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류학회지140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조종천에 재도입된 멸종위기어류 가는돌고기 Pseudopungtungia tenuicorpa (Pisces: Cyprinidae) 복원사업은 정말 실패하였는가?
한미숙 ( Mee-sook Han ) , 최광식 ( Kwang-seek Choi ) , 고명훈 ( Myeong-hun Ko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3호, 182~190페이지(총9페이지)
멸종위기어류 가는돌고기 Pseudopungtungia tenuicorpa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2011~2012년 한강의 조종천에 가는돌고기가 방류되었다. 이후 2014부터 2016년까지 방류지에서 가는돌고기가 채집되지 않아 복원사업은 실패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가는돌고기 복원사업이 정말 실패하였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 방류지점을 포함하여 6개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족대와 투망, 일각망, 스쿠버다이빙 등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결과 방류지점을 포함한 약 0.5km 구간에서 13개체가 채집되었다. 가는돌고기 서식지역은 수심 0.5~2m의 큰돌과 암반으로 이루어진 느린 여울부였다. 채집된 가는 돌고기의 연령은 당년생 (0+)부터 3년생 이상으로 구성...
TAG Pseudopungtungia tenuicorpa, endangered species, reintroduction, restoration project
한국산 곰치과 어류 첫기록종, Strophidon dorsalis
강충배 ( Chung Bae Kang ) , 김맹진 ( Maeng Jin Kim ) , 김진구 ( Jin-koo Kim ) ,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3호, 191~196페이지(총6페이지)
곰치과에 속하는 Strophidon dorsalis 1개체 (전장 1,254 mm)가 2018년 7월 우리나라 남해안의 진도연 안에서 연안통발로 처음 채집되었다. 이 종의 특징은 몸에 무늬가 없고, 주둥이가 약간 둥근 형태를 띠며, 2개의 안상골공 (superorbital pores), 3개의 안하골공 (infraorbital pores), 그리고 6개의 하악골공 (mandibular pores)을 갖는다. 이 종은 형태적으로 가는곰치 (Strophidon sathete)와 유사하지만 안하골공이 3개이며 (vs. 가는곰치는 4개), 마지막의 안하골공은 눈의 앞부분에 위치하며 (vs. 안하골공이 눈의 뒷부분에 위치), 전장에 대해 체고비율이 3.2~4.1%(vs. 1.8~3.1%), 그...
TAG Strophidon dorsalis, Muraenidae, first record, Jindo Island, Korea, 곰치과, 첫기록종, 진도
가는돌고기(Pseudopuntungia tenuicorpa) 보전을 위한 유전적 다양성 연구
김동영 ( Dong-young Kim ) , 석호영 ( Ho Young Su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2호, 39~48페이지(총10페이지)
가는돌고기 (Pseudopungtungia tenuicorpa)는 8~10cm 크기의 소형 잉어과 어류로 전 세계에서 한국의 한강 그리고 임진강에만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이다. 가는돌고기는 국내 담수의 상위 포식자 중 하나인 꺽지 수컷이 돌보는 수정된 알이 있는 둥지에 탁란 (brood parasitism)을 하거나 작은 바위에 생긴 틈에 산란을 하는 생식 행동을 보인다. 이 종의 특이한 생식 생태는 환경 파괴가 극심한 현대 사회에서 산란 장소를 더욱 제한할 가능성이 높아 특별한 관리와 보전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icrosatellites와 mtDNA control region 유전자를 이용하여 가는돌고기의 종 보전 관리 전략에 필요한 개체군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 등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유전체 ...
TAG Genetic diversity, slender shinner, Pseudopuntungia tenuicorpa, Cyprinidae, conservation genetics, 유전적 다양성, 가는돌고기, 잉어과, 보전유전학
한국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연구
김현태 ( Hyun Tae Kim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2호, 49~54페이지(총6페이지)
한국 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통계프로그램 SPSS로 분석하였다. 후각기관의 외부 형태는 주둥이 좌우로 돌출된 튜브형의 전비공 (직경 0.35~0.53 mm)과 눈모양의 후비공 (장축 0.32~0.68 mm)으로 구성된다. 후각기관 내부에서는 14~21개의 후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가 확인된다. 형태계측학적 분석에서 후판개수 (수컷 vs. 암컷, 18±1.8 vs. 17±1.6)와 체장대비 후판개수 비율 (24.2±1.3% vs. 21.7±2.5%)은 수컷이 암컷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체장과 후판은 수컷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P<0.001)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남방종개의 후각기관 특징은...
TAG Tubular nostril, protruding direction, olfactory lamellae, number, sexual dimorphism
한국 담수어류 10종의 상대 무게지수 (Relative weight index) 활용을 위한 표준 길이 -무게 상관관계 (Standard Length-Weight relationships) 산출
백승호 ( Seung-ho Baek ) , 박상현 ( Sang-hyeon Park ) , 김정희 ( Jeong-hui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2호, 55~62페이지(총8페이지)
상대 무게 지수 (Relative weight index, Wr)는 어류의 표준무게와 실측 무게의 비율을 산출하는 지수로써 영양상태를 평가하는데 활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대 무게 지수 활용을 위해 국내 담수어류 10종의 표준 무게 산출을 위한 길이-무게 상관관계 (표준 LWRs)를 산출하는 것과, 상대 무게 지수 산출결과에 대한 빈도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다. 총 141개 조사 지점에서 798회 어류 채집을 통해 확보한 어류의 길이-무게 데이터를 활용하여 LWRs를 산출하였다. LWRs는 매개변수 a와 b값을 95% 신뢰한계 (confidence limits)와 함께 제시하였으며, 모든 종에서 결정계수 (r2)는 0.9 이상으로 산출되었고, b값은 Froese (2006)의 예상 범위에 포함되었다. 상대 무게 지수 산출 결...
TAG Condition factor, nutritional condition, standard weight, total length, relative weight index, lengthweight relationships
한강납줄개의 조개유생 보육에 따른 작은말조개 내 산란 특성
김형수 ( Hyeong Su Kim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2호, 63~69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2017년 4~6월까지 흑천 일대에서 한강납줄개의 조개 유생보육에 따른 작은말조개 내 산란 특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조개는 327개체이었고, 글로키디아 유생을 보육한 조개 중 한강납줄개의 산란이 확인된 조개는 34개체 (14.1%)로 나타났다. 아가미 위치에 따른 글로키디아 유생을 보육한 조개와 보육하지 않은 조개에서 확인된 알과 자어수는 왼쪽 외반새 5.0±3.58개 (range, 1~8) vs. 2.8±2.13개 (1~9), 왼쪽 내반새 1.5±0.96개 (1~3) vs. 1.7±0.82개 (1~3), 오른쪽 내반새 1.4±0.51개 (1~2) vs. 2.1±1.85개 (1~6), 오른쪽 외반새 6.4±4.82개 (1~20) vs. 3.0±1.86개(1~6)로 나타났다. 아가미 위치에 따른 글로키...
TAG Rhodeus pseudosericeus, bitterling, host-parasites, coevolution, host mussel
실험사료 중 크릴 첨가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치어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해영 ( Haeyoung Lee ) , 남명모 ( Myung-mo Na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2호, 70~77페이지(총8페이지)
최초 체중 3.09±0.02 g 조피볼락 치어에서 먹이원으로 냉동크릴 (FWK) 그리고 크릴분말 (KM) 첨가량 (0~40%)에 따라 6종 실험사료로 7주간 사육한 결과 최종 체중, 증체율, 사료효율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 중 회분에서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지만, 생존율과 전어체의 일반성분 중 수분, 조단백질 및 지질에서는 유의적인 차이 없이 유사하였다. 사육실험 후 크릴 첨가 먹이 종류에 따른 최종 체중은 7.4~12.0 g, 증체율은 141~286%로 먹이 종류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성장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료효율은 36~72%로 성장처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크릴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12.0 g으로 FWK10구에서 9.3 g과 유의적으로 유사한 최종 체중을 나타내어 다른 시험구보다는 높은 최종 체중을 나타내었다...
TAG Black rockfish, frozen krill, krill meal, growth, body composition
명태(Gadus chalcogrammus)의 수온별 부화 및 초기 성장
최진 ( Jin Choi ) , 한경식 ( Gyeong Sik Han ) , 이기욱 ( Ki Wook Lee ) , 변순규 ( Soon-gyu Byun ) , 임현정 ( Hyun Jeong Lim ) , 김희성 ( Hee Sung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2호, 78~83페이지(총6페이지)
수온은 양식 대상어의 종자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 요인이다.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한 자원 감소를 보이고 있는 한해성 어종인 명태의 안정적인 종자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온이 명태의 부화 및 초기 자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의 생존율은 5℃가 8℃와 11℃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부화율은 8℃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첫 부화, 50% 부화 및 완전 부화까지의 소요 시간은 11℃가 5℃와 8℃에 비하여 빠르게 나타났다. 12주간의 사육기간 동안 자어의 생존율은 5℃가 8℃와 11℃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성장은 11℃가 5℃와 8℃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TAG Water temperature, walleye pollock, egg hatch, survival, larval growth
광양만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의 서식처 이동에 의한 먹이원 변동 파악을 위한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 적용
최보형 ( Bohyung Choi ) , 조현빈 ( Hyunbin Jo ) , 박기연 ( Kiyun Park ) , 곽인실 ( Ihn-sil Kwa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2호, 84~90페이지(총7페이지)
섬진강 하구와 광양만에 서식하는 주둥치의 서식처 및 섭식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둥치의 탄소안정동위원소비 (δ13C) 값은 염분이 30 psu보다 낮은 섬진강 하구에서 채집된 개체에서 광양만에 비해 낮은 값이 나타났으며, 이는 섬진강 하구에서 채집된 주둥치가 해당 정점에서 섭식활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채집된 주둥치의 질소안정동위원소비 (δ15N) 값은 정점 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이들이 각 서식처에서 유사한 영양위치를 점유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주둥치는 만 전체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 광염성 어류의 특성을 잘 대변하는 것을 보였는데, 상대적으로 소형개체들이 하구역에서 채집되는 반면 대형 개체들이 광양만에 분포하여 크기...
TAG Leiognathus nuchalis, estuary, stable isotope, habitat properties
여수 낭도 연안에서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유태식 ( Tae-sik Yu ) , 윤병일 ( Byoung-il Youn ) , 김준 ( Joon Kim ) , 한경호 ( Kyeong-ho Ha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2호, 91~96페이지(총6페이지)
여수 낭도 연안에서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연구하기 위해 2017년에 계절별로 4개의 정점에서 진행하였다. 어획된 어류는 총 9목 26과 37종, 10,208개체가 어획되었다. 농어목이 11과 16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은 멸치 (4,886개체, 47.9%), 보구치 (842개체, 8.2%), 준치 (369개체, 3.6%) 순이었다. 다양도는 1.24~3.23 범위를 보이며 5월이 가장 높았고, 우점도는 22.4~78.7% 범위를 보이며 11월이 가장 높았다.
TAG Nang-island, species composition, long-bag stow net, dominant species, seasonal vari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