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우 작가의 생애와 활동

 1  이호우 작가의 생애와 활동-1
 2  이호우 작가의 생애와 활동-2
 3  이호우 작가의 생애와 활동-3
 4  이호우 작가의 생애와 활동-4
 5  이호우 작가의 생애와 활동-5
 6  이호우 작가의 생애와 활동-6
 7  이호우 작가의 생애와 활동-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호우 작가의 생애와 활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호우
1. 작가의 생애와 활동
1912∼1970. 시조시인. 본관은 경주(慶州). 아호는 본명에서 취음하여 이호우(爾豪愚)라 하였다. 경상북도 청도 출신. 아버지는 종수(鐘洙), 어머니는 구봉래(具鳳來)이며, 누이동생 영도(永道)도 시조시인이다. 그는 고을에서 만석군 재력과 명문가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부유한 환경속에서 자랐다. 그는 조부인 혜강 이규현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한학을 교육받았으며, 이를 통하여 민족에 대한 애국심을 서민의식에서 찾았으며, 그의 시적재능과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비판정신은 모두 그에게서 물려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그의 성격은 대구일보에서 10년간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면서 두드러졌고, 이로 말미암아 1949년 남로당 도간부라는 모략을 받아 사형선고를 받게 된다. 하지만 다행히도 약 1년만에 구상과 조지훈의 건의를 받은, 당시 대통령의 비서였던 시인 김광섭의 진언으로 죽음을 면하였다. 또한 1955년에는 시조 이 반공법에 저촉된다는 이유로, 1958년에는 신문논설이 너무 과격하다 하여 필화사건을 겪게 된다. 이렇듯 개인적인 필화사건과 종군 작가로서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이호우는 이른바 “객관적 세계를 조명하는 인간 생명의 자율성과 인간 정신의 자각을 리얼하게 보여주는” 시세계를 보여주게 된다. 1940년 ≪문장≫지에 시조 으로 추천되면서 문단에 등단하게 되었고 1940년대 중반부터 시조동인지 ≪죽순≫에서 꾸준히 시작활동을 하였다. 1955년에는 첫 시조집 ≪이호우시조집≫을, 1968년에는 동생인 정운 이영도와 오누이 시조집 ≪휴화산≫을 펴냈다. 이호우가 1940년 등단해서 1970년 작고하기까지 두 권의 시조집 이외에 각종 시지 및 문예지에 발표하였던 시조는 40여 편으로, 작품 활동으로 남겨진 그의 시조 작품은 대략 180여 편에 이른다. 이후 등의 논설과 시조작품을 신문과 문학지에 발표하고, 1969년까지 등의 시조작품을 신문과 월간 문학지에 발표하는 등 꾸준한 시작 활동을 해오다가 1970년 1월6일 밤, 사망하였다
2. 시적 경향
그의 시조관은 ≪이호우시조집≫ 후기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여기서 한 민족, 한 국가에는 반드시 그 민족의 호흡인 국민시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을 시조에서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국민시는 간결한 형(型)과 서민적이고 주변적이며 평명(平明)한 내용을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그의 작품에 잘 반영되어 있다. 추천 작품 〈달밤〉에는 이러한 점이 잘 나타나고 있는데 “아무 억지도, 꾸밈도, 구김도 없다.”는 선자(選者)의 말과도 같이 범상적인 제재를 선택하여 평이하게 쓴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범상적 제재와 평이성이 초기 시조의 세계라면, 후기 시조 ≪휴화산≫의 시편들은 인간 욕정의 승화와 안주하는 경지를 보인 점이 특색이다. 한마디로 한국의 고전적 시조를 현대 감각이나 생활 정서로 전환시켜 독특한 시적 경지를 개척한 것이 시조 시단에 남긴 공적이라 할 수 있다.
3. 작품의 형식 및 내용의 변모과정
초기시-
전기시조의 대부분은 연시조의 형태로 되어있다. 자아가 세계와 일치하려는 상상적 지향점을 계속해서 설정하고 있으며, 그러한 시인의 인식에서 비롯되는 작품들이라 하겠다. 특히 이시기의 이호우 시의 이미지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그것은 ‘고향’ 이미지와 ‘깃발’ 이미지 이다. ‘고향’ 이미지의 경우는 정적 이미지로써 시적 자아와 그가 지향하는 세계가 상상적으로 합일을 이루고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고향’ 이미지를 채택한 시적 자아는 꿈을 꾸는 존재로 현현되어, 끊임없이 유토피아로서의 고향을 노래하게 되고, 그 인식 태도는 긍정적이며 몽환적이다. 한편 ’깃발‘ 이미지를 채택한 경우, 동적인 이미를 통해 시적 자아와 그가 지향하는 세계가 갈등을 하고 있음을 생경하게 드러낸다. 따라서 ’깃발‘ 이미지는 갈등을 동반한 지향점에의 상실로 드러남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전기 시조에서 대표적으로 드러난 이미지는 ’고향‘ 이라는 상상적 합일을 통한 정적 세계인식과 ’깃발‘ 이라는 균열을 통한 동적 자아인식으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①‘고향’ 합일의 상상과 정적 세계인식
이 시기에 이호우는 조부의 영향으로 자연물에 대한 남다른 관찰과 사색으로 한시를 통해 자연과 더불어 자아와 세계의 일체감을 꿈꾸었으며 이를 토대로 시조를 창작하고 그 속에서 고향을 노래함으로써 꿈과 정의 세계를 그리게 된다. 다음의 시조는 시인이 노래한 고향의 세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고향이 꿈과 정이 넘치는 세계로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살구꽃 핀 마을은 어디나 고향 같다
만나는 사람마다 등이라도 치고지고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