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176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도로변 도시공원 내 공간유형에 따른 초미세먼지 분포 특성
안로사 ( Rosa Ahn ) , 홍석환 ( Suk-hwan H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41(총1페이지)
세계보건기구는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도시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야외에서 신체활동을 권장하고 있다. 도심 내 생활권범위에 조성된 도시공원은 시민들에게 녹지, 광장, 휴게 시설과 같이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여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도시의 심각한 문제인 대기 오염은 도시민들의 야외활동에 억제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심의 대기오염 중 초미세먼지(PM2.5)는 대부분 도로에서 이동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로부터 생성되는데, 대기중 부유하는 2.5㎍/m³보다 큰 조대입자에 비해 미세하여 대기중에 장기간 부유하면서 인근생활권으로 확산되어 영향을 끼친다. 초미세먼지(PM2.5)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녹지의 기능이 효과가 있다는 다수의 선행연구결과가 있지만, 도시민이 이용하는 도시공원의 효과와 공원 내 초미세먼지(...
도심지 겨울철 토지피복유형별 바이오에어로졸 특성 분석
이동재 ( Dong-jae Lee ) , 신용진 ( Yong-jin Sin ) , 김학기 ( Hag-gi Kim ) , 박선영 ( Seon-yeong Park ) , 박영진 ( Yeon-gjin Park ) , 김정호 ( Jeong-ho Kim ) , 윤용한 ( Youg-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42(총1페이지)
도시화의 진행으로 인구 과밀화와 토지이용의 변화는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토지피복 및 기후변화 등 환경 문제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람의 생활환경과 밀접한 관계인 대기오염의 문제를 야기하며, 다양한 환경문제들로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화로 인한 대기 오염물질 중 하나인 바이오에어로졸은 생물체 자체, 생물체의 유기체가 생산해내는 독소·분비물 또는 그 사체 등이 포함된 입자(partic)들이나 또는 배양은 되지 않고 인체에 민감한 반응을 주는 것 등이 공기 중에 부유한 상태에서 인체 흡수 혹은 침투하여 건강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요인을 통칭하며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등이 모두 속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바이오에어로졸은 생물 다양성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도 보고되고 있지만, 인간의 활동에 ...
산지형수목원 식재공간 내 기상과 수목생육 관련성 평가
이상훈 ( Sang-hoon Lee ) , 손혜림 ( Son-hye Lim ) , 김한결 ( Han-gyeol Kim ) , 이명훈 ( Myung-hun Lee ) , 박석곤 ( Seok-gon Park ) , 김정호 ( Jeong-ho Kim ) , 윤용한 ( Yong-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43(총1페이지)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생활 수준의 향상뿐만 아니라 산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와 목재생산이라는 기능적인 면보다는 휴양, 대기 정화, 산림생물 다양성 보존, 이산화탄소 감축 등의 공익적인 효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수목의 생리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식재되어 조성된 도시 숲, 휴양림, 수목원, 공원 등에서는 수목들이 매년 생장은 하지 못하고 생존만 하는 경우가 많다. 식재된 수목의 피해에 따른 경제적, 환경적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대상지 환경에 가장 적합한 수목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다. 식생은 다양한 환경요인의 영향하에서 오랜 시간을 거치며 발달하였으며, 그 중 기후적, 지형적요인은 식생의 구조와 발달 특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요인으로, 동일한 식생일지라도 분포위치에 차이를 보이고, 그 환경에 적응하거나 영향을 주는 유기적 관...
InVEST 모델을 이용한 주요 국립공원지역의 담수분석
최송현 ( Song-hyun Choi ) , 유병혁 ( Byeong-hyeok Yu ) , 장진 ( Jin Jang ) , 신해선 ( Hae-seon Shin ) , 장정은 ( Jung-eun Jang ) , 권혜연 ( Hye-yeon Kw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44(총1페이지)
InVEST(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는 미국 Stanford대학을 중심으로 Natue Conservancy와 World Wildlife Fund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오픈 소스 모형으로써 자연으로부터 얻는 재화와 서비스를 지도화 및 가치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naturalcapitalproject. stanford.edu/). 2008년부터 개발이 되었으며, 현재까지 서식 지질, 탄소저장량, 토양침식 등 다양한 세부모형이 개발되었다. 각 모형은 토지피복도를 기반으로 관련 인자를 투입하여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Sharp et al., 2014...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의 버드나무 군집구조 분석
나미연 ( Mi-yeon Na ) , 최지원 ( Ji-won Choi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3(총1페이지)
여의도 샛강은 한강 본류에서 하중도를 만들어준 물줄기이며, 생물의 서식공간과 생태통로롤 제공하여 생태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은 한강개발계획에 따라 1980년대 샛강 매립 논란을 거쳐서 1990년대 샛강 개발계획 7년간의 과정을 통해 1997년 9월 국내 최초의 생태공원으로 조성 및 개장하였다. 2008년 한강르네상스 계획의 일환으로 여의도 샛강은 친환경적인 도시생태공원으로 자연학습 장소와 친수공간 제공, 생물 서식처 조성 등의 목적으로 샛강 유입부에서 유출부까지 재정비하여 1.2km인 샛강을 4.7km로 연장하여 면적을 확장 재조성하였다. 현재 여의도 도심 속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생태공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샛강생태공원의 버드나무군락은 자연경관으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을 대상으...
자연형 하천 복원 전·후 고덕천의 침입외래식물 특성
차두원 ( Doo-won Cha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 김지석 ( Ji-seok Kim ) , 문영란 ( Yeong-ran Moon ) , 백은경 ( Eun-kyoung B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4(총1페이지)
하천은 생물서식공간 제공, 물질 순환통로, 기후조절, 생물종 이동통로, 오염물 이동, 자정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하천은 1960년대 이후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하천을 복개하고 하천변을 콘크리트구조물로 정비함에 따라 수질오염 확대, 소하천의 건천화, 하천공간의 황폐화 등으로 하천 본래의 기능은 상실하게 되어 생물들의 서식공간을 감소시켰다. 1990년대 중반 이후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하천정비방식의 문제점이 대두됨에 따라 자연형 하천 복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생태환경조성을 목표로 하는 자연형 하천 복원사업이 활발히 전개되었는데 서울의 경우 양재천이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자연형 하천 복원은 하도 형태, 하상재질의 교체, 보 및 인공호안 철거, 식생대 조성 및 정비등의 다양한 공종과 공법을 통해 시행한다. 특...
보길도 큰길재 일대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조봉교 ( Bong-gyo Cho ) , 이수동 ( Soo-dong Lee ) , 강현경 ( Hyun-kyung Kang ) , 김동욱 ( Dong-wook Kim ) , 장재훈 ( Jae-hoon Jang ) , 김미정 ( Mi-jeong Kim ) , 김홍순 ( Hong-soon Kim ) , 김한 ( Han Kim ) , 송광섭 ( Kwang-seop Song ) , 배순형 ( Soon-hyoung Bae ) , 박태훈 ( Tae-hoon Park ) , 최태영 ( Tae-yung Choi ) , 정태준 ( Tae-jun J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5(총1페이지)
상록활엽수는 동아시아의 저지대에서 고지대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였으나, 지구온난화, 인간의 침입, 토지이용 변화와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한 교란된 상태이다. 우리나라는 16세기를 전후하여 섬에 거주하는 인구 증가와 취사, 난방용 연료채취등으로 훼손이 시작되었고 일제강점기와 전쟁을 겪으면서 심화되었다. 또한 상록활엽수림대의 거주민은 전통적으로 생계를 위한 목재, 음식, 의약 식물 등 임산물에 의존해서 살아왔기 때문에 인구압이 커지면서 도로, 주택, 산불 등과 같은 교란에 의해 산림이 파편화되고 훼손되어왔다. 본 연구는 보길도 큰길재 일대에 분포하는 난대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에 상록활엽수가 우점하거나 출현하는 식생을 대상으로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조사구는 상록활엽수가 분포하는 능선, 계곡, 경사지 등 큰길재를 대표할 수...
제주 저지곶자왈 생물권보전지역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시행방안 검토
최지원 ( Ji-won Choe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6(총1페이지)
생태계서비스지불제란, 생태계서비스의 보전 및 증진을 위해 특정 생태계서비스 수혜자가 그 공급자에게 생태계서비스이용에 대한 일정 대가를 지불하는 다양한 형태의 자발적 계약을 총칭한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9년 12월『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개정을 통해 생태계서비스의 법적 정의 및 지불제 시행의 근거를 마련하고 2020년 6월 생물다양성법시행령·시행규칙을 개정하여 본격적인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시행을 앞두고 있다. 따라서 생태계서비스지불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전, 개정 법률과 지침에 근거를 둔 시범사업을 운영하여 그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제도 확산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 보호지역에서 산림이 상당 면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산림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시행사업이 운영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저지곶자왈 생물권보전...
박테리아 16s rRNA 영역 분류 방법에 따른 산림 벌채지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이병주 ( Byeong-ju Lee ) , 어수형 ( Soo Hyung E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7(총1페이지)
1980년대부터 박테리아 종 계통 분석에 rRNA 영역 염기서열 정보를 활용한 이래로, 박테리아 종 동정, 계통 분석 등에 rRNA 염기서열 정보가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특히, 염기서열분석 기술 발전, 컴퓨팅 파워 증가,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달로, 환경 시료 내 존재하는 염기서열 정보를 활용하는 환경유전체(metagenome)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경유전체 분석 과정에 더 많은 염기서열 정보, 더 높은 정확성, 더 높은 계산 효율을 내기 위해 다양한 분석 방법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환경유전체 분석 과정 중 하나로 자주 포함되는 OUT clustering 기법은 분석된 염기서열들을 특정 유사도 기준에 따라 단일 염기서열 집단(unit)으로 모으는 방법으로, 염기서열마다의 독특한 정보를 일정 수준 유지하면서...
장흥 야생차밭의 산림군집 특성
이준영 ( Jun-young Lee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 차두원 ( Doo-won Cha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8(총1페이지)
국가중요농업유산은 수대에 걸쳐 축적된 농업의 지식과 경험에 기초한 농업문화로 인류 진화와 자연과의 조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와 국가중요농업유산과 같은 제도로 이를 보전하고자 한다. 국가중요농업유산은 지역의 독특한 농업생물다양성 및 경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된 곳은 총 15곳으로 청산도 구들장 논, 제주 밭담, 구례 산수유농업, 의성 전통수리농업, 장흥발효차 청태전 등이 있다. 이 중 청산도 구들장 논, 제주 밭담, 금산 인삼농업, 하동 전통차 농업 4곳은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국가중요농업유산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농업지역의 생태현황을 파악하여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 및 생태성을 평가하도록 되어있으나 대부분 해당 지역의 주변 생태현황 자료만 사용하여 국가중요농업유산만의 생태적 특성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고 ...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