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연구회97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과 놀이지원 행동이 자녀의 생활시간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민영 ( Song Min-young ) , 박현선 ( Park Hyun-su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2호, 125~146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부모의 아동권리인식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부모의 아동권리인식 정도가 자녀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에서 부모의 놀이지원양육행동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녀의 삶의 영역은 부모의 놀이지원양육행동으로부터 영향 받는 자유놀이시간, 신체적 활동시간, 성인부재의 방임시간과 같은 객관적인 생활시간영역과 더불어 아동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국 28개 기관(학교, 지역아동센터 등 돌봄기관)을 통하여 조사 참여에 동의한 초등학교 3학년~6학년 아동 540명과 그들의 부모(주보호자) 540명이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의 아동권리인식은 부모의 놀이지원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자녀의 자유놀이시간과 신체...
TAG 아동권리인식, 놀권리, 놀이지원, 삶의 만족도, parental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right to play, play support, life satisfaction in children
장애자녀 특성과 부모건강이 발달장애인 부모의 공공후견인식에 미치는 영향: 돌봄 부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해숙 ( Jeon Hae Sook ) , 강상경 ( Kahng Sang Kyo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2호, 147~172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의 공공후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장애자녀의 장애정도와 기능수준 및 부모의 우울과 건강상태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들의 관계에 대한 돌봄 부담의 간접효과의 유의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들 관계 검증을 위해 발달장애인 활동지원욕구조사에 참여한 돌봄 제공자들 중 발달장애인 부모 68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모의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일상생활기능 제약이 심할수록 돌봄 부담이 높았고, 돌봄 부담이 많을수록 공공후견제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았다. 하지만 부모의 건강상태나 자녀의 장애정도는 돌봄 부담이나 후견인식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접효과 분석 결과 부모의 우울 수준과 자녀의 일상생활기능 제약 수준이 부모의 후견에 대한 ...
TAG 공공후견인식, 발달장애인, 부모요인, 자녀요인, 돌봄 부담, Perceptions of public guardianship,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al factors, children factors, and care-burdens
협력적 거버넌스 척도의 다차원 요인구조 평가: Bifactor 모형의 적용
문영주 ( Moon Young Jo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2호, 173~203페이지(총31페이지)
사회과학 연구에서 척도의 다차원 요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총합점수방법 혹은 개별점수방법을 선택해 왔다. 그러나 이 두 방법은 잠재변수의 개념적 명확성이 저하된다는 점에서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기반을 두어 이 연구에서는 최근 척도의 다차원 요인구조와 측정학적 속성을 탐색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Bifactor 모형을 적용하여 협력적 거버넌스 척도의 다차원 요인구조를 평가하고, 활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여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 1,236부를 무작위로 2개 표본으로 분할한 뒤, 표본 1(n=618)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표본 2(n=618)로 ML CFA, Second-order ...
TAG 협력적 거버넌스, Bifactor 모형, Second-order CFA, 오메가 계수, 일차원 지수, collaborative governance, Bifactor model, ω coefficients, explained common variance, ECV
GA를 통한 단도박자의 선행과 회복 체험
김광현 ( Kim Kwanghyun ) , 강준혁 ( Kang Junhyeo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2호, 205~247페이지(총43페이지)
본 연구는 GA를 통한 단도박자의 선행과 회복 체험을 탐구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세평적 사례선택(reputational case selection)을 통해 총 9명의 사례자를 선정했으며, 1:1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재, 연구절차에 따라 ‘사례 내 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개별 사례자들이 가지고 있는 ‘GA를 통한 선행과 회복 체험’을 드러냈다. 둘째,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총 12개의 사례 간 통합주제를 추출했다. 분석 결과, 단도박자들은 GA의 자발적·능동적 참여, 정기적 만남, 개방성과 확장성, 사회적 관계 형성·강화라는 특징에 따라 직책 수행을 포함한 GA 운영 지원, 신규·동료 협심자 지원과 같은 GA 내에서의 선행과 이러한 선행의 확장을...
TAG 도박중독, GA, 선행, 자조모임, 사례연구, Gambling Addiction, G, A, Good Deed, Self-help Group, Case Study
아동학대 발생 환경 내의 누적적 위험요인과 아동 문제행동 간의 종단 연구: 아동학대 변화궤적 잠재계층의 매개요인을 중심으로
장희선 ( Jang Hee Sun ) , 김기현 ( Kim Ki Hyu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1호, 5~39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 발생의 환경 맥락 내에 존재하는 위험요인들의 중첩이 아동학대의 변화궤적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고 아동학대 변화궤적은 아동의 문제행동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아동용 부가조사 자료인 2006년도(후기학령기, T1)와 2009년도(전기청소년기, T4), 2012년도(중기청소년기, T7)의 3개차년도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T1의 위험요인 중첩이 T1부터, T4, T7에 걸쳐 나타나는 아동학대의 변화궤적을 예측하는지, 그리고 이 아동학대의 변화궤적이 T7의 아동 문제행동을 예측하는지를 분석했다. 위험요인의 중첩은 아동학대 환경 맥락 내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위험요인들을 종합하여 지수로 산출한 누적적 위험요인 점수로 정의하였고 아동학대는 신체학대, 정서학대, 방임의 중복...
TAG 아동학대 변화궤적, 위험요인의 중첩, 아동의 문제행동, 성장혼합모형, latent class of trajectory of child abuse, cumulative risk factors, children's problem behavior, growth mixture model
정신장애인의 약물중단 경험에 관한 연구
배진영 ( Bae Jin Yeong ) , 이용표 ( Lee Yong Py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1호, 41~82페이지(총42페이지)
본 연구는 ‘왜 정신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무기한으로 정신약물을 복용해야 하는가?’, ‘정신약물의 복용을 중단한다면 당사자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그리고 ‘정신약물을 중단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와 같이 기존의 전문가 연구에서 합리적으로 답하지 못하고 있는 질문들에 답하고, 정신약물을 강제하는 정신건강복지영역의 관행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정신장애인의 약물 중단과 관련한 생생한 삶의 현장을 살펴보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참여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정신적 고통과 장애로 인해 정신과적 진단(F코드)을 부여받은 경험이 있으며 정신약물을 6개월 이상 복용한 경험이 있고 2년 이상 중단한 경험이 있는 정신장애 당사자 6명이었다. 분석 결과, 정신장애인의...
TAG 정신약물, 정신장애, 약물중단, psychiatric medication, mental disabilities, medication discontinuation
저소득 청년의 자활 경로에 대한 탐구: 정서적 자활, 진로준비행동, 경제적 자활 간의 관계
최상미 ( Choi Sang M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1호, 83~106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저소득 청년의 자활 경로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고용장벽에 대한 인지, 고용희망, 진로준비행동, 경제적 자활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 모델을 설정하였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상의 생계급여 수급 저소득 청년 72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고용장벽에 대한 인지가 고용희망과 진로준비행동을 매개로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 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용장벽에 대한 인지와 경제적 자활 간의 관계에서 고용희망과 진로준비행동이 완전 매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저소득 청년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통해 경제적 자활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고용장벽에 대한 인지와 고용희망과 같은 정서적 요소와 재정적 목표와 관련하여 이를 이루기 위한 행동의 수반이 선행되어야함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로부터 ...
TAG 청년 자활, 고용장벽, 고용희망, 진로준비행동, 정서적 자활, 경제적 자활, self-sufficiency of adolescents, perceived employment barrier, employment hop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conomic self-sufficiency
탈성매매 여성이 경험하는 회복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평범한 삶’을 위해 휘둘리지 않고 버텨내기
이정희 ( Lee Jeong Hui ) , 박선영 ( Park Sun Yo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1호, 107~137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는 탈성매매 여성의 외상과 역경들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와 대응 전략을 확인하면서 그 주관적 경험을 이해하고 이 여성들에게 회복이 어떠한 의미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성매매방지기관을 이용해 보았던 7명의 탈성매매 여성들과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내 분석을 통해 각 여성이 경험한 역경과 회복의 독특성을 고찰할 수 있었고, 사례 간 분석에서는 7개의 주제, 18개의 범주, 65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탈성매매 여성들은 ‘죽지 못해 사는 삶으로부터의 탈주’를 시작으로, 회복탄력성을 발휘하며 ‘삶의 주체로 거듭나기’, ‘자기결정에 의한 행위성의 발휘’, ‘삶의 방식 재구성’과 같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들은 ‘사회적 지지대를 이용한 장애물 뛰어넘기’,...
TAG 탈성매매 여성, 회복, 행위성, 질적 사례연구, post-prostitution women, resilience, agency, qualitative case study
성소수자 청년의 커밍아웃 의미의 재구성: “그냥 온전한 나를 보여주는 길”
정혜숙 ( Chong Hye Su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1호, 139~171페이지(총33페이지)
본 질적연구는 성소수자 청년의 핵심적 삶의 과제인 ‘커밍아웃’의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고찰하였다. 심층면담과정에서 9명의 성소수자 청년들이 구술한 커밍아웃의 정의들을 종합하면, “커밍아웃은 성소수자 스스로의 의지와 선택에 따라 솔직하고 거짓 없이 자신의 성정체성을 인지하고 수용하여 타자에게 드러내고 알리는 사건이자 과정” 이다. 이 정의에 반영되어 있는 5가지 차원의 커밍아웃 과제는 ‘자기결정과 선택’, ‘솔직함과 진실됨’, ‘성정체성에 대한 자기 인식’, ‘사회적 소통과 인정 및 저항, ‘사건이자 과정’ 임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성소수자 청년의 커밍아웃은 ‘성정체성 긍정화과정’을 통한 ‘자아찾기’라는 성소수자 고유의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라 볼 수 있지만, 보다 본질적으로 3가지의 비전 및 방향으로, 1) ‘대상에서 주체로(object to agent)’, ...
TAG 성소수자, 커밍아웃, 성정체성, 동성애, 자기긍정, 질적연구, 현상학, sexual minorities, coming out, sexual identity, homosexuality, self-positivity, qualitative study, phenomenology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배제 유형과 우울의 관계: 퍼지집합이론을 이용하여
김광현 ( Kim Kwang Hyu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1호, 173~206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다차원적인 사회적 배제 수준과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배제 유형 구축에는 문헌고찰과 전문가 조언이, 측정에는 퍼지집합이론이 활용되었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각 사회적 배제 차원 간 상관관계,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런 영향이 성별에 따라 보이는 차이가 연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초기 청소년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에 대한 고찰과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양한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초기 청소년의 경제적 차원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으며, 건강 차원의 배제가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등의 결과들은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에 있어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
TAG 청소년, 우울, 사회적 배제, 다차원, 퍼지집합이론, youth, depression, social exclusion, multi-dimension, fuzzy set theor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