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용언 싶다 연구보고서

 1  보조용언 싶다 연구보고서-1
 2  보조용언 싶다 연구보고서-2
 3  보조용언 싶다 연구보고서-3
 4  보조용언 싶다 연구보고서-4
 5  보조용언 싶다 연구보고서-5
 6  보조용언 싶다 연구보고서-6
 7  보조용언 싶다 연구보고서-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보조용언 싶다 연구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서론
한국어는 서술어 중심의 언어이다. 그런 이유로 서술어의 특성은 한국어에 있어 문장의 특성을 결정짓는데 큰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고 이런 이유로 서술어에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서술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본용언과 보조 용언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는데 ‘보조 용언’이라는 용어 외에도 조동사, 의존용언, 의존동사, 도움풀이씨, 매인풀이씨 등의 용어로 불리기도 한다. 기존의 보조 용언이 특성상 자립적으로 서술 기능을 가지지 못하고 그 앞에 선행하는 용언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단순히 선행 동사를 보조한다는 관점에서의 ‘보조 용언’이 아니라 ‘의존 용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도 있으나 본 보고서에서는 ‘보조 용언’이라는 용어는 본용언과 연결되어 그것의 뜻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용언이라는 의미와 기존의 연구를 보다 객관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이를 그대로 따르기로 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우선 보조 용언의 기본적 정의와 전반적인 특성을 검토 한 후 문법적 범주에 대해서도 선행 연구 조사들을 참고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런 전반적 특성을 살핀 후 보다 개별적으로 자세한 특징을 알기위해 ‘싶다’ 보조 용언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싶다’ 보조 용언의 의미를 검토해 보고 결합하는 양상을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고 본용언과의 관계를 정리 해 보기로 한다.
연구의 목적과 방법
보조 용언의 성격과 특수성은 의존성이라는 공통적 특징 이외에 개별적으로 각각의 성격을 검토해 보면서 좀 더 깊은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최현배(1937) 이래 보조 용언의 목록은 비교적 체계를 잡았지만 그 정의와 분류에 대해 다소 다른 견해들도 존재하고 있다. ‘싶다’의 경우 일반적인 의존 용언의 특성 외에도 개별적 특성을 잘 보여 주고 있는데 최현배(1937)의 보조 용언 목록에 포함되면서 부분적으로 연구되기도 하였고 빈번히 사용되면서도 그리 크게 주목받지는 못했다. 이에 ‘싶다’가 가지는 특이성을 의미와 결합 양상을 통해 알아보기로 한다.
선행연구 검토
보조 용언에 관한 선행 연구는 배경 이론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조 용언을 문법 범주에 인정하느냐 않느냐의 문제에 따라 조금 다른 관점을 보이고 있다. 생성 문법론을 따르는 사람들은 보조 용언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데 반해 변형 생성이론을 따르는 연구에서는 보조 동사를 모문장의 본동사로 여기고 그 앞의 주동사는 내포문의 동사로 처리하고 있다. 전통적 문법에서 보조 용언의 문법 범주는 최현배(1937)이래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의미면에서 분류했는데 도움풀이씨를 설정해 이를 풀이씨 뒤에서 도와 풀이를 완전하게 하는 움직씨로 보면서 그 중요성을 강조 하였다. 이런 입장은 약간의 차이는 존재해도 전통문법에서는 대체로 유지되고 있는 반면 이홍배(1976)은 보조 동사를 모문장의 본동사로 보면서 변형 생성이론을 따르고 있고 손호민(1973)은 ‘동사1+동사2’ 형식의 동사가 복합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보며 손세모돌(1993)은 ‘내적 비분리성’으로 이선웅(1995)은 ‘분리 가능성’이라는 용어로 보조 용언 구문에서 선행 용언과 후행 용언이 보조사를 제외한 어떤 형식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음을 설명하면서 보조 동사를 본동사로 보는 입장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싶다’에 대한 연구를 보다 자세히 보면 최현배(1937) 최현배(1937)는 에서 도움그림씨를 설정하고 그 돕는 으뜸 풀이씨를 따라 으뜸그림씨를 돕기만 하는 것, 으뜸움직씨를 돕기만 하는 것, 으뜸움직씨와 으뜸그림씨에 두루 쓰이는 것, 으뜸그림씨와 으뜸움직씨와 잡음씨에 두루 쓰이는 것의 네 가지를 설정하고 있다. 이중 ‘싶다’, ‘지다’, ‘직하다’는 으뜸움직씨를 돕기에만 쓰이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준으로 나누고 있는데 뜻으로 볼 때 ‘싶다’는 바람 도움그림씨, ‘듯싶다’는 미룸 도움그림씨로 따로 분류하고 있다.
에서 도움그림씨로 다루어 추측 혹은 희망의 뜻으로 본 이래 전통문법에서는 특별한 이견은 없었으나 조금씩 다른 관점이 등장한다. 박형달(1975)에서도 추측과 희망의 뜻의 의미는 그대로 보고 있으나 의존 용언의 통사 기능을 동사 동작 과정에 대한 시제, 법, 상 등을 나타내는 세 가지로 나누고 ‘싶다’는 화자의 주관적 태도를 나타내는 법(Modal)의 기능으로 파악하고 있다. 또 허웅(1995) 허웅(1975)에서는 도움풀이씨의 뜻으로 ‘매인풀이씨’란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이 용어를 구속성 풀이씨를 뜻하는 것으로 파악하면 ‘이다’, ‘싶다’ 그리고 그 외에 도움그림씨 등을 전체적으로 포괄 할 수 있을 것이다.
의 경우에는 최현배(1971)에서 ‘싶다’가 의문형 종결어미 뒤에만 쓰인다고 보는데 반해 희망 의존 동사와는 달리 추측을 표현하는 ‘싶다’는 일반 동사로 간주한다. 후에 김승곤(1999) 김승곤(1999)은 에서 바람매인움직씨로 ‘싶어하다’를 설정하고 으뜸움직씨의 씨끝 ‘-고’ 뒤에서만 쓴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것이 풀이말이 될 때의 임자말은 [±사람], [±목숨성]의 자질을 가진 이름씨만이 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의 경우는 ‘싶어 하다’를 바람매인 움직씨로 설정하고 있어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손세모돌(1993), 민현식(1999)등은 ‘싶다’를 여전히 희망 의존 용언으로 설정하고 있다.
보조 용언
참고문헌
참고 문헌
표준국어대사전, www.korean.go.kr
이희승, “국어대사전”, 1994, 민중서림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사전”, 1980, 삼성
최현배, “우리말본”, 1937, 정음문화사
김승곤, “현대나라말본 -형태론-”, 1999, 박이정
민현식, “국어 문법 연구”, 1999, 역락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2000, 민음사
양정석, “한국어 통사 구조론”, 2005, 한국문화사
성광수 외, “한국어 표현 문법”, 2005, 한국문화사
변정민, “우리말의 인지표현”, 2005, 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