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사)한국경관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경관학회지12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서울시 내 주상복합건물의 시기별 경관요소 변화 연구
권영환 ( Kwon Young-hwan ) , 고현준 ( Ko Hyeon-june ) , 황재훈 ( Hwang Jae-hoon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7] 제9권 제1호, 14~29페이지(총16페이지)
근대화 이후 사회발달은 도심부 재개발의 개념으로 주상복합건물의 도입으로 이어졌다. 주상복합건물은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건물로 각 기능별 층고와 입면 계획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토지 이용적 측면에 있어서도 건물의 밀도 혹은 전체적인 건물의 경관과 같은 도시 규모적 측면에서의 계획이나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량적 경관요소 도출을 통하여 주상복합건물의 시초인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각 기수별 주상복합건물의 개발사례를 선정하고, 현황을 조사·분석해서 각 시기별 주상복합건물의 정량적 경관요소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주상복합건물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기능과 정량적 요소들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는데, 과거에 비해 점점 다양하고 대규모로 건설되는 주상복합건물의 특성에 따라 디자인경관요소와 법적경관요소는 증가...
TAG 개방지수, 천공률, 전면종횡비, 녹시율, 입면차폐도, Open Quotient, Sky Factor, Slenderness, Index of Greenness, Elevation Blokage Ratio
공원조성을 위한 패러다임의 변화 - 건강관리를 위한 공원 조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
변재상 ( Byeon Jae-sang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7] 제9권 제1호, 30~40페이지(총11페이지)
최초의 도시공원은 도시에서 생존에 필요한 건강문제의 해결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 센트럴파크를 통해 확산된 미국 공공공원(Public Park) 조성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공원조성의 5대 가치 중 공원의 보건적 가치가 제일 처음 등장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센트럴파크 설계자이자, 조경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 1822∼1903)는 "지금 이곳(센트럴파크)에 공원을 만들지 않는다면, 100년 후에는 이 넓이의 정신병원이 필요할 것이다."라고 할 정도로 공원의 역할 중 스트레스 해소와 같은 건강 증진의 역할을 최고의 가치로 뽑았다. 최근에는 공원의 기능과 혜택이 다양한 측면에서 입증되어, 공원의 보건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희석되고 있을 정도이다. 무엇보다도 공원의 존재 이유는 바로 국민...
TAG 건강공원, 4차 산업혁명, 도시공원, 예방의학, Health Park,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rban Park, Preventive Medicine
연안경관 개선을 위한 항만재생 방안 - 부산항의 항만기능 재편을 중심으로 -
배경완 ( Bae Kyungwan ) , 하경준 ( Ha Gyoung-jun ) , 박형준 ( Park Hyung-jun ) , 정주철 ( Jung Ju-chul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7] 제9권 제1호, 41~55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부산항의 노후한 항만기능 및 경관을 복원하고 항만과 배후지역 간 갈등 해결을 통한 조화로운 미항 조성을 위한 단기(항만기능 재편) 및 장기적인(미항 기본구상)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산항의 배후지역은 항만과 함께 발전하여 그와 관련된 산업과 항만을 이용하는 선박, 선박과 관련된 산업시설이 주거지와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항만시설 노후화 및 관련시설의 부정적 영향이 도시민들의 민원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항만 공간에 대한 새로운 가치창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미항조성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항으로서 중요한 요인인 경관을 중심으로 배후지와 항만이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기능재편 방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부산항의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미항 조성에 있어서 ...
TAG 부산항, 배후지역, 항만경관, 미항, 항만재생, Busan Port, Hinterland, Landscape of Port, Beautiful Port, Port Regeneration
경관협정 체결에 기반한 경관사업 후 거주상인의 인식 및 평가 - 수원 거북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
고하정 ( Ko Ha-jung ) , 손용훈 ( Son Yong-hoon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6] 제8권 제2호, 67~83페이지(총17페이지)
최근 주민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경관사업은 기존의 공공주도에서 벗어나 주민주도 사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과도기적 상황에서 주민주도적 경관사업이 잘 정착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경관협정 중 유일하게 주민주도로 경관협정을 체결하고 사업을 진행한 수원시 거북시장 길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공사 전부터 현재까지 영업을 하고 있는 거주상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의미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협정부터 출발한 사업이니 만큼 상인들의 만족도가 높아야함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둘째, 긍정적인 부분은 가로의 깨끗함 외에는 개선 의지나 장기적인 기대에 관한 것을 포함한 것에 불과하며, 셋째, 상인들은 가로활성화를 목적에 두었으나 경관사업은 물리적인 가로경관 개선에 치중되어 있어 경관사업 후 내부...
TAG 경관협정, 경관사업, 주민참여, 수원시, 거북시장, 느림보타운, Landscape Agreement, Landscape Project,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Suwon, Gobuk Market
서울 경관·명소의 지속과 변화 - 경관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
박수지 ( Park Su-ji ) , 김한배 ( Kim Han-bai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6] 제8권 제2호, 84~97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조선조 한양의 정도 이래 지속과 변화 속에서 서울 도시경관의 동태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대별 주민과 방문객의 인지 속에 나타나는 경관·명소의 변화양상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조선과 일제강점기, 현대의 세 시대에 나타난 대중적 매체들을 통해 시대별로 경관자원의 분포와 인식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서울 경관·명소의 지속과 변화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경관·명소의 인식에 변화가 나타났다.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자연경관과 역사경관, 생활경관에 해당하는 자원들은 지속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특정 도시마을들과 가로경관은 특히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으며, 현대에 와서 새롭게 나타나는 것은 도심상업가로나 복합문화가로로서 경관·명소 유형이 다양화 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시생활이...
TAG 서울, 경관, 명소, 인식, 정체성, 장소성, 대중매체, Seoul, Landscape, Attraction, Perception, Identity, Sense of Place, Texts, Mass Media
장대터널 내 사고감소와 경관개선을 위한 벽화조성에 관한 연구
박철희 ( Park Chul-hee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6] 제8권 제2호, 98~105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도로터널을 주행하는 운전자의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시각적 방안 중 벽화조성이라는 경관을 고려한 도로시설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장대터널 내 벽화 조성은 먼저 단조로운 터널 내부에 시각적인 도로 시설물을 설치하여 운전자의 시각을 각성시켜 사고를 감소시키는 기능적인 측면이 있다. 이러한 기능적인 측면과 더불어, 터널 내 벽화는 다른 도로 시설물과 다르게 도로터널 내 시각적인 환경의 경관을 개선할 수 있다. 이는 시각적인 환경을 쾌적하고 아름답게 만들면서, 터널 내부의 환경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에게는 감성적인 요소를 제공할 것이며, 상정적인 효과로 지역 이미지 구축이 가능해지는 등 복합적인 기능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AG 장대터널, 사고감소 방안, 경관, 벽화조성, Longitudinal Tunnel, Accident Reduction Plans, Landscape, Wall Painting Creation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 디자인 기법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정태열 ( Jung Tae Yeol ) , 김묘정 ( Kim Myo Jung ) , 황인진 ( Hwang In Jin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6] 제8권 제2호, 106~118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도로환경을 인간중심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에 디자인기법을 적용해보는 기초연구로,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의 항목 선정과 그에 따른 디자인기법 도입을 위한 디자인 개념 및 방향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해서 진행되었다. 연구내용은 1) 관련 자료 검토 및 국내외 사례조사 분석, 2)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의 항목 선정 및 분류, 3)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 디자인 개념 및 방향 설정 등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의 항목선정에서는 보행자용 방호울타리·자동차진입억제용 말뚝·가로등·교통섬·회전교차로·녹지대·자전거 보관대·휴게의자·상징조형물 등 9종이 선정되었고, 디자인 개념 및 방향은 안전한·비우는·통합되는·기억되는·지속가능한 등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형 교통정온화 경관...
TAG 교통정온화, 경관디자인, 경관시설물, Traffic Calming, Landscape Design, Landscape Furniture
경의선 숲길이 지역재생에 미치는 영향
박병훈 ( Park Byung-hoon ) , 김한배 ( Kim Han-bai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6] 제8권 제1호, 1~19페이지(총19페이지)
본 논문은 몇 년 전부터 이슈화 되고 있는 지역재생, 그중에서도 이전적지를 활용한 도심재생사업이 주변의 지역재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도시재생사업은 기계적인 개발논리와 도시계획 또는 건축 계획적 측면으로 강하게 접근하여 물리적 요소 외적인 요소인 문화·생태적 요소 및 주변과의 연계라는 측면에서 충분히 성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도시재생 중에서도 특히 이전적지를 활용한 도심공원의 계획요소를 충분히 이해하고,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환경설계적 전략과 더불어 지역재생관련 사업으로 인해 예측할 수 있는 주변 영향에 대비하는 실천적 전략을 제고하는 기초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도시재생과 이전적지를 활용한 선형공원에 대한 개념을 논하고, 그를 통해 사례를 들여다 볼 수 ...
TAG 지역재생, 이전적지, 선형공원, 도시재생개념, 도시재생 유형, Local Regeneration, Brownfield, Linear Parks, Urban Regeneration Concept, Types of Urban Regeneration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 비교로 본 경관특성 고찰
하혜경 ( Ha Hye-kyung ) , 김한배 ( Kim Han-bae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6] 제8권 제1호, 20~38페이지(총19페이지)
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에 서울지역 외곽에 1기 신도시 5개를, 2000년대에는 제2기 신도시 12개가 건설되었거나, 현재 건설 중에 있다. 1기 신도시와 2기 신도시간의 개발방식 차이를 보이는데, 전자가 교통·동선계획 후 공원·녹지계획 방식이라면, 후자는 공원·녹지계획을 고려한 교통·동선계획 방식을 보인다. 본 연구는 신도시의 공원·녹지 계획의 차이가 도시의 경관특성에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1기 산본신도시와 2기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를 비교하여 경관특성을 고찰하였다. 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를 분석하고자 공원녹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공원·녹지체계의 유형', '보행환경 유형', '오픈스페이스 유형' 3가지 분석항목이 도출되었다. 각 분석항목에 따라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의...
TAG 신도시, 공원, 녹지, 경관, 공원·녹지체계, Newtown, Park, Green, Landscape, Park and Green Space System
슬로시티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민수희 ( Min Su-hui ) , 권윤구 ( Kwon Yoon-ku ) , 주신하 ( Joo Shin-ha ) , 임승빈 ( Im Seungbin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6] 제8권 제1호, 39~52페이지(총14페이지)
최근 농촌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인식의 전환으로 지속가능한 농촌 발전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의 고유성과 진정성, 다양성을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지역도시의 대안적 모델로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슬로시티의 정책 및 사업추진에 활용할 수 있는 슬로시티 성과지표를 개발함으로써 슬로시티의 지속적인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분석평가 도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슬로시티 국내인증항목을 바탕으로 슬로시티 평가를 위한 슬로시티 성과지표를 도출하였으며, AHP를 적용하여 슬로시티 성과평가 지표별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슬로시티의 성과평가 지표 도출을 위해 1) 슬로시티와 기존 농촌사업 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함으로써 개념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2) 기존문헌과...
TAG 슬로시티, 대안적 지역개발, 평가지표, AHP분석, 성과평가, Slow City, Alternative Regional Development, Performance Indicator, AHP Analysis, Evaluation Performan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