경향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창조과정에서 발견되는 사유의 특성을 미국 철학자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의 ‘질적인 사유(qualitative thought)’의 개념을 빌어 설명한다. 논의의 관건은 무용작품을 사유의 결과 즉 사유체로 볼 수 있느냐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먼저 지적되고 설명되어야할 것은 무용창조과정에서 드러나는 예술적 사유의 특성이다. 따라서 듀이의 사상적 영향아래 예술창조에 관한 뛰어난 연구를 한 비어즐리(M. C. Beardsley)와 ...
TAG National identity, 국가정체성, Korean ballet, 한국적 발레, Hybridity, 혼종성, Korean National Ballet, 국립발레단, Cultural policy, 문화예술정책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