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

 1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1
 2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2
 3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3
 4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4
 5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5
 6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6
 7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7
 8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8
 9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9
 10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10
 11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11
 12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12
 13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13
 14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14
 15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15
 16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16
 17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17
 18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18
 19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19
 20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학습자의 정의 적특 성도 덕성에 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도덕성에 관하여
*
1장 현대한국사회의 특징과
학교도덕교육의 과제
1. 한국사회의 도덕적 현실과 도덕교육의 중요성
1) 한국사회의 산업사회적 특징
산업사회는 인간을 기계에 종속시켰다
-> 인간조차 기계에 의하여 조정될 가능성
자연 환경을 무자비하게 파괴하여 생태학적 위기를 초래
-> 결국 인간에게 위험성 전이
물질 문명 속에서 찰나적 감각과
향락적 쾌락을 우선하는 풍조에 휩쓸림
물질 만능 주의가 만연하고 상대적 박탈감의 심화나
빈부 계층 사이의 깊은 위화감으로 발전
-> 공동체 내의 분열과 폭력적 대립
조직사회의 관료적 조직체
-> 몰인격성, 비인간화, 기계적 관계강요,
인간이 수단으로 전락
정치사회적 조작, 상업주의
-> 향락적 퇴폐풍조, 인간 획일화
대중사회의 역기능
-> 익명의 다수로 이루어져 진정한 마음을 나누는 관계 X,
군중속의 고독
*
2) 한국사회의 역사적 발전과정의 특징
일제강점기 :
일본 제국주의 침략으로 민족의 정신문화 말살
-> 전통과 문화의 단절 야기
-> 한국인의 의식구조를 허약하게 만듦
광복 :
급속한 서구화
-> 의식은 전통성 지배, 생활방식은 서구적
-> 괴리, 가치관의 이중성
-> 그러한 의식 및 가치관의 혼란이 주체적 자각에 의해 제대로 극복되지 못한 채 지속되어옴
광복 이후~6.25전쟁 :
경제적으로 극도로 궁핍해짐
-> 과업지향적 가치X, 지위지향적 가치 중시, 돈이면 다 된다는 생각 만연
1960년대 :
정신문화의 발전과 물질적 풍요를 새로운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시도
-> 그러나 관주도로 이루어짐(위로부터의 개혁), 경제발전과 물질적 풍요에 더욱 관심을 둠
-> 산업주의라는 일면성에 치우침
-> 수단적 합리성 지향 진정한 의미의 삶의 질 향상 X
발전 단계에서 물질적 풍요만 강요한 결과
‘발전의 비윤리성’을 결과하게 됨.
그에 따른 물질적 가치 우선시, 생명경시풍조,
천민자본주의가 나타나게 됨
*
3) 한국사회의 도덕적 현실과 문제
물질적 가치를 우선하는 사회로 발전하다 보니
전통적 가치관이 많이 약화.
건전한 근로정신 대신 적당주의, 한탕주의가 팽배해있다.
협력하려는 자세도 갖지 않고,
돈의 문화에 휘둘리고 있다
(청소년 탈선, 사치성 향락 산업 등).
*
4) 학교 도덕교육의 중요성과 역할
우리 사회의 도덕적 문제의 근원
-> 도덕적인 인간을 참으로 길러냈느냐 하는 문제
지난 세월 동안 우리는 윤리적 삶의 자세를 지닌 인간들을 길러내지 못함.
변화된 사회적 조건과 사회 구성원들의 가치관, 의식 구조, 행동 방식 사이에
괴리와 불일치가 노정되어 이른바 윤리적 지체 결과, 가치 혼란, 비인간화 야기
사회를 구성하는 개개인이 건전한 도덕적 신념 체제를 갖고
인격의 통합을 기하도록 돕는 동시에,
그 개개인이 바람직한 사회를 성립시키는 원리를 공유하고
또 그것에 기꺼이 따르는 성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덕적인 인간과 사회를 함께 구현하는 데 공헌해야 한다.
도덕교육의 필요성
*
2. 학교 도덕교육의 과제
1) 학교 도덕교육의 지향점으로서의 민주시민
도덕교육은 무엇보다 먼저 민주 시민을 지향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민주시민이 도덕적 인간의 특성과 모습을 구체화하는 의미가 있기 때문.
우리의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 모습이 도덕성과 공동체 의식이
투철한 민주시민을 그 핵심 조건으로 하고 있다면
학교 도덕교육이 ‘민주시민’을 지향하는 전체적인 틀 속에서
그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21세기에 예측되는 한국사회의 변화는 사회에 적응하여
보다 발전된 삶을 이끌어 갈 시민적 자질을 필요로 한다.
*
2) 현명하고 책임 있는 시민의 육성
먼저 인간과 사회에 대한 기본 관점을 바르게 형성하도록 하는 한편
민주주의의 핵심적인 원리와 가치를 신념화하고 소중히 하며
그것에 헌신하려는 자세를 지니도록 해야 한다.
열린 정신과 비판적 이성을 지니도록 해야 한다.
갈등의 창조적 해결 능력을 길러야 한다.
도덕교육은 책임 있는 시민의 육성을 지향해야 한다.
도덕사회화 필요
*
도덕사회화 : 자신이 태어나기 이전부터 이미 존재해 있는
그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입문됨을 의미
규율정신 : 도덕규범의 규칙성과 그 명하는 바를 의무로 받아들이고
그것에 따르려는 경향성
->사회도덕의 근본요소, 공동생활에서 필수적 요소
(규칙뿐만 아니라 도덕적 명령을 의무감에서 실행하는 시민적 자질을 기름)
사회집단에의 애착 : 인간이 다른 인간에 대해 공감하고 헌신하며
이타심을 발휘하는 성향의 총체, 일간의 본질적인 사회성을 계발
-> 진정한 공동체 의식 함축
사회성은 인간의 본성으로
인간은 사회 속에서 인격을 형성한다.
사회 속에서의 타인과의 교류가 인간의 원초적 본성인
공감성과 이타심을 계발하는 계기가 된다
-> 공동의 복지 추구, 연대감 형성
한 사회가 민주적으로 운영되려면
먼저 안정된 질서와 공동체의 통합의 전제조건 요구
*
그러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규율정신과 사회집단에의 애착이 있어야 하는데 도덕 교육으로 그것을 길러주어야 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