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183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초등과학 탐구수업에서 문제생성 학습전략의 효과
김혜란 ( Hye Ran Kim ) , 최선영 ( Sun Young Choi ) , 이길재 ( Kil Jae Lee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2014] 제33권 제4호, 700~709페이지(총10페이지)
TAG question-generating strategy, elementary science class, achievement, scientific attitude, science inquiry instruction
신문기사를 활용한 과학글쓰기 수업 전략의 개발과 적용
이치윤 ( Chi Yun Lee ) , 박재근 ( Jae Keun Park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2014] 제33권 제4호, 710~723페이지(총14페이지)
TAG science writing, instructional strategy, newspaper articles
초등학생의 VARK 학습양식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
하지훈 ( Ji Hoon Ha ) , 신영준 ( Young Joon Shi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2014] 제33권 제4호, 724~735페이지(총12페이지)
TAG learning preferences, learning styles, VARK,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elementary student
한국과 미국 초등 예비교사들의 연소에 대한 개념 비교
신애경 ( Ae Kyung Shi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2014] 제33권 제4호, 736~750페이지(총15페이지)
TAG concepts on combustion, science class,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Korean and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misconception on combustion
초등학교 6학년들의 예상 능력에 따른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 분석 - 안구운동을 중심으로 -
김예람 ( Ye Ram Kim ) , 신동훈 ( Dong Hoon Shi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2014] 제33권 제4호, 751~761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
TAG 예상 능력, 탐구 능력, 안구 운동, 안구 추적, 인지 전략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이 창의적 사고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배진호 ( Jin Ho Bae ) , 소금현 ( Kum Hyun So ) , 윤봉희 ( Bong Hee Yun ) , 김진수 ( Jin Su Kim ) , 한국인 ( Guk In Han ) , 김성길 ( Sung Gil Kim ) , 이경래 ( Kyung Rae Lee ) , 이종화 ( Jong Hwa Lee ) , 오동주 ( Dong Ju Oh ) , 김해진 ( Hae Jin Kim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2014] 제33권 제4호, 762~772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
TAG science lesson applying STEAM education, creative thought activities, emotional intelligence, The world of animals
뇌 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인지적 영역 분석
백자연 ( Ja Yeon Baek ) , 임채성 ( Chae Seong Lim ) , 김재영 ( Jae Young Kim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2014] 제33권 제4호, 773~783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
TAG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free inquiry, cognitive domain, inquiry methods, science attitude, achievement
과학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의 분석
차가현 ( Ga Hyun Cha ) , 장신호 ( Shin Ho Ja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2014] 제33권 제4호, 784~794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
TAG teacher`s learning community, social interaction process, science teacher education
과학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임희준 ( Hee Jun Lim ) , 오필석 ( Phil Seok Oh ) , 권경필 ( Gyeong Pil Kwon ) , 신영준 ( Young Joon Shin ) , 안성훈 ( Seong Hun Ahn ) , 김종민 ( Chong Min Kim ) , 박순흥 ( Sun Heung Park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2014] 제33권 제4호, 795~805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
TAG digital textbooks, elementary science, students` perception
과학 관련 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호 및 참여와 관련된 요인 탐색
양찬호 ( Chan Ho Yang ) , 조준모 ( Jun Mo Jo ) , 김찬종 ( Chan Jong Kim ) , 최승언 ( Seung Urn Choe ) , 김희백 ( Heui Baik Kim ) , 유준희 ( June Hee Yoo ) , 이경우 ( Kyung Woo Yi ) , 계영희 ( Young Hee Kye ) , 노태희 ( Tae Hee Noh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2014] 제33권 제3호, 427~438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
TAG science-related activity, preference, participation, motivation, aspiration, family science orient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