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

 1  [동양철학]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1
 2  [동양철학]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2
 3  [동양철학]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3
 4  [동양철학]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4
 5  [동양철학]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5
 6  [동양철학]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6
 7  [동양철학]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7
 8  [동양철학]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철학]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
2. 유교자본주의론의 전개 과정
(1) 서양
(2) 일본 - 유교르네상스와 유교자본주의
(3) 현대신유가 - 유교 현대화와 유교자본주의
(4) 한국

Ⅲ.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유교자본주의론은 대체적으로 동아시아의 자본주의적 경제발전을 해명함에 있어서, 문화적 접근법을 견지하여 유교문화를 이 지역의 문화적 공통인소로 파악하고 그것을 경제발전의 동인으로 제시하는 이론이다.
유교자본주의론의 사상적 연원 및 모태는 5․4 운동 이래 형성된 현대신유학이다. 이중에서도 특히 현대신유가로부터 유교자본주의론이 제기될 수 있었던 직접적인 배경은 1960, 1970년대 이른바 유교 문화권이라고 일컬어지는 동아시아의 일본을 위시한 한국․대만․홍콩․싱가포르 등 소위 신흥공업국들(NICs)의 비약적인 경제발전이다. 학자들은 “수많은 비서구 국가들 중 왜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들만이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하면서, 여타 국가들과는 달리 동아시아 신흥공업국들만이 가진 특성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발견된 요인들 중 핵심적인 것이 바로 유교였다. 유교자본주의란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한 것이다. 동아시아 지역의 두드러진 경제발전 현상에 대한 해명에는 크게 두 가지 접근법이 있다. 구조적 해석과 문화적 해석이 그것이다. 구조적 해석은 일종의 정치․경제적 접근법으로 경제제도와 정치체제 등의 안정성 내지 자본주의 발전에 적합한 요인들을 제시하고 이것을 동아시아 경제발전의 일의적이고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는 입장이다. 반면에 문화적 해석은 구조적 해석에서 이미 제시된 요인들을 긍정하면서도 심층적으로 그러한 구조적 요인을 낳을 수 있게 하였던 문화적 요소를 동아시아 경제발전의 궁극적이고 일의적인 원인으로 본다. 그리고 이들이 말하는 문화적 요소란 유교윤리로 대표되는 유교문화이다. 양자의 접근법은 모두 다른 한 측면을 전적으로 부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두 가지 중요한 요인 중에서 어느 것을 동아시아 경제발전의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보는가 하는 점에서 갈라진다.

본론에서는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본 론

1. 유교자본주의론의 성립 배경

동아시아의 경제와 정치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에 걸쳐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고, 동아시아 전반의 정치, 문화가 서구의 열강에 의해 지배당하면서 유교는 쇠퇴하기 시작한다. 1958년의 동서양 학자의 움직임은 이러한 유교의 쇠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해 원단을 맞은 동양에서는 뒤에 수많은 동양학 연구자를 배출하게 되는 뛰어난 네 명의 스승-모종삼(牟宗三)․서복관(徐服觀)․장군매(張君邁)․당군의(唐君毅)-의 입을 모아 세계 인민들에게 유교 부흥의 가능성과 당위성을 선언하였던 반면, 서양에서는 당시 미국의 중국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였던 레벤슨(Joseph. R. Levenson)이 ‘유교의 사망’을 선고하였던 것이다.
당시의 시대상으로 보아 결과는 동양학 연구자들에게 매우 비관적이었다. 유교 종주국 중국은 우파의 색출로 끝이 난 백화 운동을 마감하고 혁명을 심화시키기 위한 대약진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일본이 약간 달랐던 것을 제외하면 유교 전통을 가진 어느 나라에서도 부흥의 조짐은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이 시점에서 유교 전통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기억하고 싶지 않은 것이었고, 오히려 현대화에 대한 필요성은 유교가 현대 국가에 필요한 요소들과 조화될 수 없는 것으로 이해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