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아동의 언어지도

 1  자폐아동의 언어지도-1
 2  자폐아동의 언어지도-2
 3  자폐아동의 언어지도-3
 4  자폐아동의 언어지도-4
 5  자폐아동의 언어지도-5
 6  자폐아동의 언어지도-6
 7  자폐아동의 언어지도-7
 8  자폐아동의 언어지도-8
 9  자폐아동의 언어지도-9
 10  자폐아동의 언어지도-10
 11  자폐아동의 언어지도-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자폐아동의 언어지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자폐성 장애 아동들은 의사소통 능력의 결함으로 특징 지워진다(Koegal, 1995). 이들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필요한 언어를 획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눈맞춤안면표정발성신체 자세 등과 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사용하는데도 어려움을 보인다(APA, 1994).
1. 구어발달
대부분의 자폐성 장애 아동은 구어발달이 전무하거나 지체되어 있다. 5세 이후에도 구어 발달이 전무한 아동의 경우, 그들의 구어 획득 및 일반적인 의사소통의 기능에 관한 예후는 좋지 않다. 그리고 5세 이후에 구어 발달이 일어나는 아동의 수도 적다(Paul, 1987; 김은경,1999). 오래된 연구 자료이지만, 많은 자폐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약28~61%(Fish, Shapiro, & Campbell, 1996; Wolff & Chess, 1965)의 자폐성 장애 아동이 말을 하지 못한다고 한다. 말을 하지 못하는 자폐성 장애 아동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언어가 아닌 비언어적인 행동을 대체 수단으로 자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Paul, 1987).
(1) 구문론, 형태론
자폐 아동들의 구문론적 능력을 분석한 연구들은 자폐 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하여 다소 짧은 발화, 간단한 문장구조, 그리고 제한된 문장형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정신지체나 언어장애 아동들에 비해서는 유의할만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Bartak, Rutter, & Cox, 1975; Cantwell, Baker, & Rutter, 1978; Pierce, & Bartolucci, 1977).
(2) 의미론
언어의 내용과 관계되는 의미론적 측면은 자폐아동들이 흔히 어려움을 나타내는 언어의 영역이다. 형태론 및 구문론 측면과는 대조적으로, 자폐아동들의 의미론적 발달 특성은 단지 지체되었기 보다는 특이한 이상 형태를 나타낸다. 특히 범주적인 어휘와 관계어 습득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① 범주적인 어휘
일반 아동들은 사물의 물리적인 유사성이나 공통된 기능을 토대로 사물을 분류해 가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과대일반화 단계가 자연스런 발달 과정이지만, 자폐 아동들은 이러한 단계를 거치지 않는다. 자폐아동들은 일반화 과정을 넘어가지 못하고 특정 사물을 특정 낱말로만 명명하는 특정화 단계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 또 자폐아동들은 사물의 기능에 근거한 범주의 습득에 제한된 능력을 보인다. 즉, 물리적 유사점에 근거하여 범주화한다(Waterhouse & Fein, 1982)
② 관계어
방향(온다-간다, 준다-받는다) 이나 위치(안-밖, 위-아래), 지시(이-저, 여기-저기), 시간(전-후), 또는 상대적인 개념(많다-적다, 큰-작은, 빨리-늦게)을 나타내는 낱말들을 이해하거나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