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

 1  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1
 2  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2
 3  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3
 4  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4
 5  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5
 6  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6
 7  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7
 8  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8
 9  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9
 10  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교 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유교윤리와 한국의 자본주의
1. 서론
현대사회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자본주의를 논하지 않는다는 것은 재료 없이 요리를 하겠다는 것과 같다. 마르크스는 일찍이 사회는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누어져 있으며,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결정한다는 논리를 폈는데 이 때의 하부구조는 사회의 경제구조를 뜻하며, 자본주의는 하부구조에 해당한다. 마르크스의 논의를 꼭 고정불변의 진리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겠지만 그의 이런 주장은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만큼 우리는 경제구조가 사회구조에 큰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자본주의는 단순한 경제구조 뿐만 아니라 공산주의와 대립되는 개념으로서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미국의 자본주의와 소련의 공산주의로 상징되는 이데올로기의 대립은 전세계 역사에서 제2차 대전이라는 비극 이후 ‘냉전’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소리없는 전쟁을 촉발시켰으며, 특히 한국은 자본주의의 남한, 공산주의의 북한으로 나뉘어져 동족상잔의 비극을 일으키기에 이른다. 그런면에서 한국에서 자본주의란 단순한 경제구조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데올로기적인 의미 뿐 아니라 민족적인 의미까지 담긴 강한 의미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박정희의 쿠데타에 이은 군사정권의 등장과 전세계 역사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자본주의적 성장, 러시아·중국·일본·미국 등의 공산주의·자본주의의 대립각이 공존하는 지정학적 위치는 한국의 자본주의에 특수한 의미를 부여한다.
20세기 후반 한국을 포함한 대만, 싱가포르, 홍콩 등의 개발도상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면서 전세계의 주목을 끌게 되었는데, 이들이 모두 동아시아에 있는 개발도상국이었다는 점에 학자들은 주목했다. 이에 대한 설명 방식으로는 현재는 정치적으로는 정부의 권위성, 경제적으로는 개발도상국의 후발주자로서의 이익 등 다른 설명 방식이 있었으나 당시에는 4개의 국가들을 잇는 ‘아시아적 가치’의 존재에 주목했다. 특히 자본주의에 대한 남다른 의미가 있는 한국에서는 우리의 전통의 가치인 ‘유교 자본주의’가 성장의 원동력이라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매력있는 이야기였던 것이다.
그러나 어느순간 ‘유교 자본주의’에 대한 논의는 흔적없이 사라지고 우리 고유의 가치가 자본주의 발전을 견인했다는 자긍심 높은 사상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사람도 없어졌다. 국민호, 「유교와 동아시아 자본주의 발전」,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1995년 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요약집』, 1995, 176쪽
혜성처럼 나타났다가 갑자기 사라진 유교 자본주의의 본질은 무엇이며, 왜 갑자기 사라졌던 것일까?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유교 자본주의란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이었고 그 한계는 무엇이었는지 유교 자본주의에 대해 총체적으로 밝혀내려는 것이 본 보고서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2. 유교자본주의 개념의 발생과 소멸
가. 개념정의와 그 개괄적인 역사
가장 처음 동아시아 경제발전의 원인을 구하려고 했던 것은 다름 아닌 서구의 학자들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이 무시할 수 없는 세계 경제 대국으로 떠오르면서 서구 학자들의 1차적인 연구목표는 ‘일본이 어떻게 다른 여러 동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자본주의를 발전시킬 수 있었는가’로 시작되었다. 유교 문화의 경제 발전에의 기여에 대한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한 대표적인 학자로는 허만 칸(Herman Kahn), 피터 버거(Peter Berger) 등이 있다. 한편 개념의 확산에 있어 크게 영향을 미친것은 학계보다는 언론이었다. 1977년 『타임』, 『뉴스위크』지 등 미국 주요 언론에서 한국의 유례없는 경제성장의 원인으로 유교 전통을 주목했고, 일본에서도 일찌감치 “영국의 자분주의를 신교 자본주의라 한다면, 일본의 자본주의는 유교자본주의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체적인 분석이 나왔다.
그리고 뒤이어 한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 등 일명 ‘동아시아의 네 마리 작은 용’이 신흥 공업국으로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함에 따라 이전까지 근대화와 자본주의의 발전을 위해서는 마땅히 극복해야 할 것으로 여겨졌던 유교(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유학으로서의 주자학)에 대한 재해석이 급물살을 타게 된 것이다. 1980년대에 이르자 한 외국인 학자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의 선택적 친화성을 논한 막스 베버의 연구와 비교하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태평양 연안의 수백만 가구들이 이와 같이 자진해서 열심히 일하며 희생하는 정신을 발휘하게 하였던 것을 우리는 ‘유교적 노동윤리’라고 이름 할 수 있을 것(David Aikman, 1986, 재인용)” 김석근, 「유교자본주의? 짧은 유행과 긴 여운 그리고 남은 과제」, 예문동양사상연구원, 『오늘의동양사상』, 제14호 2006, 61-80쪽
이라고 명명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김석근, 「유교자본주의? 짧은 유행과 긴 여운 그리고 남은 과제」, 예문동양사상연구원, 『오늘의동양사상』, 제14호 2006, 61-80쪽
* 김영명, 「유교적인 것이 동아시아와 한국의 자본주의를 설명할 수 있는가?」,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전망』, 통권 제48호 2001, 132-136쪽
* 국민호, 「유교와 동아시아 자본주의 발전」,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1995년 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요약집』, 1995, 173-181쪽
* 유석준, 「[동아시아의 성공과 좌절] ‘유교 자본주의’와 IMF 개입」, 한구비교사회학회, 『비교사회』, 통권 제2호, 1998, 149-170쪽
* 국승규, 「연구논문 : 자본주의 맹아 과정에 나타난 기독교(基督敎)와 유교(儒敎)가 각각 중세(中世)유럽과 조선시대(朝鮮時代)에 미첬던 사회사상(社會思想)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인체과학연구소, 『원광인체과학회지』, 2011, 12권 1호, 77-97쪽
* 김일곤, 「유교적 자본주의의 인간존중과 공생주의」,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 제2호』, 1994, 28-60쪽
* 유석춘, 최우영, 왕혜숙, 「유교윤리와 한국 자본주의 정신 : 효(孝)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제39집 제6호, 2005 52-86쪽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