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전용과 한글 한자 혼용의 장단점 한자 교육의 찬성과 반대 한글 전용과 한글

 1  한글 전용과 한글 한자 혼용의 장단점 한자 교육의 찬성과 반대 한글 전용과 한글-1
 2  한글 전용과 한글 한자 혼용의 장단점 한자 교육의 찬성과 반대 한글 전용과 한글-2
 3  한글 전용과 한글 한자 혼용의 장단점 한자 교육의 찬성과 반대 한글 전용과 한글-3
 4  한글 전용과 한글 한자 혼용의 장단점 한자 교육의 찬성과 반대 한글 전용과 한글-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글 전용과 한글 한자 혼용의 장단점 한자 교육의 찬성과 반대 한글 전용과 한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글 전용과 한글 한자 혼용의 장단점
-한자 교육의 찬성과 반대-
Ⅰ. 한글 전용과 한글 한자 혼용
1. 한글 전용 관련
2. 한글 한자 전용 관련
3. 같은 주제 다른 의견
4. 조원들의 생각
Ⅱ. 한자 교육의 찬성과 반대
1. 국한문 혼용에서의 한자교육 관련 의견
2. 조원들의 의견
Ⅰ. 한글 전용과 한글 한자 혼용
1 한글 전용 관련
한글 전용이란 우리가 글을 쓸 때 한자를 사용하지 않고 우리 글로 표현을 하자는 것과 한글과 한자가 혼용되던 100여 년 전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한글이 좀 더 대중적으로 쓰이기 위해서 노력해 와서, 한자와 함께 쓰이는 많은 부분은 한글로 표현하고자 했으며, 그러한 운동이 한글 전용논의 핵심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글 전용의 장점은 한글로만 모든 표기가 이루어진다면, 초등교육만으로도 읽고 쓰는 데 불편함이 없을 것(즉, 쉽게 읽고 쉽게 쓸 수 있다는 점과 한글이 창제된 이후, 한글로 인해 많은 이들의 문맹률을 낮추었다는 점)과 정보의 처리가 빨라질 수 있다는 점(한글전용으로 문자를 표기할 경우, 일일이 한자어를 한자를 찾아서 바꾸거나 써야만 하는 수고로움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빨리 문서를 작성할 수 있음), 외국인들이 우리말을 표기하는 것이 좀 더 용이해질 것(국한문혼용으로 문자를 표기한 것보다 한글전용으로 표기된 것이 외국인들에게는 좀 더 쉽게 다가올 것이기 때문에, 언어의 파급효과가 더욱 커질 것), 종합하여 설명하자면 경제성 및 전산화 용이성 - 실제 사용 시 편의성, 입력 시간 단축 등의 이득이 있습니다. 한글은 컴퓨터 입력 시 두벌식, 세벌식 모두 글자판에 있는 입력키로써 모든 현대 한글 조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환경뿐만 아니라, 기본 문자 체계로서도 한글 전용은 상당히 사용이 쉬운 편입니다. 조합된 글자 하나하나는 형상이 복잡하지만, ㄱㄴㄷ 등 기본형은 오히려 알파벳보다도 숫자가 적고 형태도 더욱 간단한 기하학적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배우기 쉽고 쓰기 쉽고 말하기 쉬운 최적화된 표기법이라는 것이며 단점으로는 동음이의어(서로 의미가 다르지만 소리가 같은 단어들을 말)로 인한 혼돈스러운 상황이 생길 수 있고, 기존에 사용하던 한자어와 한글전용어가 충돌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한자로 된 전문용어도 많이 남아있어 법의 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며 한자로 표기하지 않으면 낱말의 의미가 모호해지고, 혼동이 오는 낱말의 수가 많기에, 한글전용으로만 써졌을 경우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동음이어에 관해서 한글 전용을 주장하는 쪽에서는 동음이의어는 어느 언어에도 있는 것이고, 단어는 독립적으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맥락 속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그 맥락을 따져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2. 한글 한자 혼용 관련(국한문 혼용체)
한글 한자 혼용이란 한글과 한자를 섞어 쓴 것으로 혼용의 정도에 따라, 한문에 한글로 토를 붙인 초기의 단계와 한글위주로 한자를 조금 섞은 후기의 형태로 구별할 수 있지만, 보통 모두 포괄하여 한글 한자(국한문) 혼용(체)라 부름이다. 한글 한자 혼용의 장점은 글의 의미가 분명해진다는 것과 한자를 섞어 씀으로써 앞서 이야기했던 동음이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으로 모호한 의미가 더욱 분명해지고 글쓴이의 의도가 더욱 선명하게 부각되며 한자 문화권으로서의 자긍심을 가질 수 있다는 점(즉, 한글 전용으로만 표기할 시 중·일에 비해 한자지식이 부족하여 자긍심을 가지기 어려울 것)과 한글과 한자를 적당히 조화시켜 사용한다면 더욱 더 실용적인 단어가 탄생할 수 있을 것이고 국어사전에 나와 있는 우리말 낱말의 60%이상이 한자 한글전용어입니다. 그리고 단점으로는 한자를 알아야만 의미의 이해가 가능하다는 이야기와 마찬가지이므로, 어렸을 때부터 한자 조기교육이 필요하여 자칫 높은 교육을 받은 이른바 특권계층(엘리트)만을 위한 문자표기가 될 수 있다는 점과 외국인이 우리말을 배우기가 무척 어려울 것이라는 점은 언어를 좀 더 많은 이들에게 쓰이게 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배우기 쉽고 편해야 하는데 국한문혼용은 그러한 부분을 무척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으며 한자는 사람들이 보기 어렵고 복잡하다고 느끼면서, 순수한 한글을 사용하지 않아 고유어를 파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3. 같은 주제 다른 의견
훈민정음 창제 이유에서는 훈민정음은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창제 ↔ 한글로만 글을 쓰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한자를 보급하기 위한 보조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창제
역사적 측면 : 역사를 배우는 사람은 한자를 알아야겠지만, 일반인들은 한자를 굳이 알 필요가 없다 ↔ 수천 년 동안 한문으로 기록되어 온 문화유산을 이해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한자가 필요
시각적 측면 : 한국어 사용자에게는 획이 많고 어려운 한자가 전혀 언어적으로 인지되지 않으며, 단지 해당 글자 모양만을 보고 그 모양과 함께 주입·암기된 인상들을 떠올리는 식으로밖에는 기능하지 못함(표현된 언어의 명확성과 체계성을 떨어뜨림) ↔ 고유어와 한자어가 시각적으로 구분이 되어, 글을 읽는 데 도움을 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