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생태학 우리 전통 속의 생태사상

 1  한국의 전통생태학 우리 전통 속의 생태사상-1
 2  한국의 전통생태학 우리 전통 속의 생태사상-2
 3  한국의 전통생태학 우리 전통 속의 생태사상-3
 4  한국의 전통생태학 우리 전통 속의 생태사상-4
 5  한국의 전통생태학 우리 전통 속의 생태사상-5
 6  한국의 전통생태학 우리 전통 속의 생태사상-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전통생태학 우리 전통 속의 생태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1부 우리 전통 속의 생태사상
생태학은 옛 사람의 삶 안에 있었다
전통경관에 나타난 생태 개념
우리가 쓰는 행정 구역의 단위 중에는 동(洞)이라는 한자가 있다. 동이라는 한자를 뜯어보면 사용하는 물(水)이 같은(同) 곳이라는 뜻이 들어있는데, 이는 곧 하나의 ‘유역’안에 들어 있다는 뜻이다. 흔히 쓰는 ‘동네’라는 말은 한 유역 안에 위치하여 같은 물을 공유하는 단위라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인간의 삶은 물질과 에너지, 정보의 흐름으로 이루어지는데 그중에서 우리가 가장 쉽게 인식하는 것은 물질이며, 물질 중에서도 물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보고 사용한다. 과거에 농사를 짓던 시절에 사용하는 물이 같다는 것은 물을 매개로 만날 기회가 많다는 뜻이고 만남이 많다는 것은 정보교환이 원활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같은 물을 쓰는 장정들은 만나서 농사 정보를 교환했고 아낙들은 빨래터와 우물가에 모여 이 간의 정리를 나누었다.
경관 짜임
우리나라 전통 마을은 배산임수(背山臨水)를 지형적 입지 상황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공간 배치에서 마을과 농경 지역, 산림 그리고 하천 등은 조화롭게 하나의 경관 짜임을 이루었다.
식생 완충대
전통 농촌 경관에 흔히 나타나는 마을 숲의 특징은 대부분 배산임수라는 전통 입지관에 바탕을 두고 시야가 트인 부분을 막기 위해 마을 앞을 가로지르는 띠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라북도 진안에는 지금도 비교적 많은 마을 숲이 남아있고, 전라남도 담양읍을 가로지르는 담양천에는 둑을 따라 대략 2km정도의 숲 띠가 우거져 있다. 또한 경상북도 안동 하회 마을 근처에는 소나무 숲으로 이루어진 식생 완충대가 있다.
2. 풍수지리의 환경 사상
풍수지리설의 기원과 한국에서의 수용 과정
풍수지리설은 옛 사람들의 주거지 선정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중국 황토 고원에 살던 사람들이 요동을 지을 터를 잡고 황토 속으로 굴을 파서 방을 만드는 데에서 비롯된 소박한 기술이 음양오행설의 이론적인 뒷받침을 받게 되어 풍수지리설로 자랐다고 생각된다.
풍수의 환경 친화적인 환경 관리 방법
현대 환경 관리 이론에 있어 ‘환경 친화적’이란 말은 이미 유행어같이 된 지 오래이다. 자연 자체뿐만이 아니라 인간 사회 자체의 존립을 위해서도 하나밖에 없는 지구, 파괴되기 쉬운 자연을 착취의 대상으로만 생각하고 마구 다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풍수적인 환경 관리 방법에서 우리는 산에 나무를 심는다든지, 산을 해치지 않기 위하여 금산(禁山) 조치를 취한다든지, 하천의 수로를 청소하든지 하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