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사)한국경관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경관학회지12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진주의 대표경관 분포 특성
하혜경 ( Ha Hye-kyung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20] 제12권 제2호, 246~262페이지(총17페이지)
이 논문은 과거 대읍(大邑)이었던 역사도시를 대상으로 기록물에 나타난 대표경관의 분포를 분석하고 그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쇠퇴도시의 원도심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단초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지는 상주, 경주, 안동과 함께 경상도의 4대 대읍 중 하나인 조선시대 진주목이라 불리던 진주지역이다. 현대의 진주는 인근 사천시와 더불어 첨단 항공산업의 중심지이자 혁신도시 이전으로 새로운 행정도시로 성장 중이지만, 과거 진주는 경남의 대읍으로 특히 원도심은 진주의 경관정체성을 함축한 곳이라 할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조선시대 진주목을 묘사한 고지도, 구비문학, 팔경ㆍ10경ㆍ12경, 고문헌 등 당대 경관을 인식하여 기록으로 남긴 매체를 내용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주성내에는 촉석루, 북장대, 진주성 등 역사경관이 우세하며, 성 외부로는 주산(主...
TAG 도시재생, 장소 인식, 진주성, 촉석루, 남강, 경관정체성, 지역성, Urban regeneration, place recognition, Jinjuseong, Chokseokru, Namgang, landscape identity, locality
주민참여형 도시숲 조성 유형 및 특성 분석
이상채 ( Lee Sang-chae ) , 박세영 ( Park Se-young ) , 손학기 ( Sohn Hak-gi ) , 한소영 ( Han So-young ) , 권윤구 ( Kwon Yoon-ku ) , 김은일 ( Kim Eun-il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20] 제12권 제1호, 1~15페이지(총15페이지)
도시숲은 지역경제와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에너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공동체가 필요한 우리 사회의 대안이 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도시숲 조성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능동적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를 위한 특정한 가이드라인이 조성되어 있지 않아 시민참여 도시숲 사업들을 실행하는데 있어 참여 시민들 뿐만 아니라, 사업 시행처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숲속의 전남’을 통하여 조성된 참여숲의 현황을 파악한 후, 그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지침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참여숲 조성유형은 크게 생활숲, 소득숲, 기타숲으로 구분하고 생활숲은 다시 쉼터형과 경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유형에 따라 식재 방안 및 관리 유지 방안에 대한 지침을 구체적으로 설정한다면 좀 더 효과적으로 참여숲을 조성할 수 있으...
TAG 숲 유형, 참여숲, 도시숲, 주민참여, 숲속의 전남, Forest type, Participating forest, Urban forest, Public Participation, Jeonnam in the forest
도시재생의 실천적 움직임과 지역성 개념의 변화 고찰 - 워드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
박병훈 ( Park Byunghoon ) , 김한배 ( Kim Hanbai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20] 제12권 제1호, 16~28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최근 도시재생 사업의 시행과 관련하여 표면적인 경관개선에 머무르는 현실에 기반하여 지역성과 도시재생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주제어들을 추출한 뒤, 과거의 지역성 및 도시재생의 개념과 중요 요소를 파악하고 최근 1년간의 지역성과 도시재생을 키워드로 한 빅데이터 분석을 워드클라우드기법을 통해 시각화하여 그 의미와 중요점의 시대적 변화를 메타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거의 도시재생과 관련된 지역성은 장소성, 문화, 지역, 공간, 다양성, 정체성, 공간성과 같은 그 언어적 특성에 기반으로 한 정의적(定義的)인 개념이었지만 최근은 지역성을 공공성, 공익적인 발전의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도시재생의 개념은 과거 도시재생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요소들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졌다면 최근 도시재생은 활성화를...
TAG 도시재생, 지역성, 워드클라우드, 빅데이터분석, Urban Regeneration, Locality, Word Cloud, Big data Analysis
온라인에 나타나는 공간 정보와 장소경험 - 서울식물원의 온라인 정보의 전달과 수용을 대상으로 -
서자유 ( Seo Jayoo ) , 김한배 ( Kim Han-bai ) , 하혜경 ( Ha Hye-kyung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20] 제12권 제1호, 29~42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온라인에 나타난 장소 정보와 이용자의 장소경험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최근 정보통신의 확대에따른 온라인에서의 공간 정보, 수용자의 인지 방향, 그 정보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피었다. 연구의 공간 대상은 서울식물원이며, 분석의 대상은 설립취지와 설계자의 의도 및 물리적 공간 특성 등을 포함한 장소의 정보이며, 이 것이 온라인에서 공유·전파 되는 현상과 수용자의 반응을 함께 분석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서울식물원의 2018년 10월 1일부터 2019년 6월 25일까지(분석일)며, 자료의 범위는 공식 홈페이지, 포털사이트에 공유된 온라인 신문기사와 사회적 연결망 서비스(SNS)로 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식물원의 공간 정보는 일방적 전달보다는 소통이 가능한 사회적 연결망 서비스에서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가 전달되고 있었다. 익명성보다는 실명의...
TAG 온라인 공간정보, 장소경험, 서울식물원, 장소성, 참여, 소통, 온라인 탈억제 효과, 비영토화, 개장 초기, Online spatial Information, Experience the Place, Seoul Botanic Park, Placeness, Participation, Communication, online dis inhibition effect, de-territorialization, Early after opening
싱가포르 옥외광고물 가이드라인의 도시경관을 고려한 세부기준 연구
이승지 ( Lee Seung Ji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20] 제12권 제1호, 43~56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는 아시아의 국가 중 옥외광고물에 대한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싱가포르를 대상으로 옥외광고물 관리기준 중 도시경관과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기준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싱가포르에서 옥외광고물은 법적 규정과 지역별 그리고 요소별 가이드라인을 통하여 규제되고 있으며, 설치될 옥외광고물이 도시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가로 활력에 기여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싱가포르 옥외광고물 가이드라인 중 특히 도시경관과의 관계성을 강조하며 명시된 내용들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와 건축적 기준을 바탕으로 지역별 특성에 부합한 차별적 기준이 제시되었다. 둘째, 스카이라인 보호를 위하여 옥상간판을 제한한다. 셋째, 보행활동과 연계되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고 높이 및 위치를 제한한다. 이...
TAG 옥외광고물, 옥외광고물 가이드라인, 싱가포르, 도시경관, Outdoor Advertising, Outdoor Advertising, Signage, Guideline, Singapore, Urban landscape
기초 지방자치단체 경관현황조사 매뉴얼 작성을 위한 연구 - 당진시 경관자원조사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신윤지 ( Shin Yunji ) , 정필립 ( Jeong Pil-rip ) , 주신하 ( Joo Shin-ha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20] 제12권 제1호, 57~70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경관자원조사를 포함한 경관현황조사를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경관현황조사 매뉴얼 작성에 포함하여야 할 기본사항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지침과 연구결과를 검토하고 당진시 경관자원조사 경험을 토대로 경관현황조사 매뉴얼 작성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로 전문가, 시민, 행정 등 다양한 주체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경관자원 평가방식과 등급화 방안, 단계별 연관성을 고려한 경관현황조사체계, 조사단계별 주안점 도출, 조사결과 활용도 제고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특히 조사단계별로 제시한 주안점은 기존 연구를 토대로 구축된 조사방식에 실제 대상지 조사를 통해 얻은 경험을 반영한 것으로 실제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경관현황조사 시 유용한 내용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기초자치단체의 경관...
TAG 경관자원, 경관자원 조사, 경관계획, 경관자원 조사 체계, 당진시, Landscape Resource, Landscape Survey, Landscape Planning Process, Landscape Resource Survey System, Dangjin City
이용성을 고려한 3차원 시각노출도 지표의 개발
김흥섭 ( Kim Heoung-seop ) , 김충식 ( Kim Choong-sik ) , 이재용 ( Lee Jae-yong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20] 제12권 제1호, 71~83페이지(총13페이지)
인간의 시지각 특성을 정량화한 분석모델이 개발된다면 도시경관에 대한 객관적 설명력과 예측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시지각 지표들이 도시경관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려면 인지도와의 상관성을 명확하게 정의하거나 관계성을 밝히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형의 기복과 건물의 형상을 3차원 디지털 모델로 제작하여 가시성을 분석하는데 사용하는 시각노출도 지표를 산출하고 주요 이동경로에 대한 이용률, 건물의 인지도 등을 조사하여 상호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인간의 시지각과 이용률을 고려한 시각노출도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3차원 시각노출도는 거리와 각도가 가중된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인간의 시지각속성을 고려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각노출도의 6개 지표에 대해 건물의 인지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건물에 대한 ...
TAG 3차원 수치지형모델, 도시경관, 인지도, 조망점, 시지각, 3D Digital Terrain Modeling, Urban Landscape, Cognition, Viewpoint, Visual Perception
해변관광지의 명소화를 위한 카페거리 경관조성 방향 연구
박수옥 ( Park Soo-ok ) , 이웅규 ( Lee Woong-kyu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9] 제11권 제2호, 1~20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해변관광지의 명소화를 위한 카페거리 경관조성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해변관광지 명소화 관련 선행연구와 카페거리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경관조성의 시사점을 문헌고찰하여 체계적인 경관조성 방향을 위한 평가지표까지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관련 선행연구와 단행본, 정기간행물, 그리고 신문기사 등의 문헌고찰하는 질적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친해양 공간 환경계획으로서의 해변관광지 카페거리 경관조성, 해변관광지 경관기능 개선측면에서의 과감한 구조개선, 해변관광지 경관 조성 절차와 방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제시, 해변가 이미지별 경관색채 조사·분석 후 색채계획조성, 해변관광지 카페거리의 경관 조성시 고려해야 할 평가지표, 해변관광지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카페거리의 경관조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향...
TAG 해변관광지, 경관조성, 명소화, 카페거리, 평가지표, Beach Tourism Destination, Landscape Composition, Excellence, Cafe Street, Evaluation Index
이용집단에 따른 공원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원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 - 2018년 한강공원 이용시민 만족도조사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
김순기 ( Kim Soonki ) , 이재호 ( Lee Jae Ho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9] 제11권 제2호, 21~33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한강공원 이용시민 만족도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이용집단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설계와 관리에서 어떤 요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원 이용자를 동일 그룹으로 인식하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이 연구에서는 집단 세분화(2단계 군집분석)를 통하여 주요 공원 이용자를 친구단위 이용 집단, 가족단위 이용 집단, 개인단위 이용 집단 등 3집단으로 분류하였고, 각 집단별 한강공원을 이용함에 있어서 개별적 공원요소에서의 만족도 및 인식의 차이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서, 각 집단별 인식 차이를 기반으로 추후 한강공원 및 다른 도시공원의 설계 및 관리에서 활용 가능한 요소를 추출, 제안하였다. 집단별 만족도 요소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공원 요소 항목(접근성, 이용편리성, 시설관리상태, 안전성,...
TAG 공원이용만족도, 공원구성요소, 접근성, 이용편리성, 시설관리, 안전성, 조경 및 경관, Park User Satisfaction, Park Component, Accessibility, Convenience in Use, Facility Maintenance, Safety, Landscape and Scenery
금강산전기철도에 의한 철원지역 근대 경관과 흔적
서영애 ( Seo Young-ai ) , 박한솔 ( Park Hansol )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지 [2019] 제11권 제2호, 34~49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철원역과 금강산전기철도가 가진 과거의 가치, 의미, 현재 남아 있는 흔적을 탐색하여 미래의 가능성을 진단했다. 2장에서는 문헌과 일제강점기 기록을 통해 철원역과 금강산전기철도의 물리적인 변화를 파악하고, 신문기사와 문학작품을 통해 근대경관체험의 의미를 고찰했다. 3장에서는 남아 있는 교량, 폐허, 농로, 도로, 지형 등을 통해 남북분단 이후의 경관 변화를 탐색했다.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으로는 첫째, 철원역과 금강산전기철도의 흔적은 선적인 경관자원으로 평가하고 관리해야 한다. 둘째, 철원역과 금강산전기철도는 한반도의 특수상황인 분단의 결과물로서 무형적인 문화유산으로 인식하고 다루어야 한다. 검증되지 않은 복원을 지양하고 유산적 가치를 미래세대에 전달해야 한다. 셋째, 통일을 여는 매개체로써 금강산전기철도 복원사업의 가치를 재평가해야 한다. 남과 ...
TAG 철원, 기억, 폐허, 경관자원, Cheorwon, Memory, Ruins, Landscape Resour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