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승 작가의 생애

 1  이희승 작가의 생애-1
 2  이희승 작가의 생애-2
 3  이희승 작가의 생애-3
 4  이희승 작가의 생애-4
 5  이희승 작가의 생애-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희승 작가의 생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희승
Ⅰ. 작가의 생애
일석은 1896년 6월 9일, 경기도 광주군 의곡면 포일리에서 출생해, 1989년 11월 27일 세상을 떠났다. 93년의 생애에 거쳐 격동의 20세기를 그대로 체험한 것이다. 실제로 그의 삶은 그리 평탄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학으로 힘들게 대학을 졸업했고, 한창 연구할 시기에는 투옥과 전란의 시련을 겪었다.
일석은 어린 시절 천자문, 동몽선습 등을 배웠고, 13세에 결혼을 한 후, 상경하여 한성 외국어학교 영어부에 입학했다. 졸업 후 경성 고등보통학교 2학년에 편입하였다가 자퇴, 양정의숙 야간전문학교 법과에 입학했지만, 양정의숙이 양정고등보통학교로 개편되는 바람에 다시 자퇴하게 되었다. 망국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공부할 길도 막히고 가세도 기울어 시골에서 농사를 거들며 지내던 중, 방문했던 친척이 가져온 프린트 교재로 주시경의 ‘국어문법’을 접한다. 18세 때 본 이 교재가 바로 일석이 국어학에 뜻을 두게 된 계기다.
일석은 단신으로 무작정 상경하여 학비를 벌면서 공부를 했다. 사립 중앙학교를 졸업하고 경성방직주식회사에 서기로 취직해 학비 걱정을 조금은 덜게 되자, 그는 더욱 공부에 박차를 가해 30세 되던 1925년에는 경성제국대학 예과부 문과에 입학하였다. 5년 후 대학을 졸업하고 경성사범학교의 교유에 임직하면서 일석은 동시에 조선어학회 간사에 선출되었다. 이렇게 그에게 학자로서의 길이 열리지만 동시에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게 된 계기가 마련된 셈이다.
1930년 12월, 조선어학회 총회에서는 한글 맞춤법의 제정위원으로 선임되었고, 많은 토의와 수정을 거쳐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완성되었다. 이 시기 일석은 사전 편찬, 맞춤법, 표준어, 외래어 표기법 문제 등에 적극 간여하며 관련된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다. 40세 때는 이화여전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경제국대학 대학원에서의 언어학 연구 유학도 마무리한다. 학자로서의 삶이 비교적 순탄하게 진행되던 중,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이 일어나 일석은 투옥을 하게 되었다. 옥중에서 해방을 맞이하고 출옥, 경성대학법문학부 교수에 취임하였고, 사전과 교과서를 편찬한다.
그러나 1950년 6.25 사변이 일어났고, 9.28 수복 전날에는 일석의 집이 전소되어 그간 모은 귀중한 자료와 책을 비롯해 집필하던 원고들이 모두 소실되었다. 일석이 남긴 저술들 가운데 정작 문법 관련 논저가 많지 못한 것은 이러한 사정 때문이다. 역사의 짐들로 인해 순수학문에 정진할 여유를 갖지 못 했고, 그나마 가능했던 연구 성과도 잃게 되었던 것이다.
『한글맞춤법통일안강의』(1946)는 ‘한글’지에 연재했던 글을 정리한 것이고, 『조선어학논고』(1947)는 광복 이전 발표된 십 수편의 논문을 수록한 것이다. 그리고 『국어학개설』(1955)은 전란의 와중에서 단 하나 요행히 살아남은 강의안을 정리한 저술이다. 전란 후에도 「존재사 ‘있다’에 대하여」(1956)를 비롯해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지만, 그의 이후 활동은 주로 후진 양성에 바쳐졌다. 그는 국어학 외에도 고전문학 분야에 관심을 기울여 〈조선문학연구초 朝鮮文學硏究抄〉(1946) 등을 펴냈고 왕성한 시작(詩作) 활동으로 〈박꽃〉(1947)·〈심장(心臟)의 파편(破片)〉(1961) 등 시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그외에도 자서전적 수필 〈딸깍발이〉(1952)·〈오척단구 五尺短軀〉(1956) 등을 비롯하여 〈벙어리냉가슴〉(1956)·〈소경의 잠꼬대〉(1962)·〈먹추의 말참견〉(1975) 등의 수필집을 남겼다.
서울대 문리과 교수를 역임했고, 1961년 퇴임 후에는 『국어대사전』(1961)을 간행했다. 한국어문교육연구회를 창립했고, 동양학 연구소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명예회장 등을 거쳤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896년 경기도 광주군 의곡면 포일리 출생
1915년 단신으로 상경하여 주경야독
1925년 경성제국대학 예과부 문과에 입학
참고문헌
※ 참고 문헌
남풍현, 「일석 이희승 선생님의 학문과 인간」, 『동양학』20, 1990.
이원태, 「교양 10 월의 인물 - 대꼬챙이 선비 한글학자 이희승」, 『지방행정』43, 1994.
이희승, 『딸깍발이 - 범우문고 51』, 범우사, 1991.
一石李熙昇全集刊行委員會 編, 『一石 李熙昇 全集 1』,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一石李熙昇全集刊行委員會 編, 『一石 李熙昇 全集 3』,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