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연구회97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복지패널로 들여다본 청년의 생애사: Multistate Model로 그린 한국 청년의 취업, 결혼, 출산의 경로와 소득 집단별 비교
노법래 ( Beop-rae Roh ) , 양경은 ( Kyung-eun Ya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3호, 71~94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 청년층이 경험하는 소득 불안정성이 생애사 비이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한국복지패널 1차부터 13차 자료를 결합하여, 25세부터 39세에 이르는 집단을 대상으로 소득수준에 따라 주요 생애사 경험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multistate model을 활용하여 생애사건의 이행 및 비이행 궤적을 유지하는 집단의 규모를 확인하는 동시에, 소득 불안정성과 같은 외부적 요인이 생애사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성별 차이에 따라 청년층의 생애사 이행 경로에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더불어, 개개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취업, 결혼, 출산이라는 생애를 설계할 유동성이 줄어드는 패턴이 발견되었다. 취업, 결혼, 출산이라는 생애사 경험이 모두 없는 ‘비이행’ ...
TAG multi-state 모델, 생애사 비이행, 생애과정 관점, 청년 불안정, N포 세대, multi-state model, life course event unfulfillment, life course perspective, precarious youth, N-po generation
복지기관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가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수연 ( Suyun Lee ) , 이귀옥 ( Guiohk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3호, 95~116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는 복지기관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커뮤니케이션 빈도와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복지기관 이용 노인(N=372)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12가지 항목의 건강증진행위를 요인분석한 후 도출된 3가지 영역의 건강증진행위 각각을 종속변수로 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지기관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는 ‘체력증진활동’ 영역과 ‘일상생활수행 및 스트레스 관리’ 영역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전문적 관리’ 영역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복지기관에서 만난 사회적 관계가 전문적 관리 영역에 미친 영향을 보면, 사회적 지지는 정(+)적인 영향을, 커뮤니케이션 빈도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복지기관에서 만난 사람들로부터 정서적,...
TAG 노인, 사회복지 기관, 사회적 관계, 건강증진행위, the elderly, welfare organization, social relationships, health promotion behaviors
기혼 여성노동자의 일-가족 양립이 정신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인숙 ( Lee In Soo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3호, 117~145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기혼 여성노동자의 일-가족 양립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이 이들의 정신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의 6차 원자료를 통해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는 기혼 여성노동자 2,55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혼 여성노동자의 일-가족 양립의 긍정적 측면이 4점 만점에 2.98점, 부정적 측면이 2.36점으로 긍정적 측면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자리 요인 중 종사상 지위나 정규직 여부 등 객관적 고용지위보다는 직무만족도, 일자리만족도가 일-가족 양립의 촉진과 갈등에 더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정신건강 지표 중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력은 일-가족 양립의 긍정성, 부정성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일-가족 양립의 부정적 측면은 우울감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TAG 일-가족 양립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 정신건강, 건강관련 삶의 질,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of work-family interface, mental heal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장애인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임예직 ( Lim Yegick ) , 문영민 ( Mun Yeongm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3호, 147~176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 노동 규모 및 현황을 파악하고 불안정 노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고용, 임금, 사회보험의 세 측면을 고려하여 노동시장 불안정성을 개념화 한 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4차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임금근로자 1,614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불안정 상태에 있는 장애인 임금근로자는 61.2%로 나타나, 전체인구 불안정 노동자 비율의 약 2배 가량으로 나타났다. 불안정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살펴보면 개인 요인에서는 여성인 경우, 고령일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인 경우 불안정 노동에 종사할 확률이 높았다. 장애 요인으로는 정신적 장애 또는 감각장애를 가진 경우, 중증일수록 높았다. 노동시장 요인에서는 2차 산업 및 사회간접자본이 포함된...
TAG 장애인 노동자, 장애인 임금근로자, 불안정 노동, 노동시장 참여, 장애인 노동, disabled worker, disabled paid-worker, precarious labor,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disabled labor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갈등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가구 소득수준의 영향
김소정 ( So-joung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3호, 177~204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는 소득계층이 낮을수록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갈등이 높아지는지 또 일가족갈등이 맞벌이 여성의 스트레스 증가에 미치는 영향이 가구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심화되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여성가족패널 자료 중 임금근로에 종사하는 맞벌이 여성 1,35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 소득수준은 일가족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저소득 가구일수록 일가족갈등이 높다는 것은 지지되지 않았다. 둘째, 일가족갈등이 맞벌이 여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고소득층보다 중간소득층과 저소득층에서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고소득층일수록 일가족갈등이 발생시키는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시킬 수 있는 사회경제적 자원이 더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가족갈등과 그 결과에 있어 가구 소득계층의 영향을 논의하고 이를 완화할 ...
TAG 맞벌이 여성, 일가족갈등, 스트레스, 가구 소득수준, work-family conflict, stress level, household income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개인·가족·사회적 영향요인
이명신 ( Myung Shin Lee ) , 김희진 ( Hee Jin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3호, 205~238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정착한 북한이탈 기혼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지역 중심으로 인천, 대구, 부산, 강원, 전남, 충북에 거주하는 북한이탈 기혼여성 233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5월 2개월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최종 모형에는 현재 동거하는 자녀가 있는 북한이탈주민 여성 185명과 그 중 유아부터 후기 청소년까지의 자녀를 가진 여성 145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집단에 대한 연구모형 검증 결과를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서는, 가족 수가 많을수록, 남한에서의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가구 전체의 월 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요인에서는,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매우 강하게 영향...
TAG 북한이탈여성, 삶의 만족도, 주관적 건강, 부모불안감, 사회적 지지,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life satisfaction, perceived health levels, parental anxiety, social support
신뢰, 기부태도 및 기부행위간의 구조적 관계
노연희 ( Rho Yeonhee ) , 정익중 ( Chung Ick Jo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2호, 5~25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개인의 기부행위와 신뢰간 관계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일반적 사회신뢰와 비영리부문에 대한 신뢰, 기부에 대한 태도, 개인의 기부행위 간의 영향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름다운재단의 2018년 기빙코리아 조사자료의 19세 이상 성인 2,011명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사회신뢰는 기부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비영리부문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이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둘째, 기부에 대한 태도가 기부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비영리부문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사회적 신뢰뿐만 아니라 비영리부문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고 기부...
TAG 사회신뢰, 비영리부문신뢰, 기부에 대한 태도, 기부행위, social trust, trust in the nonprofit sector, attitude toward giving, giving behavior
농촌 여성 노인의 재난피해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이혁구 ( Lee Hyeok Gu ) , 하민정 ( Ha Min J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2호, 27~56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노인들의 풍수해 피해경험과 극복, 결과를 다룬 사례연구이다. 연구에는 풍수해를 경험한 15명의 농촌지역 여성 노인이 참여했다. 연구자들은 Stake(2005)가 제안한 범주적 결집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했다. 자료분석 결과 61개의 개념, 12개의 범주가 구성되었다. 재난 피해경험의 범주는 생활기반의 붕괴, 공포의 재현, 지원품 분배의 소외, 성적수치심, 붙박이 부엌데기로 나타났다. 회복장애요인의 범주는 젠더권력의 열세, 지지체계의 결여로 나타났다. 회복과정과 맥락의 범주는 공동체 정신의 부활, 강인한 풀뿌리 리더십으로 나타났다. 재난 극복의 결과는 주체적 임파워먼트, 강화된 재난 대응력으로 일상의 평온 유지, 남은 여생의 소중함 인식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재난불평등, 사회적 자본, 재난 회복력...
TAG 여성 노인, 재난, 사회적 자본, 재난 회복력, female senior citizen, disaster resilience, inequality, social capital
청소년 자살위험의 유형화와 심리사회적 특성연구
최진영 ( Jinyoung Choi ) , 유비 ( Bee Ryou ) , 김기현 ( Kihyun Kim ) , 최윤선 ( Yoonsun Choi ) , 함혜욱 ( Hyeouk Chris Hah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2호, 57~96페이지(총40페이지)
자살의 위험성은 자살성(suicidality)이라 불리는 일련의 행위를 통해 드러난다. 이는 대표적으로 자살생각과 자살행동 등을 포함하고 있다. 양자는 자살 위험수준의 점진적 증가에 따른 결과임과 동시에, 자해행동과 같이 세분화된 속성과 양태를 내포한 개별적 행위들로도 논의된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 및 자살행동, 자해행동을 기반으로 자살위험의 하위유형화와 각 유형별 심리사회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서울시내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517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살생각 및 행동의 심각성과 개인적 환경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자살위험의 하위유형으로 4가지 잠재집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자살위험지표에서 낮은 수준을 보이는 ‘낮은 자살위험형(75.7%)’, 자살생각의 위험이 특징적으로 높은 ‘자살생각형(12.1%)’, 자살...
TAG 청소년, 자살위험, 자살생각, 자살행동, 자해행동, 잠재계층분석, 심리사회적 특성,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Suicidal Behavior, Self-harm Behavior, Latent Class Analysi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소아청소년암 경험자 및 가족 대상 심리사회적 개입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종화 ( Lee Jong Hwa ) , 최권호 ( Choi Kwonho ) , 김민아 ( Kim Min Ah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2호, 97~124페이지(총28페이지)
장기적인 서바이버십 과정에서 소아청소년암 경험자와 가족의 심리사회적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심리사회적 개입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1975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소아청소년암 경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된 심리사회적 개입의 효과성 검증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13건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주된 개입대상자는 암 경험자였고 개입의 유형은 미술치료 개입이 많았으며, 모든 문헌의 개입에서 심리정서적, 사회적, 전인적 측면의 효과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헌에서 내적 타당도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확인되어 개입과 효과성의 인과성을 입증하는 데 한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소아청소년암 경험자와 가족을 위한 다양한 심리사회적 개입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
TAG 소아청소년암 경험자, 심리사회적 개입, 효과성, 체계적 문헌고찰, Survivor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Psychosocial Interventions, Effectiveness, Systematic Review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