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연구회97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주거개선이 아동주거빈곤가구에 미치는 영향
임세희 ( Lim Se-hee ) , 이창숙 ( Lee Changsoo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4호, 5~37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지원이 아동주거빈곤가구의 주거상황을 어느 정도 개선시켰는지를 확인하고, 주거변화가 아동과 아동가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과 2018년에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을 통해 주거지원을 받고 2019년에 주거개선이 된 아동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호자 173명, 아동 153명이 응답하였으며, 기술분석, 대응표본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거지원으로 주택상태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할수록 보호자의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낮아지고, 주거비과부담이 긍정적으로 변할수록 아동가구의 식품박탈 경험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주거지원으로 아동의 방이 확보된 정도가 좋을수록 아동의 수면 형태와 아침식사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주택상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아동의 방이 확보된 ...
TAG 아동, 주거빈곤, 주거지원의 효과, 최저주거기준, 주거비과부담, 주거복지정책, child, housing poverty, effects of housing support, minimum housing standards, housing unaffordability, housing welfare policies
지역사회에서 통합고용된 성인 지적장애인의 근로 경험에 관한 연구
허일권 ( Heo Il Kwon ) , 김민아 ( Kim Min Ah ) , 정상미 ( Jung Sang M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4호, 39~71페이지(총33페이지)
통합고용 환경에서의 근로 경험은 지적장애인들의 사회통합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통합고용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통합고용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는 20명의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제분석 방법을 이용한 분석 결과, 3개의 대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통합고용된 성인 지적장애인은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경험하였고, 업무를 수행하면서 스트레스와 성장을 경험하였다. 또한, 경제활동을 통해 자신의 여가생활 및 가족의 생계유지에 기여하였고 미래의 자립을 도모하는 기반이 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근로자들이 통합고용을 통해 사회통합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직장 내 사회적 관계 향상 교육, 장애인 및 비장애인 근로자를 위한 장애인식 개선 프로그램, 직장 내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
TAG 통합고용, 근로 경험, 성인 지적장애인, 삶의 질, integrated employment, work experiences,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quality of life
발달장애인이 지각하는 삶의 만족도 변화 궤적 및 예측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김자영 ( Kim Ja Yo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4호, 73~100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지각하는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또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인구학적 요인, 신체적 요인,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1차 웨이브 5차(2012년)에서 8차(2015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삶의 만족도 4년간의 변화율이 발달장애인 개인들 간에 차이가 있으며, 또 삶의 만족도 초기값이 높았던 발달장애인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삶의 만족도 수준이 완만하게 증가하는 반면에, 삶의 만족도가 낮았던 발달장애인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변화율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
TAG 발달장애인, 삶의 만족도, 인구학적 요인, 신체적 요인,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잠재성장모형,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fe satisfaction, demographic factor, physical factor, social factor, economic factor, psychological factor,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독거 시각장애인의 주거지 내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과 경험 연구: 서울시 내 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남지현 ( Nam Ji Hyun ) , 전지혜 ( Jeon Ji Hye ) , 오충원 ( Oh Chung We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4호, 101~132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주거지에서의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고 탐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총 8명의 시각장애인을 모집하여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독거 시각장애인의 주거지 내 안전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매일을 불안 속에서 살아감, (2) 안전한 삶을 포기하도록 강요하는 사회, (3) 독립적 삶이 아닌 고립된 삶, (4) 공공임대아파트에서의 삶, (5) 나 스스로 주체적인 안전의 쟁취로 총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1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독거 시각장애인의 안전사고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적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시각장애인의 주체적인 안전한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누구에게나 평등한...
TAG 시각장애인, 주거, 공공임대아파트, 안전사고, 독거 시각장애인, blind, housing, public rental apartment, negligent accident, living alone of the blind
아동의 성폭력 피해와 우울 간의 관계 연구: 수면장애와 동네 안전감의 역할 분석
류희정 ( Ryu Hee Jeong ) , 김기현 ( Kim Ki Hyun ) , 김재원 ( Kim Jae W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4호, 133~172페이지(총40페이지)
본 연구는 아동의 성폭력 피해 경험이 수면장애를 매개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수면장애와 우울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동네 안전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은 성폭력 피해 아동 87명과 대조군 228명이다. 매개효과 검증은 Baron과 Kenny(1986)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은 Muller 외(2005)의 회귀분석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의 성폭력 피해 경험은 수면장애를 완전 매개하여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때 수면장애와 우울의 관계에서 동네 안전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호작용 효과를 발생시켜, 동네 안전감이 아동의 수면장애와 우울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환경적 맥락임을 보여주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 아동의 수면장애를 고려한 우울 치료 계획 ...
TAG 아동 성폭력, 성폭력 후유증, 우울, 수면장애, 동네 안전감, Child sexual violence, Sequelae of sexual violence,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Perception of Neighborhood Safety
성인의 문제음주 발달궤적의 잠재계층 분류와 영향요인
권태연 ( Kwon Taeye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4호, 173~208페이지(총36페이지)
본 연구는 성인의 문제음주 발달궤적에 있어 다른 양상을 띠는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생태체계 이론을 토대로 그 계층을 이루는 구체적인 요인들을 밝혀냄으로써 성인들의 문제음주를 예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7-14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준모수적 집단중심 방법을 적용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5개 잠재계층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연구기간 내내 큰 변화 없이 적정 음주를 유지하는 비문제음주 집단(53.6%), 저수준 문제음주 집단(27.8%), 문제음주 감소 집단(8.5%), 문제음주 증가 집단(8.6%), 고수준 문제음주 집단(1.5%)으로 명명하였다. 다항로짓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성별이, 개인적 요인에서는 자아존중감이, 가족 요인에서는 가족관계만족도가 모든 잠재계층을 분류하는데 공통적으로 영향을 ...
TAG 성인 문제음주, 생태체계이론, 잠재계층분석, 한국복지패널, Adult Problem Drinking, Ecosystem Theory, Latent Class Analysis, Korean Welfare Panel Study
한국어판 Alcohol and Alcohol Problem Perception Questionnaire 타당화 연구 음주문제 클라이언트와의 실천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를 측정하는 도구
이재완 ( Lee Jaewan ) , 김용석 ( Kim Yongseok ) , 송진희 ( Song Jinh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4호, 209~241페이지(총33페이지)
Alcohol and Alcohol Problem Perception Questionnaire(AAPPQ)는 음주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와의 실천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를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 AAPP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음주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와의 실천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를 파악하는데 적합한 도구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분야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43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AAPPQ 원척도는 역할적절성, 역할정당성, 역할지지, 의지 및 동기, 업무특수적 자아존중감, 업무만족의 6요인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분석 결과 역할적절성, 역할지지, 업무만족, 역할정당성의 4요인 16문항이 도출되었다. 한국어판 AAPPQ의 하위...
TAG AAPPQ, 음주문제, 사회복지사, 태도, 신뢰도, 타당도, alcohol problems, social workers, attitude, reliability, validity
노인 와상환자 돌봄 인력의 돌봄보조기술 활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기명 ( Han Ki Myung ) , 김영선 ( Kim Young Sun ) , 신혜리 ( Shin Hye R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4호, 243~279페이지(총37페이지)
본 연구는 요양시설, 요양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등에서 노인 와상환자의 돌봄을 담당하고 있는 인력을 대상으로 돌봄보조기술에 대한 인식과 돌봄보조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제공 의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 와상환자의 돌봄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 종사자 18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돌봄 업무 중 가장 신체적, 심리적으로 부담되는 업무가 환자를 일으켜 세우거나, 목욕 보조와 같은 환자 몸무게를 직접 감내해야 하는 경우로 응답하였다. 이에 육체적인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돌봄보조기술의 도입이 시급하며, 국가, 지방자치단체, 국민건강보험공단 급여를 통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돌봄보조기술은 단순한 기능에 불과하여 활용 수준이 낮고, 낮은 인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돌봄 인력의 욕구에 맞춘...
TAG 노인 와상환자, 돌봄보조기술, 돌봄 인력, 요양서비스, 주제분석, Elderly Bedridden Patients, Assistive Technology, AT, Care Technology, Care Worker, Care Service, Thematic Analysis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통합 인식 요인에 관한 데이터마이닝 분석
강시온 ( Kang Sion ) , 배호중 ( Bae Ho-joong ) , 문상호 ( Moon Sang-h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3호, 5~38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통합 인식 요인을 파악하여 사회통합의 중요성을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통합 인식 요인을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사회적 포용’, ‘사회적 자본’, ‘사회적 이동’으로 크게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사회통합 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예측요인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6년 사회통합 실태 및 국민인식 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마이닝 분석으로 ‘의사결정나무모형’, ‘신경망 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고 모형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의 예측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사회통합에 관한 예측요인들이 기부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
TAG 기부행동, 사회통합, 나눔문화, 예측요인, 데이터마이닝, giving behavior, social cohesion, sharing culture, predictor, data mining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의 경제적 자립 지원에 관한 연구: 쉼터 입소자, 퇴소자, 종사자와의 FGI를 중심으로
남재욱 ( Jaewook Nahm ) , 신나래 ( Narae Shin ) , 김봄이 ( Bom-i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20] 제51권 제3호, 39~70페이지(총32페이지)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에서 제공되는 경제적 자립지원 서비스를 이해하고 경제적 맥락에서 기존의 자립지원 정책을 점검, 피해여성 당사자와 서비스 제공자의 목소리를 통해 현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복과 자립의 과정에서 시설이용자는 어떠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지, 직업훈련과 취업연계를 중심으로 어떠한 자립지원이 제공되고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 보호시설 입소자, 퇴소자, 종사자 28명과의 FGI를 진행하였다. 또한, 서비스 제공과 이용에서 지역별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경기와 대구/경북 지역으로 분리되어 면접을 진행하였다. 면접 내용을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이 갖는 다른 시설과의 차별성, 직업훈련과 취업지원에 관한 서비스 이용자의 경험, 경제적 자립지원에 대한 다양한 평가들이 제시되었다...
TAG 가정폭력, 경제적 자립지원, 직업훈련, 피해자쉼터, 표적집단면접, FGI, domestic violence, shelter, support of economic independence, vocational training, FGI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