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연구회97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중고령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심리정서적 요인을 중심으로
김자영 ( Kim Ja Yo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19] 제50권 제4호, 211~238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정서적 요인에 해당되는 자기효능감, 우울, 자아존중감, 장애수용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2차 조사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고령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장애수용은 각각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중고령 장애인의 저하된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장애수용의 긍정적인 측면을 활용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AG 중고령 장애인 근로자,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우울, 자아존중감, 장애수용, middle-aged and older worker with disability,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depression, self-esteem, disability acceptance
장애인 흡연행동의 종단적 변화유형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이계승 ( Lee Gye Seung ) , 김동하 ( Kim Dong Ha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19] 제50권 제4호, 239~269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장애인의 흡연행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어떠한 변화궤적 유형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 유형별 예측요인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패널조사 4차~8차까지 총 5개년의 자료를 활용하여 3,71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인 흡연행동의 종단적 변화유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잠재계층성장분석(LCGA)을, 예측요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흡연행동의 종단적 변화유형은 간헐적 흡연지속집단, 비흡연집단, 흡연지속집단, 중도흡연감소집단, 금연시도 성공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예측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음주여부, 장애정도, 장애수용, 사회경제적 수준, 주택소유여부, 수급자유무, 차별이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상이한 영향을 미치...
TAG 장애인, 흡연, 잠재계층성장분석,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 한국장애인고용패널조사,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Smoking, latent class growth model,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성인 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 유형화 연구: 전국 성폭력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최지현 ( Choi Jihyeon ) , 김기현 ( Kim Kihyun ) , 김재엽 ( Kim Jae-yop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19] 제50권 제4호, 271~296페이지(총26페이지)
성폭력 피해 특성인 피해 유형, 횟수, 피해 연령, 가해자와의 관계 등은 개별적인 특성이 아닌 성폭력 사건 내에서 복잡하게 얽혀있는 총체적인 피해의 경험이다.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이 경험한 성폭력 피해 특성들을 잠재계층분석(LCA)을 통해 유형화하고, 도출된 유형화 집단별로 성폭력 피해로 인한 후유증과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폭력 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이 중 성인기에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348사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성폭력 유형과 가해자와의 관계가 다양하게 조합된 4개의 하위유형-가까운 사람에 의한 심각한 성폭력 피해, 업무상 아는 사람에 의한 희롱과 추행 피해, 30세 이후의 심한 성추행 피해, 모르는 사람에 의한 가벼운 추행 피해-이 발견되었다. 이들 하위유형간의 성폭력 이후의 고통이나...
TAG 성폭력 피해 특성, 성폭력 피해 유형화, 성폭력 피해자 정신건강, 잠재계층분석(LCA), 전국 성폭력 실태조사, characteristics of sexual assault, profile of sexual assault victim, survivors’ mental health, latent class analysis, the Nationwide Survey of Sexual Assault in Korea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적 메타분석: 단일변량 및 다중변량 메타회귀분석
서인해 ( Seo In Hae ) , 공계순 ( Kong Gye So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19] 제50권 제4호, 297~337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하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특징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8년 6월 현재까지 검색된 39편의 지역아동센터의 자아존중감 관련 프로그램 평가논문이며, 분석에 포함된 변수는 조사평가, 프로그램 구성 및 프로그램 개발 활동 영역의 9개 변수이다. 통계분석은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을 사용하여 메타아노바와 설명적 메타분석으로서 단일변량 및 다중변량 메타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아동센터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는 .942로 나타났다. 효과크기의 이질성에 대한 메타아노바 분석 결과, 총 회기 11~20회, 1회기 당 50분~60분, 프로그램 참여자 10인 이하, 자아존중감 단일목표, 프로그램 개...
TAG 다중변량 메타회귀분석, 지역아동센터,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multivariate meta-regression analysis, community children center,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가구의 재정 상황이 부부폭력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 행위자-파트너 상호의존모형의 적용
박호준 ( Park Ho Jun ) , 박정민 ( Park Jung M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19] 제50권 제4호, 339~362페이지(총24페이지)
이 연구는 소득, 자산, 부채를 포함한 가계의 재정 상황이 부부의 부부폭력의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 제12차 한국복지패널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표본은 부부 3,262쌍(6,524명)을 포함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가구의 높은 가처분소득은 부부폭력의 위험을 낮추는 반면, 높은 비우량부채 비율의 보유는 부부폭력의 위험을 높였다. 둘째, 이 때 우울감 수준이 이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부부폭력 위험과 유의미한 연관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소득수준과 비우량부채 수준이 부부폭력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부부의 성별에 따라 다르고, 자기효과(actor effect)와 상대방효과(partner effect)를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비우량부채가 가족관계의 질에 미...
TAG 가계부채, 부부폭력, 한국복지패널, 상호의존모형, 비우량부채, 소득, 자산, Indebtedness, Domestic Violence, Spousal Abuse, Subprime loans
복지태도 결정에 거시경제상황이 미치는 영향: 개인 특성 및 복지체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형관 ( Kim Hyeong-kwan ) , 이상록 ( Lee Sang-ro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19] 제50권 제3호, 261~297페이지(총37페이지)
본 연구는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거시경제상황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새롭게 분석하고, 복지태도에 미치는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이 개인 특성 및 복지체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또한 규명하고자 조절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들의 분석에는 개인 수준에서의 세계 가치관조사(WVS)와 유럽인 가치관조사(EVS) 자료 및 복지국가 특성에 대한 국가 수준의 자료들을 결합한 다수준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복지태도 결정에 미치는 거시경제상황의 영향 및 이들의 관계에서 개인 특성 및 복지체제의 조절효과의 분석에는 다층분석모델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실업 및 소득불평등 등의 거시경제상황 변수들이 복지태도 결정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어, 사회구성원들의 복지태도는 개인 특성 뿐 아니라 거시경제상황에 의해서도 적극 규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G 복지태도, 거시경제상황, 복지체제, 조절효과, welfare attitude, macroeconomic conditions, welfare states, multi-level data analysis
지역아동센터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시론
홍나미 ( Hong Na Mi ) , 정익중 ( Chung Ick Jo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19] 제50권 제3호, 5~31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지역아동센터가 공공성을 주체적으로 실현해갈 수 있는 내용적 공공성 측면에서 실질적인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최우수 지역아동센터로 선정되고 슈퍼바이저로 활동하는 시설장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변화하는 지역사회의 돌봄 환경에서 지역아동센터가 나아가야 할 공공성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방안은 4개의 상위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의 걸림돌을 확인하고, 공공성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역아동센터의 노력과 공공성 확대를 위한 추진 방법, 그리고 공공성을 확대하는 기관에 대한 지원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아동센터 공공성에 대...
TAG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방과후 돌봄, FGI, community child centers, publicness, after-school care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낙인지각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연 ( Kim Su-yeon ) , 한창근 ( Han Chang-keu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19] 제50권 제3호, 33~63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해 사회적 낙인지각이 그들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정신건강복지센터 11곳, 정신재활시설(주간재활) 19곳에 등록하여 이용하고 있는 성인(19세 이상, 64세 이하) 중 DSM-5에 의해 조현병 진단을 받은 36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단순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Baron & Kenny(1986)의 분석방법 및 Sobel-Test를 통해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장애인의 낙인지각이 역기능적인 분노표현 방식인 분노표출, 분노억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낙인지각과 기능적인 표현방식인 분노조절과의 연관성은 파악할 수 없었다. 셋...
TAG 정신장애인, 조현병, 낙인지각, 분노표현,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mentally disordered, schizophrenia, perceived stigma, anger expression, self-esteem, mediating effect
직업 복귀 산재노동자의 일만족 영향요인: 가족관계의 종단적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미옥 ( Kim Mi Ok ) , 정은혜 ( Jung Eun Hy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19] 제50권 제3호, 65~92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는 산재보험패널조사의 1차~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재노동자의 가족관계가 일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살펴보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가족관계와 일만족은 증가하는 선형추세를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초기에 증가하다 3차년도를 전환 시점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가족관계 초기값은 일만족 초기값에, 가족관계 변화율은 일만족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수의 초기값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초기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관계의 변화율은 후기 자기효능감의 변화율에, 전기 자기효능감 변화율은 일만족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요양을 마친 이후 직업에 복귀한 산재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일만족에 대한 가족관계의 영향...
TAG 산재노동자, 일만족, 가족관계, 자기효능감, 직업복귀, 잠재성장모형, Injured workers, job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hip, self-efficacy, return-to-work, latent growth model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직장이동과 직업이동 분석
강철희 ( Kang Chul Hee ) , 이종화 ( Lee Jong Hwa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19] 제50권 제3호, 93~129페이지(총37페이지)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장이동의도와 직업이동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하여 사회복지사 이직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 사회복지영역 내에서의 이직인 직장이동과 사회복지 이외 영역으로의 이직인 직업이동 둘 다에 초점을 두고 이직의도가 없는 이들과의 비교를 통해 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검증한다. 분석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전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4,335명을 표집 하여 조사한 2017 사회복지사 기초통계연감 자료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들 중 이직의도가 없는 이들은 66.3%이고, 직장이동의 의도를 갖는 이들이 23.6% 그리고 직업이동의 의도를 갖는 이들은 10.1%이었다. 둘째, 영향 요인들 중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조직운영 및 관계에 대한 만...
TAG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직장이동, 직업이동, 이직의 영향요인, social worker,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mobility, occupational mobility, predictors on turnover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