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작 홍사용 분석

 1  노작 홍사용 분석-1
 2  노작 홍사용 분석-2
 3  노작 홍사용 분석-3
 4  노작 홍사용 분석-4
 5  노작 홍사용 분석-5
 6  노작 홍사용 분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노작 홍사용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노작(露雀) 홍사용의 아호로는 노작(露雀)이외에도 소아(笑啞), 백우(白牛) 등이 있으나 작품 활동에는 주로 본명과 노작을 사용하였다.
홍사용은 1900년 경기도 용인에서 아버지 홍철유와 한산 이씨 한식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경기 용인 및 화성일대에 많은 농토를 가진 지주였으므로 노작은 어린 시절을 남부럽지 않게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다.
휘문의숙(徽文義塾)을 졸업한 1919년 20세에 3·1운동에 참여했다가 일경에 체포되기도 하였으며 1920년 박종화(朴鍾和)·정백 등과 문예지 《문우(文友)》를 창간하였다.
그의 본격적인 문단 생활은 1922년 나도향(羅稻香)·현진건(玄鎭健)·이상화(李相和) 등과 함께 동인지《백조(白潮)》 1922년 1월에 창간된다. 편집은 홍사용, 발행인은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외국인을 택했다. 홍사용, 박종화, 나도향, 박영희 등이 동인으로 참여했으며 김덕기와 홍사중이 자금을 출자하여 문화사에서 발해하였다. 원래 격월간으로 계획된 것이나 발간이 순조롭지 못하여 1922년 5월에 2호, 1923년 9월에 3호를 내고 종간되었다. 발행동기는 휘문의숙 출신의 박종화, 홍사용과 배재학당 출신의 나도향, 박영희 등의 문학 청년들이 교우함에서 비롯되었다. 3.1운동 실패 후 절망적인 상황에서 뜻이 맞는 젊은이들이 모여 문예지와 사상을 펼 수 있는 잡지를 만들고자 하였던 것이었다. 특히 감상적 낭만성에 치우친 경향을 보였으며 대체로 시 분야의 활동이 활발하였다. (한국 근대 시문학사 연구. 김혜니. 93-95참조)
를 창간하고 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때 그는 그의 재종형 홍사중을 설득하여 문화사(文化社)를 설립하고《백조》창간호를 발간하였고 2호와 3호는 자신이 전답을 팔아 그 경비를 충당했다. 동인지《백조》에는《백조는 흐르는데 별 하나 나 하나》 《나는 왕이로소이다》 등 감상적이고 향토적인 서정시를 발표하였다.
1923년에는 토월회(土月會) 1923년 2월 박승희(朴勝喜)가 중심이 되어 조직한 전문극단이다. 창립회원은 김기진(金基鎭)·이서구(李瑞求)·김을한(金乙漢)·김복진(金復鎭)·박승목(朴勝木)·이제창(李濟昶) 등이며, 뒤에 연학년(延鶴年)·이수창(李壽昌)·이승만(李承萬)·조택원(趙澤元)·홍사용(洪思容) 등이 참가했다. 토월회(土月會)라는 명칭은 이상(理想)은 하늘[月]에 있고, 발은 땅[土]을 디딘다는 뜻으로 지은 것이다. 처음에는 순수 문학동호회(文學同好會) 성격을 띠고 발족하였으나 제1회 공연을 1923년 7월 4일 조선극장에서 가짐으로써 연극단체로 전환하였다. 특히 문학적 가치가 있는 희곡 작품을 사실주의 수법으로 공연해 근대극을 정착시키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지만, 지나치게 서양 것에 치중했다는 평가도 아울러 받는다.
에 적극 가담하여 문예부장직을 맡고 재정적 지원을 하였으며 연극 운동을 펼쳤다. 1927년에는 박진(朴珍)·이소연(李素然)과 함께 산유화회(山有花會)를 조직하였다. 1941년 일제(日帝)의 강요로 희곡 《김옥균전(金玉均傳)》을 쓰다가 절필하여 주거제한을 당하기도 하였다.
시세계는 비애와 허망감을 형상화한 초기의 사설적(辭說的)인 장시와 민요의 율조를 바탕으로 민족관념을 노래한 민요시로 구분된다.
항일 시인으로 분류되는 이육사, 윤동주, 이상화 등을 제외하면 일제 강점기 후반에 대부분이라 할 만큼 많은 시인들이 친일 작품을 남기게 되는데 홍사용은 이 시기에도 친일시를 창작하거나 친일 활동을 하지 않은 시인 중 한 명이다.
그는《백조》의 간행과 극단운영에 가산을 탕진한 후에 가난 속에서 살다가 1947년 폐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홍사용의 주요 작품으로는 시 , , , 등과 소설 , , 그리고 희곡 등이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나는 왕이로소이다. 범우. 김은철. 2005.
한국 근대시 연구. 국학자료원. 김은철 2000.
한국 현대시 대표작품 연구. 국학자료원. 신용협. 1998.
현대시 연구Ⅰ. 새문사. 김학동. 1998.
현대 시인 연구Ⅱ. 새문사. 김학동. 1995.
한국 근대 시문학사 연구. 국학자료원. 김혜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