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고소설학회 AND 간행물명 : 고소설연구58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양문록계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삶
김은일 ( Kim Eun Il )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16] 제42권 217~239페이지(총23페이지)
본고의 목적은 양문록계 소설이 여성의 삶 전반(全般)을 바탕으로 서사를 구축하고 있음을 밝히는 것에 있다. 여성은 탄생에서 죽음까지의 과정 중에 혼인을 통해 두 가문에 소속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두 집단에 소속되는 존재인 여성은 첫 번째 소속집단인 친정 가문의 위세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친정 가문에서 내면화 한 덕목과 그 정체성으로 두 번째 소속집단에서의 삶을 영위한다. 이전까지는 `양문록`을 단순히 두 가문이 대등하게 설정되거나, 두 가문이 혼인으로 연대를 맺는 것을 표현한 작품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양문록계 소설에서 `양문`이라는 제목은 남성 가문의 남성 인물과 또 다른 남성 가문의 여성 인물이 혼인을 통해 연대를 맺는다는 의미가 아니다. 이는 `여성 인물`의 기준에서 친정 가문과 시댁 가문을 통틀어 양가(兩家) 혹은 양...
TAG 이정양가록, 양문록계 소설, 유이양문록, 곽장양문록, 가문소설, 여성소설, Yijeongyanggarok, Yangmunrok novels, YuIyangmunrok, GwakJangyangmunrok, Family novels, Female.
<광한루기(廣寒樓記)> 협비(夾批) 연구
장예준 ( Jang Yae Joon )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16] 제42권 177~216페이지(총40페이지)
<광한루기(廣寒樓記)> 협비는 평비자의 몸짓, 어투, 어법, 그리고 반응 표출 방식 등의 면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해당 부분을 깊이 있고 세밀하게 분석하기보다는 순간적으로 떠오른 인상비평적인 감상이나 생각을 직설적인 언사로 즉각 드러내되 그 근거는 제시하지 않는다. 종종 서술의 진행 상황이나 등장인물 발화의 의미를 분절해서 담아냄으로써 해당 부분의 진행 상황을 단계별로 세분하여 지적해준다. 생각하거나 음미해야 할 부분에 대해 직접 지적하되 이유는 제시하지 않아 그 지적이 암시성을 띤다. 평비자는 서술자, 등장인물에게 바싹 다가앉고 그들이 말할 때마다 그들 사이를 비집고 들어와 말하는 사람에게 들러붙어서는 얼굴에 대고 참견한다. 서술자와 등장인물의 언행들을 붙들고 늘어지면서 촐랑대고 호들갑을 떤다. <광한루기> 협비는 김성탄(金聖嘆) 평비본과는...
TAG <광한루기(廣寒樓記)>, 평점소설(評點小說), 평비자(評批者), 협비(夾批), 김성탄(金聖嘆), 유희성, 희작성(戱作性), Gwanghanru-gi, Commentary novel, Critical commentator, Insertion comment, Jin Shengtan, Pleasure, Amusement
한글 고소설자료 DB화의 현황과 과제
안영훈 ( An Young Hoon ) , 차충환 ( Cha Chung Hwan ) , 김동건 ( Kim Dong Keon )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16] 제42권 47~81페이지(총35페이지)
본고에서는 한글 고소설자료 데이터베이스(DB)화의 현황과 과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현재 고소설의 경우 본격적인 의미의 DB는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제대로 된 DB를 만들기 위해서는 비록 기초적인 단계의 시스템일지라도, 그 시스템이 어떤 구조와 체계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왕실도서관장서각디지털 아카이브`, `한국의 지식콘텐츠`, `디지털한글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등 네 기관의 고소설자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살펴보고 각각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판소리작품 DB화와 관련된 두 사례를 살펴보았다. DB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광대한 자료 파일이 필요한데, 판소리작품의 경우 비교적 많은 양의 전산 자료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그것을 이용해서 교주본, 판소리사전, 판소리DB 설계, 판소리...
TAG 고소설자료, 데이터베이스, 판소리작품, 전산자료, 한글박물관, 한국고소, 설학회, materials of classical novel, database, Pansori text, electronic documentary, National Hangeul Museum, The Society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
<한후룡전>·<유화기연>·<영이록>에 나타난 `장애인`의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구선정 ( Koo Sun Jung )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16] 제42권 241~278페이지(총38페이지)
본고에서는 장애를 지닌 주인공들이 등장하는 조선 후기 고소설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을 바라보는 당대의 시선을 확인하고, 그 소설 사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19세기를 전후로 한 영웅소설 중에서 장애인 주인공들을 내세우는 작품들이 등장하는데, 바로 <한후룡전>·<유화기연>·<영이록>이다. 이들 세 작품은 장애를 지닌 인물을 주인공으로 설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웅에 이르기까지 주인공들의 서사도 유사하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영웅의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세 작품을 비교하여 19세기 고소설사에서 장애를 지닌 주인공을 내세우고 있는 세 작품이 가지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2장에서는 주인공의 장애 양상과 고난·극복의 방식을 “분리(하강)-재회(상승)”의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주인공들은 맹인·앉은뱅이·성불구·지적장애 등의 장애를 지니고 태어난다. 그...
TAG 장애, 장애인, 비장애인, 장애인 문학, 영웅소설, 시선, 차별, 편견, <한후, 룡전>, <유화기연>, <영이록>, disabilities, disabled person, non-disabled person, disabled literature, heroic, novel, the socially vulnerable, Gaze, discrimination, prejudice, < Hanhuryongjeon >, < Yuhwagheeyeon >,
`계몽의 역설`과 `서사적 근대`의 다층성- 『제국신문』(1898.8.10.~1909.2.28) `논설ㆍ소설ㆍ잡보ㆍ광고` 란과 `(고)소설`을 경유하여
최기숙 ( Choe Key Sook )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16] 제42권 279~331페이지(총53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현전하는 『제국신문』(1898.8.10~1909.2.28)에 실린 논설, 잡보, 소설, 광고 등 전 지면을 대상으로 고전 서사의 근대적 소환 방식과 수용 양상을 해명함으로써, 근대 인쇄매체에서 `소설/서사`나 `논설`만을 배타적으로 논의한 결과로 파생된 `서사의 근대성`을 재성찰했다. 이를 통해 매체가 옹호하고 지지하는 내용만을 `근대성`으로 논의하는 (근대 지식인과 근대연구에서의) `근대 계몽`을 둘러싼 모순과 착종이 갖는 `계몽의 역설`을 `서사`의 차원에서 해명했다. 첫째, 논설란에 실린 한국사 인물담과 고전서사는 원작 고전의 완역이 아니라 근대적 이념에 맞게 분절되어, 맥락성과 전체성을 상실한 근대의 논거로서 소환되었다. 둘째, `小說/소셜`란에 실린 소설은 야담 형식의 단편서사, 고전번역물, 신소설, 근대적 단편 등 ...
TAG 제국신문, 소설, 잡보, 논설, 광고, 계몽, 근대, 계몽의 역설, 가소기담, , 생전, 근대 번역, Chekuk Sinmun, novel, general news, column, advertising section, enlightenment, modernity, paradox of enlightenment, Kasokidam (Humorous short story), Heosangjeon (A story of Mr.Heo), modern transl
김만중의 유배 생활과 우울증, 그리고 < 구운몽 > 창작
신재홍 ( Jae Hong Shin )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16] 제41권 5~37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는 구운몽 의 창작 배경과 작품 세계의 불일치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극단적인 절망의 유배 생활 속에서 작가는 여유롭고 조화로운 작품 세계를 펼쳐 보였다 이렇게 상반된 점을 설명하기 위해 김만중이 유배 생활에서 지녔던 심리 상태를 살펴 우울증증세를 찾아보았다주로 선천과 남해 유배기의 한시를 대상으로 김만중의 심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어떤 희망도 찾을 수 없어 재가 된 마음 의 절망감 형 친구 급기야 어머니까지 잃은 상실감 이런저런 걱정으로 잠못 이루는 불안감과 불면증 한낮에도 방 안에 틀어박혀 있는 유폐의식 등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심리들이 얽혀 덧없는 인생 보기도 싫고 매사에 쉬 슬퍼지는 우울증을 앓았을 것으로 추정하였다우울증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구운몽 창작으로 이어졌을 것으로 보고 그 단서로 서포연보 의 기록을 재검토하였다 그리하여 심...
TAG 김만중, < 구운몽 >, 우울증, 유배 한시, 갈등의 해결, Kim Manjung, Guunmong, depression, poems in exile, solution of conflicts
신경증에 걸린 고전소설의 인물들 < 주생전 >의 배도, < 운영전 >의 안평대군과 유영을 대상으로
황혜진 ( Hae Jin Hwang )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16] 제41권 39~78페이지(총40페이지)
단편적이고 파편화된 일상적 삶에서 잘 보이지 않았던 심리적 문제는 제한된 서사적 시공간 안에서 펼쳐지며 특정한 인간관계의 구도와 서사적 경로를 갖는 서사물에서 보다 명료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런 전제 아래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신경증적 인물에 대해 분석하였다 주요 방법론은 카렌 호나이의 신경증에 대한 이론이다 호나이는 유년기 겪었던 근본 불안이 신경증의 원인이라고 여기며 근본불안에 대한 나름의 해결책으로서 신경증적 행동을 형성하고 발달시켰다고 하였다 신경증적 행동이 문제적인 이유는 다양한 심리적 반응과 행동을 제약하면서 다른 욕구들을 억압하여 내적 갈등을 유발한다는 데 있다 이런 내적 갈등을 봉합하면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신경증적 주체는 자기 이상화를 시도하는데 이로 인해 신경증적 행동은강화되고 내적 갈등은 심화된다 그 결과 신경증적 주체는 진실한 나의 발견...
TAG 카렌 호나이, 신경증 이론, < 운영전 >, < 주생전 >, 배도, 안평대군, 유영, 신경증의 세 유형, 문학치료, Karen Horney, neurosis theory, < Unyougjeon >, < Jusangjeon >, Baedo, Anpeungdaegun, Yuyeung, three types of neurosis, literary therapy
상상적 동일시와 상징적 동일시의 차이와 그 의미 - 가족로망스로 창선감의록 읽기
서유석 ( You Seok Seo )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16] 제41권 79~111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조심스럽게 가족로망스라는 개념을 가지고 조선후기 가문소설의 대표작인 창선감의록 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조선후기가문 혹은 가족에 대한 방대한 서사는 가족로망스라는 개념이 보여주는 현실에 대한 일반화된 환상 에 적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가족 로망스의 근원에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자리 잡고 있다 라캉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주체가 탄생하는 드라마로 해석한 바 있다 본고는 라캉이 설명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극복 과정 즉 주체화 과정을 가족로망스의 개념과 함께 주요한 연구 방법으로 이용한다화춘은 상상적 동일시에 머물러 상징적 동일시에 실패한 인물로파악된다 화춘은 상징계에 진입하지 못해 자신이 욕망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상태에 빠져 있다 어머니와의 자 관계에 머물러 어머니의 욕망에 이끌리게 된다 화춘이 상징적 동일시를 이루는 것은개과천선한 이...
TAG 가족로망스, 상상적 동일시, 상징적 동일시, 욕망, 대타자, 상상계, 상징계, family romance, imaginary identification, symbolic identification, desire, Other, imaginary, symbolic
정신적 강박증과 육체의 지병 -국문장편소설을 대상으로
탁원정 ( Won Jung Tak )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16] 제41권 113~144페이지(총32페이지)
본고는 국문장편소설을 대상으로 정신적 강박증과 지병의 관계 양상을 살피고 그 특징과 의미를 진단해보고자 하였다국문장편소설 속 정신적 강박증은 이념의 강박증과 심리적 강박증으로 나타난다 이념의 강박증은 유효공선행록 의 유연 성현공숙렬기 의 임희린 등 남성인물에게서 나타난는 효제 강박증과옥원재합기연 의 이현영 성현공숙렬기 의 주숙렬 등 여성인물에게서 나타나는 효열 강박증으로 나뉘는데 이들의 강박증은 모두 토혈이라는 고질적인 증상을 동반한다 심리적 강박증은 완월회맹연 의 소교완과 쌍천기봉 연작의 소월혜에게서 나타나는 증오강박증과 완월회맹연 의 장성완에게서 나타나는 불안 강박증으로나뉘는데 이들의 강박증 또한 토혈이라는 고질적인 증상을 동반한다이러한 정신적 강박증과 지병이 지니는 특징과 의미는 다음의 세가지로 진단될 수 있다 첫째 이념과 제도에 대한 병증으로의 해석가능성이...
TAG 정신적 강박증, 이념의 강박증, 효제 강박증, 효열 강박증, 심리적 강박증, 지병, 토혈, Psychological obsession, Physical chronic illness, filial duty, fidelity, hematemesis, hatred, anxiety
서사무가에 나타난 < 왕랑반혼전 > 수용의 양상과 의미
정제호 ( Je Ho Jeong )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16] 제41권 146~176페이지(총31페이지)
왕랑반혼전 의 주요 연구 경향은 근원설화 에 대한 탐색이다 하지만 왕랑반혼전 과 분명한 유사성을 갖는 근원설화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에 연구자들마다 이견을 남긴 채 근원설화 탐색에 대한 논의는 더 이상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고에서는왕랑반혼전 에 나타난 종교적 속성을 기준으로 하여 관련성을 보이는 또 하나의 작품을 제시하였다본고에서 왕랑반혼전 과 함께 다룬 작품은 서사무가 맹감본풀이다 선행연구에서 이미 장자풀이 라는 서사무가와 왕랑반혼을 비교하여 다룬 바 있다 하지만 왕랑반혼전 과 장자풀이는 등장인물 설정 징치 이유 도액 방식 연명 방법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때문에 두 작품의 관련성을 깊게 논의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하지만 맹감본풀이 는 등장인물의 설정 징치 이유 도액 방식연명 방법 등에서 왕랑반혼전 과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 왕랑반혼전 과 맹...
TAG < 왕랑반혼전 >, 연명, < 맹감본풀이 >, < 사만이본풀이 >, < 장자풀이 >, 불교서사, 서사무가, 무속, < Wangrangbanhonjeon >, Life Prolongation, < Maenggambonpuri >, < Samanibonpuri >, < Jangjapuri >, Buddhist Narration, Shamanistic Epics, Shamanism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