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의 육 장기

 1  이광수의 육 장기-1
 2  이광수의 육 장기-2
 3  이광수의 육 장기-3
 4  이광수의 육 장기-4
 5  이광수의 육 장기-5
 6  이광수의 육 장기-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광수의 육 장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작가 이광수의 삶
춘원 이광수는 1892년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출생하였다. 어릴 때부터 머리가 명석하여 5살 때 국문과 ‘천자문’을 깨우쳤으며, 외조모에게 고대소설들을 읽어 주고 상급을 받기도 했다. 10살 되던 해에 부모가 콜레라로 8일 사이에 차례로 사망하였다. 졸지에 고아가 된 그는 이듬해 동학도의 박찬병 대령의 집에서 서기 노릇을 하였으며, 이때의 종교 활동이 그의 생애와 문학에 큰 영향을 준 듯하다. 이 무렵 정주성에서 벌어진 노일전쟁을 목격하고 비로소 민족의식에 눈뜨게 되며 동학에 대한 탄압이 심해지자 1905년 상경, 일진회의 유학생으로 도일(渡日)한다.
1907년 명치학원 중학부에 편입하며, 도산 안창호가 미국에서 귀국하는 도중 동경에서 연설하는 것을 듣고 큰 감명을 받는다. 또한 기독교의 성경도 이 때 처음 접하게 되어 천도교적인 생활을 흠앙한다. 톨스토이의 작품을 읽고 그의 무저항주의에 공명하며, 홍명희의 영향을 받아 바이런의 작품을 읽고, 당시의 풍미한 자연주의 문예사조에 휩쓸린다. 이광수의 문학적 경력은 1909년 일문(日文)으로 쓴 단편 를 발표함으로써 시작된다.
1917년 [매일신보]에 장편 을 연재 발표함으로써 일약 문학적 명성을 획득한다. 1918년 조도대학 철학과에서 수학하면서 단편 , 등을 잇달아 발표하는 한편, , 등의 논문을 통해 봉건적 유교사상 및 윤리를 통렬히 비판하며 자아중심주의와 자유연애를 강력히 주장한다. 그의 문필생활은 정치적, 사회적 운동에로 번져, 다음해 를 기초하고 상해로 탈출, 그곳에서 임정(臨政) 기관지(機關紙) [독립신문(獨立新聞)]의 주간으로 활약하는 한편, 임정임시의정원(臨政臨時議政院)대표로 선출되며 흥사단에 입단하여 활약한다. 1921년 주위의 반대를 무릅쓰고 귀국, 변절자로 비난을 받으며, 본부인과 합의이혼을 하고 허영숙과 결혼한다.
1922년 [백조] 창간에 동인으로 참가하며, 논문 을 발표하고 1926년 장편 를 발표하여 역사소설의 장르를 개척하여 이후 를 비롯한 다수의 역사소설을 발표한다. 1930년 장편 3부작을 발표,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당대 현실의 비극성과 지향방향을 시사하며, 이어 장편 을 발표, 그의 민족주의적 이상주의를 표현한다. 장편 을 통하여 정신지상주의적 애정관을 표현하고 를 발표하여 불교에로의 뚜렷한 경도를 보인다. 1940년을 전후한 무렵에는 일련의 친일행위로 사회의 지탄을 받게 된다.
1939년 을 발표하지만, 소위 ‘북지황군위문단’에 협력, 이로부터 변절자로 지칭 받기 시작한다. 해방 후에는 친일파로 지목되어 극심한 비난을 받고 신병으로 고생하며 부인과 법적으로 이혼하는 등 시련을 겪으며 1948년에는 수필집 와 등을 간행하기도 하나 1949년 반민법에 의해 수감되는 등 계속 고초를 겪는다.
1950년에 신병으로 병석에서 625동란을 당하여 7월 12일 북괴에 의해 납북되며, 그 이후 그에 관한 소식은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2. 이광수의 자전적 문학이 지니는 성격
이광수의 자전적 문학이 지닌 근본적인 성격을 살펴보면 그가 대략 세 차례에 걸쳐 자기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 번째는 명치학원 유학 시절부터 동아일보 시절에 이르기 까지 자기를 경세가이자 계몽가로 인식한 것이다. 소설로 보면 『무정』에서 『재생』을 지나 『흙』에 이르는 과정이 이를 대변해 준다.
두 번째는 홍지동 시절부터 해방기까지 자기를 “명인” 으로 이해한 것이다. 이 시기의 그는 『그의 자서전』에서 「무명」,「육장기」,「난제오」에 이르기까지 작가와 작중 주인공 사이의 일치 관계를 따져보게 할 만큼 자전적 성격이 농후한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이는 작가의 관심이 자기를 보다 내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하는 쪽으로 이동해 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계몽가의 내면이란 계몽을 위한 내면으로서의 한계가 엄연하다. 그의 “명인” 의식은 계몽가로서의 의식과 짝을 이루며 나타난다.
셋째는 해방 후 그가 자기를 “눈 먼 이야기 꾼” 으로 자처한 것이다. 해방 후 친일파로 낙인 찍혀 반민특위에 피검되는 상황에서도 그는 민족을 위해 친일했다면서 경세가이자 계몽가의 명제를 내세웠지만, 시대는 더 이상 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이제 그의 존립을 가능케 할 것은 평생 동안 그가 원하지 않았던 한갓 문필가의 직능을 보여주는 것뿐이었다. 이 시기에 자전적 소설로서의 『나』 연작과 자서전으로서의 『나의 고백』이 공존함은 그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 공존은 하나의 자아가 극단적인 분열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기에 족하다.
3. 이광수 문학적 태도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