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사)한국경관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경관학회지12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생태기반 지역계획 - ‘생태계획(Ecological Planning) 이론’과 ‘생태적도시주의(Ecological Urbanism)’를 중심으로 -
권윤구 ( Kwon Yoonku ) , 한소영 ( Han Soyoung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9] 제11권 제1호, 96~113페이지(총18페이지)
생태는 지역계획에 있어 필수조건이자 충분조건이기도 하다. 조경학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생태기반 지역계획의 큰 흐름이 있어왔지만, 이제까지 국내에서 주로 조경학의 관점에서 다뤄지다 보니 지역계획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생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를 이론 및 실천의 기반으로 한 지역계획의 전반적인 흐름을 생태계획이론과 생태적도시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지역계획의 학문적 흐름 속에서 이 두 이론이 어떠한 상보관계를 가지면서 각자 어떠한 의미로 발전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생태 관련 이론 및 실천 방안들은 생태계획이론, 생태적도시주의의 커다란 연장선상에서, 단순히 생태 분야만을 넘어 지역계획 분야를 통섭하는 이론적 근간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TAG 생태계획이론, 생태적도시주의, 생태, 이안맥하그, 지역계획, Ecological Planning Theory, Ecological Urbanism, Ecology, Ian Machag, Regional Planning
런던 경관의 숨은 조절자
주신하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9] 제11권 제1호, 117~121페이지(총5페이지)
생태는 지역계획에 있어 필수조건이자 충분조건이기도 하다. 조경학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생태기반 지역계획의 큰 흐름이 있어왔지만, 이제까지 국내에서 주로 조경학의 관점에서 다뤄지다 보니 지역계획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생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를 이론 및 실천의 기반으로 한 지역계획의 전반적인 흐름을 생태계획이론과 생태적도시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지역계획의 학문적 흐름 속에서 이 두 이론이 어떠한 상보관계를 가지면서 각자 어떠한 의미로 발전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생태 관련 이론 및 실천 방안들은 생태계획이론, 생태적도시주의의 커다란 연장선상에서, 단순히 생태 분야만을 넘어 지역계획 분야를 통섭하는 이론적 근간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국의 농촌경관이 아름다울 수 있는 이유, AONB
황길식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9] 제11권 제1호, 122~129페이지(총8페이지)
생태는 지역계획에 있어 필수조건이자 충분조건이기도 하다. 조경학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생태기반 지역계획의 큰 흐름이 있어왔지만, 이제까지 국내에서 주로 조경학의 관점에서 다뤄지다 보니 지역계획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생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를 이론 및 실천의 기반으로 한 지역계획의 전반적인 흐름을 생태계획이론과 생태적도시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지역계획의 학문적 흐름 속에서 이 두 이론이 어떠한 상보관계를 가지면서 각자 어떠한 의미로 발전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생태 관련 이론 및 실천 방안들은 생태계획이론, 생태적도시주의의 커다란 연장선상에서, 단순히 생태 분야만을 넘어 지역계획 분야를 통섭하는 이론적 근간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보행환경에 관한 국내 연구와 정책 흐름 고찰
서자유 ( Seo Jayoo ) , 김한배 ( Kim Hanbai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9] 제11권 제1호, 1~14페이지(총14페이지)
도시를 걷는다는 것은 자동차 중심의 사회에서 보도로 통행하는 사람들의 걷기 행위와 그 권리이다. 이 행위는 도시 공간과 제도를 변화시키는 힘을 갖는다. 이 연구는 보행환경에 대한 국내의 정책과 연구의 흐름을 살펴본 것이다. 연구의 대상과 방법은 자동차 교통이 보편화한 시기부터 국내의 정책과 연구들의 변화과정을 시계열적으로 살폈다. 1960∼70년대는 보행은 자동차에 밀려 보호받지 못하는 보행의 종말 시대이다. 자동차 위주의 법과 연구만 있을 뿐 보행에 대한 인식과 연구는 희박한 시기이다. 1990년대에는 보행의 권리가 인식되면 보행이 부활하는 시기이다. 보행사고의 심각성과 시민사회의 요구로 인해 조례 제정과 정책사업이 시행되었다. 2000년대 이후는 다양한 정책과 사업이 활성화되고 걷기 문화가 확산하였다. 현재까지는 보행을 하나의 이동수단으로 인식하고 보행...
TAG 보행환경, 보행정책, 보행권, Walking Environment, Walking Policy, Walking Rights
경관자원 조사체계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 당진시 경관자원조사 사례를 중심으로 -
김다영 ( Kim Da-young ) , 신윤지 ( Shin Yun-ji ) , 장혜원 ( Jang Hye-won ) , 이송희 ( Lee Song-hee ) , 위재송 ( Wi Jae-song ) , 주신하 ( Joo Shin-ha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8] 제10권 제2호, 67~81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당진시 관할 전 지역 (2읍, 9면, 3동)의 경관자원조사 사례를 통해 경관자원 조사에 대한 단계별 체계를 수립하고, 통합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우선 선행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해 현재 경관자원 조사의 현황 파악과 시사점을 도출해 내었으며, 경관자원 조사양식을 도입 후 재구성하여 조사방법과 범위 등 기본적인 조사체계를 구축하였다. 구축한 체계를 적용하여 당진시 전체 관할 구역의 일반경관자원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경관자원조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인 자원의 관리 및 활용방안 마련을 위해 중요 경관자원의 선정 및 조사를 향후 추진할 예정이다. 일반경관자원의 조사체계는 첫 번째로 당진시의 경관과 관련된 계획 및 보고서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관련 자원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자원을 유형과 구역별 분류 및 코드 ...
TAG 경관자원, 경관자원 조사, 경관자원 조사 체계, 일반경관자원, Landscape Resources, Landscape Resources Research, Landscape Resources Research System, General Landscape Resources
엔지니어링 BIM 기술 활용을 통한 경관 BIM의 적용방안 - Infraworks, Twin Motion을 기반으로 한 3D 경관설계를 대상으로 -
홍진기 ( Hong Jin-ki ) , 서자유 ( Seo Jayoo ) , 변재상 ( Byeon Jae-sang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8] 제10권 제2호, 82~92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경관 분야에 BIM 기술의 도입이 필요함을 설명하는 논문이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까지 스마트 건설자동화 등에 대한 스마트 기술 분야 확대를 보도하였다. 국가의 BIM 기술 장려정책에도 불구하고, 경관 분야에서 BIM에 대한 인식이 낮아 그 필요성과 유용성을 제기할 필요성이 있다. BIM은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약자로 건설기술의 3차원 모형화로 이해할 수 있다. CAD로 입력된 객체들이 속성값을 가지고서 다른 객체와 연동(파라메트릭)하는 방식이며, 정보들 또한 유기적으로 연동된다. BIM의 시작은 계획 자료, 설계도서, 시방서, 원가 분석자료와 도면 등의 다양한 설계 시공 도서들이 유기적인 관계로 건설 전반적인 공정인 계획 - 설계 - 시공 - 유지관리의 모든 과정에 순환적으로 연...
TAG BIM, 3D 모델링, 스마트 건설자동화, GIS, 경관, Infraworks, Twinmoti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andscape
개발사업 변경시의 경관심의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도시개발사업 변경에 따른 경관심의를 중심으로 -
이동화 ( Lee Dong-hwa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8] 제10권 제2호, 93~104페이지(총12페이지)
경관법 개정을 통해 주요 사회기반시설, 개발사업 및 건축물 경관에 대한 경관심의제도가 도입되면서 체계적인 경관관리의 기반이 마련된 것은 사실이나, 심의기준의 불명확성, 개별법이 가지는 특수성 등에 의해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서 경관심의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 특히 개발사업의 경우, 최초의 심의 후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에 따른 경관심의제도를 마련해 두고 있으나, 효율적이고 신속한 사업의 추진을 위해 최소한의 변경기준을 수립한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사업을 원활히 진행하는 데에 있어서 제약이 되는 경우에 대해 고찰하였다. 고찰결과, 개발사업 변경에 따른 심의제도의 항목인 면적변경에 대한 기준, 공간시설에 대한 기준, 최고높이 및 용적률 상향에 대한 기준에 대한 불명확성과 모호성을 쟁점으로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개선방안으로는 개발사업의 구체적인 정도에 ...
TAG 경관법, 경관심의제도, 공간시설, 용적률, 도시개발사업, 상세계획, Landscape Act, Landscape Review Systems, Spacial Facilities, Bulk Regulation, Urban Development Sites, Detail Planning
장소기억에 나타난 진주성(晋州城)의 경관이미지 변화 - 문헌분석 및 개인 면담을 중심으로 -
하혜경 ( Ha Hye-kyung ) , 김한배 ( Kim Han-bae ) , 조윤승 ( Jo Yun-seung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8] 제10권 제2호, 105~122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외침을 막은 군사적 요충지이자, 근대 초 경남도청이 소재했던 배경장소인 진주지역의 진주성(晋州城)을 대상으로 경관이미지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는 진주성의 역사적·물리적 사실 변천에 초점을 두었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실제 주민들의 주관적 기억속의 진주성의 경관이미지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 사실에 근거한 문헌분석과 개인과 집단의 기억을 기록한 비 학술문헌 및 개인면담을 활용하였다. 조선시대 진주성은 임진왜란 전투지, 경상도의 거읍(巨邑), 명소라는 역사적 사실로 중시되었으나, 그 중에서 전쟁의 승리와 상처, 논개를 추억하는 기억을 통해 ‘임진왜란 전투지’의 이미지를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조선 말기 일제강점기 초기에는 경상남도를 관할하는 관찰부와 경남도청이 입지하면서 ‘경상남도를 대표하는 행정중심지’라는 상징성을 가지게 되었다....
TAG 진주성, 장소기억, 장소성, 상징경관, 경관이미지, Jinjuseong Castle, Place Memory, Placeness, Symbolic Landscape, Landscape Image
보존 및 활용을 고려한 명승의 분류 체계 연구
김충식 ( Kim Choong-sik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8] 제10권 제2호, 123~134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외침을 막은 군사적 요충지이자, 근대 초 경남도청이 소재했던 배경장소인 진주지역의 진주성(晋州城)을 대상으로 경관이미지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는 진주성의 역사적·물리적 사실 변천에 초점을 두었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실제 주민들의 주관적 기억속의 진주성의 경관이미지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 사실에 근거한 문헌분석과 개인과 집단의 기억을 기록한 비 학술문헌 및 개인면담을 활용하였다. 조선시대 진주성은 임진왜란 전투지, 경상도의 거읍(巨邑), 명소라는 역사적 사실로 중시되었으나, 그 중에서 전쟁의 승리와 상처, 논개를 추억하는 기억을 통해 ‘임진왜란 전투지’의 이미지를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조선 말기 일제강점기 초기에는 경상남도를 관할하는 관찰부와 경남도청이 입지하면서 ‘경상남도를 대표하는 행정중심지’라는 상징성을 가지게 되었다....
TAG 지정기준, 경관자원, 세분화, 보호, 활용, Designation Criteria, Landscape Resources, Subdivision, Protection, Use
형태기반코드를 적용한 도시경관 조성여건에 관한 연구
하헌정 ( Ha Heon-jeong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8] 제10권 제2호, 135~148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미국의 형태기반코드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도시경관조성에 적용하기 위한 개념 요소를 도출하여 우리의 제도적 여건 하에서 그 적용의 한계와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형태기반코드는 공간 형태를 전제로 작성됨으로써 지역적 특성과 장소성을 확보하고, 구성요소 간의 통합적 지침을 마련하여 맥락에 순응하는 계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건축물과 가로의 관계를 정의하고 일관성 있게 구현할 수 있도록 디자인기준을 마련하며, 규제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디자인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그러므로 형태기반코드는 예측 가능한 경관이미지의 제시를 가능하게 한다. 형태기반코드의 제반 특성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할 때, 효과적인 도시경관을 실현하기 위한 적용 개념은 ‘도시형태에 의한 규제’, ‘예측 가능한 경관이미지의 설정’...
TAG 형태기반코드, 도시경관, 도시경관이미지, 맥락, 디자인가이드라인, Form-Based Codes, Urban Landscape, Urban Landscape Image, Context, Design Guidelin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