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경영 형부 농과상 업적농

 1  조선 후기의 경영 형부 농과상 업적농-1
 2  조선 후기의 경영 형부 농과상 업적농-2
 3  조선 후기의 경영 형부 농과상 업적농-3
 4  조선 후기의 경영 형부 농과상 업적농-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 후기의 경영 형부 농과상 업적농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선후기에는 농업경영상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그 변화중 하나는, 봉건지주층의 농업경영상에서의 변화인데, 그것은 지주층의 농지경영이 지대의 수취 및 그 전호와의 관계에 있어서 변질되고 지주권이 약화되는 가운데 소작전호의 권리가 성장되어 가는 것을 의미하고, 또다른 하나는, 일반농민층의 농업경영상에서의 변화인데, 소생산자적 농민층이 분화되는 가운데서 기본적으로 임노동적인 기반 위에 서서 농민들이 시장성을 고려한 소위 상업적인 농업을 영위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후자적인 농업경영상의 변화는 특히 이 시기에 대두하게 되는 경영형 부농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나아가서 그것은 이들 경영형 부농층의 농업경영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것이기도 하였다.
경영형 부농층의 농업경영, 다시 말하면 임노동에 의한 상업적 농업은, 이 시기 농촌사회의 실태를 파악하고, 한국중세사회 해체기로서의 사회변동의 사회경제적 기반을 이해하는데 하나의 관건이 된다는 점에서 경영형 부농층에 대한 연구는 이 시기의 농업사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경영형 부농은 경영적인 면에서 볼때 하나의 커다란 사회계층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그 사회적 경제적 기능은 실질적으로 농촌사회를 움직여가는 것이었으므로, 이 계층의 농업경영형태와 아울러 그 사회적 지위를 파악한다는 것은, 이 시기의 사회변동의 역사적 성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1. 경영형 부농의 개념과 성립배경
조선후기의 부농층을 지주형 부농과 경영형 부농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경영형 부농은 지주 및 지주형 부농과 대비해서 밝혀 볼 필요가 있다. 이 부농층은 토지와 관련된 부농층이기는 하지만, 봉건적인 지주층과는 대조적인 입장에 있기 때문이다. 지주형 부농이 농지를 대여하여 지대를 수취함으로써 부를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면, 경영형 부농은 농업의 합리적인 경영을 통해서 부를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던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를테면 봉건지주층의 소작지를 借耕(차경)하되 그 경영을 확대함으로써 부농이 되기도 하고, 농지경영의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농업생산력을 급속도로 향상시켜 부농이 되기도 하며, 또 이러한 농업경영과 병행해서는 시장을 대상으로 한 농업 따라서 시장성이 좋은 곡물이나 상품작물을 재배함으로써 부를 축적하기도 하며, 그뿐만 아니라 이러한 농업경영에 있어서의 노동력은 되도록 저임금의 임금노동을 이용하여 농업을 경영하는 것이었다.
경영형 부농은, 농지의 소유자일 수도 있고, 차경지의 보유자일수도 있다. 그들이 상업적인 농업을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되지만, 농지소유자로서의 경영형 부농과 차경지보유자로서의 경영형 부농간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전자는 봉건지주와의 사이에 직접적으로 이해관계를 달리하거나 그로 인한 대항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후자는 지주층의 농지를 차경하는 가운데 그 농지의 합리적인 경영을 통해서 부를 축적하는 것이었으나, 그러한 부의 축적은 지주층의 지대수취를 통한 수탈의 대상이 되는 것임에서, 이들은 늘 지주층과 이해관계를 달리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시기의 농촌사회에서 봉건지주층에 대항하여 그 세력을 점차 약화시키고 또 소작전호의 권리를 점차 확대시킴으로써, 봉건제사회체제가 해체되는데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것은 차경지경영자로서의 경영형 부농이었다고 하겠다.
그러면, 이와 같은 경영형 부농층은 어떠한 배경 위에서 성립되었을까. 이 시기 농촌사회에서 광범하게 전개되고 있었던 소생산자층의 계층분화, 봉건지배층의 토지겸병, 인구증가, 신분제의 동요 등을 그 배경으로 들수 있다. 17,8세기의 우리 나라 농촌은 농민층의 분화가 격심하게 전개되고 있어서 토지에서 배제되는 농민들이 많았다. 이들은, 소작지차경, 또는 임노동을 통해서 생계를 이어가게 되었다. 그리고 양반관료층이나 토호들과 같은 봉건지배층의 토지겸병으로 인해 토지에서 배제되는 농민들의 수가 증대되었다. 또한 인구의 증가는 농민층의 분화를 더욱 촉진시켰다. 인구증가는 농촌사회의 문제로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도시의 문제로 확대되었다. 토지를 잃은 농민들은 결국 도시로 모이게 되고, 이전까지 행해졌던 자급자족의 경제질서가 무너지는 가운데 농업의 상업화는 가능하게 되었으며, 상품으로서의 농산물의 수요는 배가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경영적인 농민들은 그들이 자작농이거나 소작농이거나 농촌사회가 분화되는데 따라 증대되어 가는 수요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제 부를 축적할 수 있게 된 것이었다. 이러한 분화는 신분제의 해체와도 관련되는데, 이러한 신분제의 해체 즉 농민계층의 재구성과정에서 크게 기능하는 것은 경영적인 부농층이었다. 그러나 소유 농지나 차경지의 경영규모가 영세한 상황 속에서 借地(차지)경영이나 상업적 농업을 통해서만으로 부를 축적한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그래서, 여기에 농민들은 농업생산력의 발전을 위한 농업개량에 힘쓰게 되고, 여러 가지 농법의 전환으로 노동력을 덜 들이고서도 소출을 많이 올릴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地代(지대)의 발전으로 경영형 부농층은 지주층의 지대수취를 감당하고서도 보다 많은 잉여생산물의 축적이 가능하게 되었다. 경영형 부농층의 농업경영은 농산물의 상품화를 전제하는 것이기에, 이들 계층의 성립은 또한 전국적인 규모의 유통시장이 성립되는 가운데 상품유통이 활발히 전개되어 가고, 향시의 증설로 농촌경제는 유통경제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갖는 이 시기에 맞춰 더욱더 촉진될수 있었다.
2. 경영형 부농의 상업적 농업경영
1) 경영확대
이 시기에는 인구증가, 토지겸병 및 소생산자층의 분화로 인해 경영규모가 영세화되어 가는 것이 실정이었으므로, 이런 상황 속에서 소생산자층이 부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토지 즉 경영의 확대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렇기에 그들은, 오랜 시일을 두고 터득한 농법의 전환을 통해 경영을 확대하였는데, 이러한 농법의 전환을 통해서 농민들은 중경제초(中耕除草)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약할 수가 있었고, 따라서 거기서 절약된 노동력만큼은 경영규모를 확대하여 그곳에서 사용할 수가 있었다. 둘째로, 농지개간을 통한 경영확대였다. 이 시기의 농민에게는 陳田(진전)이거나 新田(신전)이거나 또는 火粟田(화속전)이거나를 막론하고 농지를 개간하는 것이 부의 축적의 하나의 길이 되고 있었고, 정부에서도 이 문제는 농정책의 하나로서 크게 장려하고 있었다.
셋째로, 토지의 매매를 통한 경영확대였다. 이 시기에 토지를 放賣(방매)하는 것은 주로 빈민층이고 이를 買占(매점)하는 것은 소위 권력층과 지주층이 중심이 되는 것이지만, 모든 토지가 이들에 의해서만 매수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소생산자층이 분화되는 가운데서 토지의 매매는 이들 상호간에 있어서도 행해졌다. 경영형 부농들이 경영확대를 목적으로 소작지를 매입할 수 있는 곳은 소작료가 헐한 곳이 아니면 안 되었기에, 이들의 소작권매입은 소자교가 헐한 농지 그리고 그 관리가 소홀한 토지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도 退賭地(퇴도지)의 매매가 있었는데, 이 역시 일종의 소작권매매 또는 사용수익권의 매매였다. 다만 이것이 일반소작권의 매매와 다른 것은 이것은 田主(전주)가 일정기간 그 경작권을 賣渡(매도)하는 것으로서 이 기간만은 買者에게 그 토지의 전적인 경영권이 주어지는 것이었다. 퇴도지를 매수하여 경영하는 부농층에게는 큰 이득이 있었기 때문에 이 매매는 농민층의 분화가 격심해지는 것과 병행하여 널리 실행되고 있었다.
2) 상품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