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

 1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1
 2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2
 3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3
 4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4
 5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5
 6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6
 7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7
 8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8
 9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9
 10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10
 11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11
 12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12
 13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13
 14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14
 15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15
 16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16
 17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점자 지도 점자의 발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점자 지도
Ⅰ. 점자의 개요
1. 점자의 발달
시각장애학생들이 사용하는 점자(點字)는 촉각으로 읽는 문자이며, 정안학생들이 사용하는 일반문자 즉 묵자(墨字)는 시각으로 읽는 문자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점자가 창안되기까지 촉각적인 인지의 특수성 때문에 수세기 동안 실험이 거듭되어 왔었다.
역사적으로 맹인문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로마시대의 수사학자인 콘티리아누스(M. F. Quintilianus)인데, 나무, 상아, 금속판에 일반 문자를 양각으로 조각을 하여 맹인들이 만져서 읽을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한 바, 이것을 ‘tabella라고 불렀다(김동연, 1991).
그리고 4세기경 맹인이며 신학자이었던 알렉산드리아의 디디무스(Didymus)는 자신이 사용하기 위해 알파벳을 목판에 조각하여 문장을 만들어 독서를 했으며, 그 후에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나무껍질에 조각한 철요형의 문자 지도나 평판 위에 양초를 칠하고 철필로 문자를 쓰는 방법 등 시대에 따라 맹인이 촉각에 의해 읽고 쓰는 방법론에 대해 수많은 실험들을 해 왔었다.
1670년 이탈리아의 라나테르지(Francesco Lana-Terzi)는 점과 선을 조합하여 구성한 알파벳 형식을 제안하였는데, 이것이 소위 점자의 시작이 되었다. 이것은 맹인이 중복으로 쓰는 것을 막고 바르게 쓸 수 있도록 줄 사이에 철선 혹은 현을 붙들어 매어 사용하였다. 즉, 두 개의 평행선을 긋고 구획을 정하여 그 구획의 공간 내에 철각 또는 요각의 알파벳의 문자를 배치하여 읽고 쓰기 하는 것으로 맹인의 일반 문자 쓰기 최초의 학습도구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세계 최초로 프랑스에서 파리맹학교를 개설한 아우이(Valentin Hauy)는 여러 가지 맹인의 표기문자를 사용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예리한 기구를 지면에 눌러서 일반문자의 형태를 그대로 쓰거나 핀이나 바늘을 사용하여 종이에 쓰거나 잉크 또는 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 등이었다. 이것은 이 후의 선문자나 침문자와 같이 정안인의 입장에서 만들어져 비합리적인 표기법임을 인지하였기 때문에 후에 점자를 만드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김태욱, 김동연, 1981).
2. 점자의 창안
가. 외국
세계 최초의 점자는 1825년 프랑스 포병장교였던 바르비에(Charles Barbier)가 군사용으로 개발한 점문자체인 세로 6점에 가로 2줄의 12점형 점자이었다. 처음 이 12점 점자는 맹인용 문자로서 고안한 것이 아니라, 전쟁 중 군대의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군사용 메시지 전달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다. 12점 점자는 얇은 판지 위에 양각으로 점을 조합시켜 문자로 구성되었는데, 야간에도 손가락 끝의 촉각으로 지시를 해독할 수 있었다. 그래서 바르비에는 이것을 ‘야간문자’(Henri, 1984)라고 명명했다.
그 후 바르비에는 이 점자가 맹인용 문자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여 파리맹학교에 사용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파리맹학교의 교장은 12점 점자는 문자의 구성이 복잡하며, 읽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등의 몇 가지 결함을 지적하고 사용 요구를 거절했으나, 바르비에의 끈질긴 교섭으로 1821년에 새로이 부임한 교장이 교사와 학생들에게 12점 점자의 구성 원리를 설명하고 실제 점자를 보여 주었다.
이 때 맹학생이었던 브라이유(Louis Braille)는 처음으로 12점 점자를 만져 보고, 지금까지 학습해 온 양각문자와 전혀 다르며 촉각에 적합한 문자라는 것을 직감했다. 브라이유는 우선 12점 점자를 습득하여 읽기와 쓰기 연습을 거듭하는 동안 12점 점자에는 많은 결점이 있다는 것을 절감하고, 맹인용 문자로서 사용하기 위한 개선을 위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특히 브라이유가 지적한 12점 점자의 결점을 바르비에도 인정하여 본격적인 점자 개선 연구에 전력하는 계기가 되었다.
브라이유가 주력한 연구는 점이 차지하는 공간을 가장 작게 하는 것과 문자를 구성하는 점을 적게 하는 것으로, 12점 점자는 맹인의 손가락 끝으로 촉지하기는 너무 커서 한 번에 지각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12점 점자를 반으로 나누어서 세로 3점, 가로 2점의 6점을 기본형으로 만들었는데, 이 점자가 오늘날 전 세계 맹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6점 점자로, 이 때가 1823년 8월인 브라이유가 만 14세 나이로서 바르비에의 점자를 처음 만져본 후, 2년 반 만이었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교육부. (1998). 특수학교교육과정(별책1). 서울 : 선명인쇄주식회사.
교육부. (1998). 특수학교교육과정(별책2). 서울 : 선명인쇄주식회사.
. (1998). 초등학교교육과정해설(Ⅲ). 서울 : 서울특별시인쇄공업협동조합.
. (1998). 초등학교교육과정해설(Ⅴ). 서울 : 서울특별시인쇄공업협동조합.
. (1999). 특수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 (1999). 특수학교 교육과정 해설(Ⅱ).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김동연. (1991). 시각손상아의 지도. 대구 : 동아문화사(p. 55).
김태욱, 김동연. (1981). 점자발달의 과정. 대구 : 대구대학교출판부, 1981.
문교부. (1989). 특수학교교육과정기준(시각장애).
오금석. (2000). 점자의 크기별 점독 속도와 오독률. 제16차 점자학술대회(pp.31-47). 대구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이해균. (2000).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점자지도의 방략. 제16차 점자학술 대회(pp.49-73). 대구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이해균. (2000). 시각장애아 교육. 최중옥(대표저자). 특수아동의 이해와 교육(pp. 260-298). 서울 : 교육과학사.
임안수. (2000). 시각장애아교육 기초. 서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정광윤, 서인환(공역). (2000). 특수교육공학. 서울 : 한국맹인복지연합회.
한국점자연구위원회. (1994). 개정한국점자통일안. 서울 : 재활공학.
木塚泰弘. (1994). 点字の物理的性質. 敎師敎育敎材. 東京 : 財團法人 放送大學敎育振興會.
小林一弘. (1990). 石川倉次, ルイブライユ評傳. 障害者の福祉.10(8). 東京 : 日本障害 リハビリテション者協會.
加藤俊和. (1990). 点字情報機器. 日本の点字, 16. 東京 : 日本点字委員會.
大山信郞佐藤泰正. (1978). 視覺障害の敎育と福祉. 東京 : 圖書文化.
文部省. (1995). 点字學習指導の手引. 東京 : 慶應通信株式會社.
.(1996). 視覺障害兒のための言語の理解と表現の指導. 東京 : 慶應義塾大學出 版會株式會社.
放送大學敎育振興會. (1997). 敎師敎育敎材. 千葉 : 放送敎育開發センタ.
Henri, P. La Vie Et Lceuvre De Louis Braille. 奧寺百合子(譯). (1984). 点字發 明者の生涯. 東京 : 朝日新聞社.
Bliss, J. C. & Crane, H. D. (1969). Tactile perception.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Research Bulletin, 19, 269-274.
Foulke, E. (1983). Reading braille. In W. Schiff & E. Foulke(Eds.), Tactile perception: A source book(pp. 168-208).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Heather, M., & Stephen, M. (1997). Visual Impairment. London : David Fulton Publishers.
Lazzaro, J. J. Adaptive Technologies for Learning & Work Environments. 정광윤, 서인 환(공역). (2000). 장애인과 적응공학. 서울 : 한국맹인복지연합회.
Lowenfeld,B. (1993).TheVisuallyHandicappedChildinSchool.NewYork:
An intext Publisher.
Mangold, S. S. (1982). A Teachers Guide to the Special Educational Needs of Blind and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New York :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Inc.
Nolan, C. & Kederis, C. (1969). Perceptual factors in braille word recognition. New York: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Pring,L. (1985).Processesinvolvedinbraillereading.JournalofVisualImpair- ment & Blindness, 79, 252-255.
Scholl,G.T.(1986).FoundationsofEducationforBlindandVisuallyHandi- capped Children and Youth. New York :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Inc.
점자 사용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