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145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멸종위기어류 한둑중개 Cottus hangiongensis (Pisces: Cottidae)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 평가
고명훈 ( Myeong-hun Ko ) , 한미숙 ( Mee-sook Han ) , 권선만 ( Sun-man Kwa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3호, 155~160페이지(총6페이지)
우리나라 멸종위기어류 한둑중개 Cottus hangiongensis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한둑중개의 분포 결과를 1954~1985년, 1981~2003년, 2004~2012년, 2011~2017년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분포하천 수는 각각 30개, 24개, 10개, 19개 하천으로 나타나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조사 (2011~2017)에서 새롭게 확인된 하천은 아야진천과 척산천 2개였으며, 과거에 출현하였으나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은 하천은 15개였다. 한둑중개의 서식지는 공통적으로 하천 하류부의 물이 맑고 유속이 빠르며 하상은 돌과 큰돌이 있는 여울부였다. IUCN 적색목록 기준지침서에 따라 멸종...
TAG Cottus hangiongensis, distribution, endangered species,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Cypriniformes, Cyprinidae) 후각기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성 연구
김현태 ( By Hyun Tae Kim ) , 이용주 ( Yong Joo Lee ) , 김형수 ( Hyeong Su Kim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3호, 161~166페이지(총6페이지)
한국 고유종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의 후각기관과 서식처 및 생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 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외부적으로 전비공, 후비공 그리고 비경계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22~24개의 후판들과 비선으로 구성되었다. 후판은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감각상피는 후감각신경, 지지세포, 기저세포들로 구성되었으며, 비감각상피는 층상상피세포, 비감각섬모세포, 산성과 중성을 갖는 황점액소의 점액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후각기관들의 특징들은 돌마자의 높은 후각능력과 의존성 그리고 서식처 환경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분류학적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AG Microphysogobio yaluensis, two nostrils, single nasal flap, lamella, sulfomucin
우리나라 서해 연안에서 잡힌 귀상어 임신개체
최윤 ( Youn Choi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3호, 167~169페이지(총3페이지)
2014년 6월 13일에 충청남도 보령시 연안의 안강망에 의해 귀상어 1개체가 포획되었으며, 이 귀상어는 모두 23마리의 새끼를 임신하고 있었다. 성비는 수컷 12마리, 암컷 11마리였고, 새끼 상어의 전장범위는 49.0~54.7cm였다. 이러한 전장범위는 귀상어의 태어날 때 크기이며, 우리나라 서해 연근해가 귀상어의 출산장인 것으로 판단된다.
TAG 안강망, 귀상어, 출산장, Fetuses, birth ground, Sphyrna zygaena
한국산 전갱이과 어류 1 미기록종, Caranx melampygus
김준상 ( Joon Sang Kim ) , 김맹진 ( Maeng Jin Kim ) ,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3호, 170~174페이지(총5페이지)
농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Caranx melampygus 1개체 (표준체장 113 mm)가 2010년 8월 13일 제주도 서귀포시 대포동의 정치망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형태적으로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줄전갱이 (C. sexfasiatus)와 유사하지만 주둥이 끝이 눈의 말단을 이르지 않는 점과 주새개골의 상단에 검은 반점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 미기록종의 종명은 줄전갱이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입을 가지고 있어서 “작은입줄전갱이”로 제안한다.
TAG 전갱이과, Caranx melampygus, 미기록종, 작은입줄전갱이, 제주도, Carangidae, first record, Jejudo Island, Korea
한국산 둥글넙치과 1미기록종, Kamoharaia megastoma
장서하 ( Seo-ha Jang ) , 김진구 ( Jin-koo Kim ) , 허유심 ( Yusim Heo ) , 유효재 ( Hyo Jae Yu ) , 박정호 ( Jeong-ho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3호, 175~180페이지(총6페이지)
가자미목 둥글넙치과에 속하는 1개체 (표준체장 113.9 mm)가 제주도 남방 해역에서 저층트롤로 채집되었다. 매우 큰 입을 가지는 본 종은 주상악골의 후단이 눈보다 후방에 위치, 아래턱 전단에는 돌출된 3쌍의 날카로운 송곳니, 구강으로 돌출된 서골 말단부, 검은 가슴지느러미 그리고 무안측에 측선이 없는 특징들로 Kamoharaia megastoma와 잘 일치한다. 따라서 이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국명은 “큰입둥글넙치”로 제안한다.
TAG 둥글넙치과, 큰입둥글넙치속, 큰입둥글넙치, 한국 미기록종, 제주도, Bothidae, Kamoharaia, Kamoharaia megastoma, new Korean record, Jejudo Island
멸종위기어류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 (Pisces: Cyprinidae)의 핵형분석
박종성 ( Jong Sung Park ) , 김형수 ( Hyeong Su Kim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2호, 71~74페이지(총4페이지)
본 연구는 멸종위기 어류 모래주사 Microphsygobio koreensis의 핵형분석을 통해 계통유전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핵형분석을 위해 섬진강과 낙동강에서 채집된 4개체의 신장을 flame-drying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핵형분석 결과 염색체 수는 2n=50으로 섬진강과 낙동강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모래주사 핵형은 2n=26m+24sm로 13쌍의 metacentric과 12쌍의 submetacentric 염색체로 구성되었으며, FN=100이었다. 염색체의 길이와 양완비는 각각 1.44~2.68 μm, 1.17~2.27이었다. 모래주사의 핵형에 대한 보고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수행되었다.
TAG Microphysogobio koreensis, chromosome, karyotype, endangered freshwater fish
낙동납자루 (Tanakia latimarginata)의 초기생활사
박재민 ( Jae-min Park ) , 전형배 ( Hyung-bae Jeon ) , 조혜인 ( Hye-in Jo ) , 조성장 ( Seong-jang Cho ) , 석호영 ( Ho-young Suk ) , 한경호 ( Kyeong-ho Ha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2호, 75~83페이지(총9페이지)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종인 낙동납자루의 초기생활사를 연구하여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낙동납자루는 수컷의 뒷지느러미 가장자리 검은색 띠가 짙고, 암컷의 산란관이 오렌지색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의 형태는 방추형이었고, 난경은 (장경×단경) 4.41×1.44 mm였다.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온 21.0°C일 때 126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난황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전장은 5.91±0.18 mm (n=5)였다. 부화 후 18일째에는 꼬리지느러미가 발달하였고, 평균 전장은 8.02±0.08 mm (n=5)였다. 부화 후 41일째 자어는 난황을 대부분 흡수하였고, 평균 전장은 8.70±0.23 mm (n=5)였다. 부화 후 80일째 자어는 지느러미 기조 수가 정수에 달하였고, 평균 전장 12.6±0.2...
TAG Egg development, early life history, juvenile, larvae, Tanakia latimarginata
소양호에 서식하는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의 성숙과 산란 특성
신아리 ( Ari Shin ) , 박희원 ( Heewon Park ) , 이완옥 ( Wan-ok Lee ) , 송미영 ( Mi-young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2호, 84~91페이지(총8페이지)
본 논문은 소양호에 서식하는 내수면어업의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의 성숙과 산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 사용된 쏘가리는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정치망과 자망을 통해 채집하였고, 암컷이 204개체로 전장범위는 113~365 mm이었고, 수컷은 197개체로 전장 범위가 140~342mm이었다. 산란기가 시작되는 5월의 수온은 15°C를 나타냈으며, 점진적으로 높아져 7월에 26°C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생식소 숙도지수 (GSI)는 5월에서 7월까지 각각 2.3%, 4.6%, 3.1%로 나타났고, 수컷의 경우 8.0%, 6.6%, 4.5%로 나타났다. 난소 조직은 5월에 많은 수의 샘플이 중숙으로 관찰되었으며 6월에는 대다수가 성숙, 7월에는 완숙 및 방란으로...
TAG Siniperca scherzeri, Soyangho Lake, Gonadosomatic Index (GSI), group maturity
멸종위기어류 미호종개 Cobitis choii (Pisces: Cobitidae)의 섭식생태
고명훈 ( Myeong-hun Ko ) , 방인철 ( In-chul Ba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2호, 92~99페이지(총8페이지)
멸종위기종 미호종개 C. choii의 생태학적 특징을 밝히고 복원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섭식생태를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인양리의 금강지류 지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미호종개는 3월부터 10월까지 활동기로, 11월부터 2월까지는 월동기로 나누어졌으며, 활동기에는 주행성 어류로 기질 (모래) 밖으로 나와 활동하였다. 소화관내용물을 상대중요성 지수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로 분석한 결과, 파리목 (Diptera) 69.9%, 요각목 (Copepoda) 23.2%, 꽃병벌레과 (Arcellidae) 2.3%, 새각목 (Branchiopoda) 2.0%, 유영목(Ploima) 2.0%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크기가 작은 당년생 치어 (0년생)는 유영목과 새각목을 주로 섭식하였으나, 성어 (2~3년생)는...
TAG Cobitis choii, endangered fish, feeding ecology, activity period
멸종위기어류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 (Pisces: Cyprinidae)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 평가
고명훈 ( Myeong-hun Ko ) , 한미숙 ( Mee-sook Han ) , 권선만 ( Sun-man Kwa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2호, 100~106페이지(총7페이지)
우리나라 멸종위기어류 한강납줄개 R. pseudosericeus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기 위해 과거 문헌 기록을 정리하고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과거에 출현한 지점 수는 26개였으며, 분포조사는 214지점을 조사하여 44개 지점 (한강 35개, 삽교천 4개, 대천천 5개 지점)에서 서식을 확인하였다. 한강의 일리천과 삼산천, 반계천, 한포천은 처음으로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섬강의 횡성댐 일대와 흑천 하류, 무한천, 대천천 등은 댐건설과 하천공사, 수질오염, 외래종 배스의 확산 등으로 심각한 서식지 및 개체수가 심각하게 감소하고 있었다. 한강납줄개의 주요 서식지는 물이 맑은 하천 중·상류 정수역의 모래와 자갈의 비율이 높고 수생식물이 많은 곳이었다. IUCN 적색목록 기준지침서에 따라 멸...
TAG Rhodeus pseudosericeus, Acheilognathinae, distribution, endangered species,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