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문 제 분석과 개선방안

 1  한국 교육문 제 분석과 개선방안-1
 2  한국 교육문 제 분석과 개선방안-2
 3  한국 교육문 제 분석과 개선방안-3
 4  한국 교육문 제 분석과 개선방안-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교육문 제 분석과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교육 문제분석과 개선방안
Ⅰ.한자교육 문제점과 개선방안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앞서 과연 한자교육이 필요한 것인지, 아니면 필요하지 않은 것인지에 대한 논란을 짚어볼 필요가 있다. 앞서 발표하신 토론자들의 경우 한자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실태, 지도내용, 지도방법들을 언급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의 한자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전제를 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먼저 한자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의견은 요즘 청소년들이나 대학생들에 있어 한자실력이 너무 저급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가장 기초적인 용어까지 제대로 읽지도, 쓰지도 못하는 실정이어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8월 경인일보가 수습기자를 모집하면서 국어시험에 약간의 한자읽기와 쓰기문제를 출제한 적이 있다. 서류전형을 우선 거쳐 80여명의 대졸 응시자가 있었으나 京畿道(경기도)와 京仁日報(경인일보)를 한자로 ●기라는 문제에 정확한 답을 쓴 응시자는 5~6명에 불과해 채점자들을 놀라게 했다.
이같이 응시자들의 한자실력이 모자란 데는 어려서부터의 한자교육이 부재하고, 가정과 학교로부터 무관심의 탓으로 돌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다른 나라의 문자를 배우는 일은 쉽지 않고 귀찮은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 말의 70% 이상이 한자어로 돼있으며 전문용어의 80% 이상이 한자어란 점을 직시할 때 한자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한자교육 찬성론자들의 주장이다. 또한 한자를 알면 우리 말과 글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되며 최근 동북아 국가간의 경제교류 활성화 측면에서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요즘 전경련 등 경제 5단체가 신입사원채용시험에 한자를 포함시키고, 일반 기업체에도 한자 구사능력을 검증토록 권장하고 있는 것도 한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등학교 한자교육 반대론자의 주장도 만만치 않다. 초등학교에서의 가르칠 과목이 너무 많다는 이유도 있다. 도덕(생활의 길잡이), 국어(말하기 듣기 쓰기 짓지), 사회(사회과 탐구), 수학(수학일힘 책), 과학(실험관찰), 음악, 미술, 체육, 실과, 영어, 컴퓨터, 환경, 통일 등을 가르치고 있는 데 과목을 하나씩 줄여나가야 할 판에 한자까지 가르친다면 효과가 없다는 주장을 편다. 한자문화권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지금 거리의 간판이며 상표가 온통 영어판인 데다 아이들이 따라부르는 노랫 속에도 영어가 들어가 있고 한글만 충분히 알아도 그 의미를 아는 데 큰 지장이 없다는 이유를 든다.
또한 한글가치의 추락문제도 있다는 주장이다. 수년전 반대여론이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초등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을 의무화하고 정규교과로 만들어 가르칠 교사의 부족, 아이들의 흥미상실, 영어 사교육시장 확대 등의 부작용만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여기에 한자까지 가르치면 한글은 그야말로 개밥의 도토리 신세가 되는 게 아니냐는 논리다. 통일을 준비해야 하는 시대에 남북언어의 이질화를 재촉할 우려가 있다는 측면에서 초등학교에서의 한자교육은 불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개인적인 견해로 초등학교 한자교육을 찬성한다. 이유는 서두에서 주장한 내용들과 비슷하며, 한자는 좋든 싫든 국제화 시대에서 아시아 태평양의 국제문자라는 인식으로, 국가 경쟁력의 차원에서라도 반드시 익히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다.
2. 현행 한자교육의 문제점
초등학교의 한자교육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다가온 현 세대는 서양의 물질주의문화에서 동양의 정신문화로 그 주체가 옮겨가는 과정에 있음을 비춰볼 때 한자문화권인 우리나라 중국 일본의 문화가 주목을 받게됨으로써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한자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초등학교에서는 한자교육이 제도적으로 정규교과로 채택되지 않음으로써 체계적인 한자교육을 실시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제6차 교육과정부터 학교 재량시간이 신설되어 3학년 이상에서 한자를 선택해 가르칠 수 있도록 돼 일부 시도에서는 나름대로 교육방법을 마련하고 한자교육을 선택적으로 실시하고는 있다.
이후 2000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재량시간이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바뀌고 대상학년이 1학년부터 6학년까지로, 그 시간도 주당 1시간에서 2시간으로 확대 시행됐다. 때문에 한자교육은 양적으로나, 내용면에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촉진시키기 위한 창의적 재량활동에 중점을 두도록 하고 있어 더욱 내실화된 한자교육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