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AND 간행물명 : 퇴계학30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의 삶과 정신세계
이해영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 [2011] 제20권 155~183페이지(총29페이지)
학사 김응조는 심각한 내우외환의 혼란기에 관직생활과 은거를 번갈아 가며 사대부 지식인으로서 고뇌의 삶을 살았다. 그는 가학으로 이어 온 사림파 의식과 실천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류성룡, 정경세, 장현광 등 퇴계학파의 뛰어난 학자들에게 가르침을 받아 그의 학문과 정신세계를 이루었다. 그는 사림파 의식과 실천정신으로 관직생활에서는 학문의 진흥과 풍속의 교화, 백성의 삶을 위해 온 힘을 다하였고, 은거할 때에는 자신의 수양과 문교의 진작을 위해 애를 썼다. 김응조는 성리학의 이론 문제에 관심을 갖기 보다는 성리학의 수양론에 근거한 삶을 실천적으로 살았다. 또한 주희, 이황, 류성룡, 정구, 장현광의 글에서 관혼상제에 대한 예설을 뽑아 『사례문답』을 지어 성리학의 정신을 일상 생활에 정착시키고자 하였다.
TAG 사림파 의식, 실천정신, 애민정신, 수양의 삶, 士林派意識, 實干精神, 愛民精神, 生活修養
論文 : 齊魯文化的和諧思想
손취우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 [2011] 제20권 185~209페이지(총25페이지)
학사 김응조는 심각한 내우외환의 혼란기에 관직생활과 은거를 번갈아 가며 사대부 지식인으로서 고뇌의 삶을 살았다. 그는 가학으로 이어 온 사림파 의식과 실천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류성룡, 정경세, 장현광 등 퇴계학파의 뛰어난 학자들에게 가르침을 받아 그의 학문과 정신세계를 이루었다. 그는 사림파 의식과 실천정신으로 관직생활에서는 학문의 진흥과 풍속의 교화, 백성의 삶을 위해 온 힘을 다하였고, 은거할 때에는 자신의 수양과 문교의 진작을 위해 애를 썼다. 김응조는 성리학의 이론 문제에 관심을 갖기 보다는 성리학의 수양론에 근거한 삶을 실천적으로 살았다. 또한 주희, 이황, 류성룡, 정구, 장현광의 글에서 관혼상제에 대한 예설을 뽑아 『사례문답』을 지어 성리학의 정신을 일상 생활에 정착시키고자 하였다.
제노문화의 화해사상
손취우 , 김은경(역)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 [2011] 제20권 211~260페이지(총50페이지)
중국전통문화의 和諧思想은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대대로 이어져 내려왔으며, 중국전통문화의 기본가치와 인문정신을 구현하였다. 중국전통문화의 근간 중의 하나인 齊魯文化에는 풍부한 和諧思想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상은 齊魯 선현들의 자연과 사회 그리고 인간에 대한 깊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和諧"는 중국고대에서 "和"의 범주에 나타난 것이다. 和諧思想의 생성과 和同之辨은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일찍이 춘추시대의 周나라 태사 史伯이 "和諧가 충만해서 만물이 생겨나며, 같으면 지속될 수 없다."라고 말하였고 그는 "和"라는 것은 "以他平他 서로 다른 사물이 만나 평형을 이루는 것"이라고 여겼는데, 즉 각기 다른 사물이 서로 섞여 형성된 평형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상태는 계속해서 새로운 사물을 생성해 낼 수 있으며, 세상에 생기와 활력이 충만하게 한다. 그러나 또한 "以同裨同"...
論文 : 從孔、孟到荀子: 法律的道德合法性及其證定 -從德與法的關係看先秦儒家法律觀念之演變-
노덕빈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 [2011] 제20권 261~273페이지(총13페이지)
중국전통문화의 和諧思想은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대대로 이어져 내려왔으며, 중국전통문화의 기본가치와 인문정신을 구현하였다. 중국전통문화의 근간 중의 하나인 齊魯文化에는 풍부한 和諧思想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상은 齊魯 선현들의 자연과 사회 그리고 인간에 대한 깊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和諧"는 중국고대에서 "和"의 범주에 나타난 것이다. 和諧思想의 생성과 和同之辨은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일찍이 춘추시대의 周나라 태사 史伯이 "和諧가 충만해서 만물이 생겨나며, 같으면 지속될 수 없다."라고 말하였고 그는 "和"라는 것은 "以他平他 서로 다른 사물이 만나 평형을 이루는 것"이라고 여겼는데, 즉 각기 다른 사물이 서로 섞여 형성된 평형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상태는 계속해서 새로운 사물을 생성해 낼 수 있으며, 세상에 생기와 활력이 충만하게 한다. 그러나 또한 "以同裨同"...
공맹(孔孟)에서 순자(荀子)까지: 법률의 도덕 합법성과 그 증정(證正) -덕(德)과 법(法)의 관계로 보는 선진유가(先秦儒家) 법률관념의 변화-
노덕빈 , 김은경(역)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 [2011] 제20권 275~294페이지(총20페이지)
질서는 社會和諧와 인류생존의 근본이며, 질서의 有無와 是非는 단지 법률의 재정과 정밀함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이 법률을 대하는 태도와 의식에 달려있다. 중국사회에서, 법률에 관한 사람들의 의식과 태도의 많은 부분이, 儒家적 전통, 즉 구체적으로 孔孟의 전통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옛날 사람들이 "重德輕法"하고 "重情輕理"하였듯이, 현대 사람들 또한 이와 같다. 그러나 사실상, 儒家 내부적으로 법률의 관념과 태도에 대해 결코 변함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선진시대에 孔孟에서 荀子까지 儒家의 법률관념은 한차례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점진적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揚孟抑荀"의 원인으로 인해, 그 변화와 의의가 국민의 문화 및 심리적 측면에서 인정받고 실현되지 못하고, 등한시 되고 소멸되는 악습이 계속되어 내려오는 것이 ...
충재(沖齋) 권(權)벌의 시대(時代)와 생애(生涯)
이병휴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 [2010] 제19권 1~14페이지(총14페이지)
질서는 社會和諧와 인류생존의 근본이며, 질서의 有無와 是非는 단지 법률의 재정과 정밀함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이 법률을 대하는 태도와 의식에 달려있다. 중국사회에서, 법률에 관한 사람들의 의식과 태도의 많은 부분이, 儒家적 전통, 즉 구체적으로 孔孟의 전통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옛날 사람들이 "重德輕法"하고 "重情輕理"하였듯이, 현대 사람들 또한 이와 같다. 그러나 사실상, 儒家 내부적으로 법률의 관념과 태도에 대해 결코 변함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선진시대에 孔孟에서 荀子까지 儒家의 법률관념은 한차례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점진적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揚孟抑荀"의 원인으로 인해, 그 변화와 의의가 국민의 문화 및 심리적 측면에서 인정받고 실현되지 못하고, 등한시 되고 소멸되는 악습이 계속되어 내려오는 것이 ...
충재(沖齋) 권(權)벌의 삶과 사화(士禍)
김돈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 [2010] 제19권 15~54페이지(총40페이지)
질서는 社會和諧와 인류생존의 근본이며, 질서의 有無와 是非는 단지 법률의 재정과 정밀함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이 법률을 대하는 태도와 의식에 달려있다. 중국사회에서, 법률에 관한 사람들의 의식과 태도의 많은 부분이, 儒家적 전통, 즉 구체적으로 孔孟의 전통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옛날 사람들이 "重德輕法"하고 "重情輕理"하였듯이, 현대 사람들 또한 이와 같다. 그러나 사실상, 儒家 내부적으로 법률의 관념과 태도에 대해 결코 변함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선진시대에 孔孟에서 荀子까지 儒家의 법률관념은 한차례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점진적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揚孟抑荀"의 원인으로 인해, 그 변화와 의의가 국민의 문화 및 심리적 측면에서 인정받고 실현되지 못하고, 등한시 되고 소멸되는 악습이 계속되어 내려오는 것이 ...
충재 권벌의 유학정신
이해영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 [2010] 제19권 55~81페이지(총27페이지)
질서는 社會和諧와 인류생존의 근본이며, 질서의 有無와 是非는 단지 법률의 재정과 정밀함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이 법률을 대하는 태도와 의식에 달려있다. 중국사회에서, 법률에 관한 사람들의 의식과 태도의 많은 부분이, 儒家적 전통, 즉 구체적으로 孔孟의 전통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옛날 사람들이 "重德輕法"하고 "重情輕理"하였듯이, 현대 사람들 또한 이와 같다. 그러나 사실상, 儒家 내부적으로 법률의 관념과 태도에 대해 결코 변함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선진시대에 孔孟에서 荀子까지 儒家의 법률관념은 한차례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점진적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揚孟抑荀"의 원인으로 인해, 그 변화와 의의가 국민의 문화 및 심리적 측면에서 인정받고 실현되지 못하고, 등한시 되고 소멸되는 악습이 계속되어 내려오는 것이 ...
충재(沖齋) 선생(先生) 시(詩)의 작시(作詩) 배경고(背景考)
김언종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 [2010] 제19권 83~112페이지(총30페이지)
질서는 社會和諧와 인류생존의 근본이며, 질서의 有無와 是非는 단지 법률의 재정과 정밀함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이 법률을 대하는 태도와 의식에 달려있다. 중국사회에서, 법률에 관한 사람들의 의식과 태도의 많은 부분이, 儒家적 전통, 즉 구체적으로 孔孟의 전통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옛날 사람들이 "重德輕法"하고 "重情輕理"하였듯이, 현대 사람들 또한 이와 같다. 그러나 사실상, 儒家 내부적으로 법률의 관념과 태도에 대해 결코 변함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선진시대에 孔孟에서 荀子까지 儒家의 법률관념은 한차례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점진적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揚孟抑荀"의 원인으로 인해, 그 변화와 의의가 국민의 문화 및 심리적 측면에서 인정받고 실현되지 못하고, 등한시 되고 소멸되는 악습이 계속되어 내려오는 것이 ...
순흥지역(順興地域) 팔경시(八景詩)의 양상(樣相)
임노직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 [2010] 제19권 113~157페이지(총45페이지)
질서는 社會和諧와 인류생존의 근본이며, 질서의 有無와 是非는 단지 법률의 재정과 정밀함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이 법률을 대하는 태도와 의식에 달려있다. 중국사회에서, 법률에 관한 사람들의 의식과 태도의 많은 부분이, 儒家적 전통, 즉 구체적으로 孔孟의 전통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옛날 사람들이 "重德輕法"하고 "重情輕理"하였듯이, 현대 사람들 또한 이와 같다. 그러나 사실상, 儒家 내부적으로 법률의 관념과 태도에 대해 결코 변함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선진시대에 孔孟에서 荀子까지 儒家의 법률관념은 한차례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점진적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揚孟抑荀"의 원인으로 인해, 그 변화와 의의가 국민의 문화 및 심리적 측면에서 인정받고 실현되지 못하고, 등한시 되고 소멸되는 악습이 계속되어 내려오는 것이 ...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