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
 2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2
 3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3
 4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4
 5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5
 6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6
 7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7
 8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8
 9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9
 10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0
 11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1
 12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2
 13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3
 14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4
 15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5
 16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6
 17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7
 18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8
 19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19
 20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내면의 발견을 주제로 한 현대소설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주제로 한 현대소설
Ⅰ. ‘내면‘이란?
‘내면’은 외적 세계에 대비되는 내적 세계,
즉, 인간의 심리 세계와 그 인식적 차원까지
를 의미한다. 즉 내면은 개인적 정황이며
내적 풍경이다.
Ⅱ. 대상소설은?
내면 세계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사건을 묘사하거나 외부 세계의 사건에 대한 지각이 내면 세계의 지각으로 맞추어질 수 있는 ‘내적 초점화’된 작품들이다.
고백소설, 심경소설, 심리소설, 성장소설, 서간체소설 등.
Ⅲ. 현대소설에서 ‘내면의 발견‘이
나타나는 배경
-1910년대부터
-국권상실의 현실-자아의 내면화
-인간의 자연성이 작가들 삶의 중심요소가

-일상적 생활의 중요성 인식
-언문일치
Ⅳ. 소설 목록
1. 고백소설
① 현상윤,「핍박」, 1917.
② 현진건 「빈처」, 1921.
③ 채만식, 「민족의 죄인」, 1948. (1).
④ 양건식, 「슬픈모순」, 1918.
현상윤,「핍박」, 1917.
2. 심경소설
①. 염상섭, 「표본실의 청개구리」, 1921. (1)
②. 염상섭,「만세전」, 1922. (7)
③.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1934. (8)
④. 박태원, 「피로」, 1933.
⑤. 이상, 「지도의 암실」, 1932.
⑥. 이상, 「날개」, 1936. (10)
⑦. 이상, 「지주회시」, 1936.
⑧.이상, 「종생기」, 1937.
⑨.이상, 「동해」, 1937.
⑩.이상, 「봉별기」
⑪. 이상, 「실화」, 1939.
⑫. 이태준, 「해방 전후」, 1946. (1).
⑬. 최시한, 「반성문을 쓰는 시간」, 1992.
이상, 「지주회시」, 1936.
3. 심리소설
①. 최명익, 「비 오는 길」, 1936.
②. 최명익, 「장삼이사」, 1941. (1)
③. 최명익, 「무성격자」,
④. 최명익, 「심문」,
⑤. 장용학, 「요한시집 」, 1955, (2)
⑥. 오상원, 「유예 」, 1955. (10)
⑦. 손창섭, 「미해결의 장 」, 1955.
⑧. 장용학, 「비인탄생」, 1956.
⑨. 김성한, 「바비도 」,(3), 1956.
⑩. 전광용, 「사수」,(1), 1956.
⑪. 김승옥, 「환상수첩」, 1962. (1).
⑫. 김승옥, 「무진기행」, 1964. (7)
⑬.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1965. (9)
⑭.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1966. (5)
⑮. 김원일, 「어둠의 혼 」, 1973. (5)
. 최윤, 「푸른 기차」, 1994. (1)
. 임철우 「사평역」, 1984. (3)
김승옥, 「환상수첩」, 1962. (1).
장용학, 「요한시집 」, 1955, (2).
4. 성장소설
①. 나도향, 「녯날 꿈은 蒼白하더이다」, 1922.
②. 황순원, 「별」, 1941. (2).
③. 오정희, 「중국인 거리」,1979, (2)
④. 송기원, 「아름다운 얼굴」, 1993.
⑤. 박완서,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1994.
⑥. 신경숙, 「외딴방」, 1995. (2)
⑦. 김소진, 「자전거 도둑」, 1995. (1)
⑧. 박상률, 「봄바람」, 1997. (1)
⑨. 전경린, 「안마당이 있는 가겟집 풍경」, 1995.
⑩. 은희경, 「누가 꽃피는 봄날 리기다소나무 숲에 덫을 놓았을까」, 2000.
황순원, 「별」, 1941. (2).
오정희, 「중국인 거리」,197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