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한문 혼용과 한글전용

 1  국한문 혼용과 한글전용-1
 2  국한문 혼용과 한글전용-2
 3  국한문 혼용과 한글전용-3
 4  국한문 혼용과 한글전용-4
 5  국한문 혼용과 한글전용-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한문 혼용과 한글전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국한문혼용과 한글전용
Ⅰ. 서
우리 민족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이 땅에 정착해 살아왔음에도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는 그렇다할 표기체계조차 없었다. 때문에 중국으로부터 말을 표기할 문자를 빌어 와 사용하게 되었다. 구결, 이두, 향찰 등 한자를 빌어 표기한 것이 그 예다. 세종 때 한글이 창제되어 말글의 통합이 이뤄지나 싶었으나 이후에도 한글에 대한 무관심과 멸시는 그치지 않았다. 여전히 중국의 영향력 아래서 사대주의와 유교주의가 팽배했기 때문에, 한자전용의 오래된 역사는 쉽게 바뀔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글과 말이 다른 국어의 이중체계(言文二致)를 가져왔다.
개화기 시대 언문일치(言文一致) 정책의 공포에도 불구하고 한자를 우리말과 글에서 완전히 떨쳐낼 수는 없었다. 이미 한자어는 고유어와 나란히, 오히려 고유어보다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왔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한자어의 사용 문제는 국한문혼용과 국어전용의 입장으로 나뉘어 오늘날까지 팽팽히 대립중이다. 이는 ‘한글사랑’이나 ‘민족정신’ 등의 감정적인 차원을 넘어 국어정책과도 관련되기 때문에 우리 현실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문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오늘날 국어사용의 실태를 토대로 각각의 입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한글 전용 정책의 변천 과정
국어운동은 일제 치하에서의 민족운동으로 기능해왔다. 여러 학회의 활동이 대표적인데 그 중에서도 조선어학회는 해방과 동시에 국어 교과서 편찬과 우리말을 되찾는 작업을 시작했다. 또한 1948년 10월 9일에는 ‘한글 전용에 관한 법률’ 이 공포되었는데, 48년 이후의 한글 전용 관련 정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교육 한자 1000자 제정
2) 국무회의, 한자 사용 채택
3) 임시 제한 한자 일람표 제정
4) 한글 전용 적극 촉진에 관한 건 의결
1956년 이승만 대통령 한글 전용에 관한 담화 발표
참고문헌
※ 참고문헌
허만길 『한국 현대 국어 정책 연구』, 국학자료원, 1994.
고영근 『통일시대의 어문문제』, 길벗, 1994.
박봉배, 「우리말·우리글은 국민학교 때부터 바르게 가르쳐야 한다」, 말글정책강연회
김정흠, 「국한문혼용에 대한 과학적 고찰(43회)」, 한국어문교육연구회(어문연구, 통권 제42호, 제43호 합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