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 비교

 1  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 비교 -1
 2  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 비교 -2
 3  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 비교 -3
 4  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 비교 -4
 5  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 비교 -5
 6  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 비교 -6
 7  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 비교 -7
 8  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 비교 -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 비교
  • [동양사, 상앙병법, 거록전, 진의 멸망, 황제, 신상필벌, 묵가, 유가, 거자, 춘추시대] [중국사] 요약 정리(춘추시대, 유가사상, 묵가사상,군자와 현자의 비교, 상앙병법, 황제지배 체제의 속성,진나라의 멸망원인)
  • [인문, 철학, 중국철학, 묵자] 묵자의 철학
  • 동양철학산책3공통-맹자가 양주와 묵적을 비판이유를 맹자입장에서 밝히고 맹자의성선설정치철학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개진해보시오0k
  • [교육사상][교육철학]노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공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묵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맹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장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순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한비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분석
  •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노자와 공자,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묵자와 맹자,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장자와 순자,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한비자,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주자 분석
  • 노자,공자 교육철학(교육사상), 묵자,맹자 교육철학(교육사상), 장자 교육철학(교육사상), 순자 교육철학(교육사상), 주자 교육철학(교육사상)
  • [독후감, 감상문, 맹자, 맹자와 공자, 맹자그는 누구인가] 맹자 독후감 A++100%%
  • 묵가 사상
  • 성선설 성악설
  • 소개글
    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 비교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서론
    과거 중국 사상가들은 각자 자신의 사상을 확립하고,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제시하며 백성들이 이를 실천하도록 강조하였다. 공자는 인의예지(仁義禮智)와 정명사상을 내세워, 백성과 나라를 예로써 다스리고자 하였다. 맹자는 공자가 중시한 인(仁)과 더불어 의(義)를 강조하며 민본주의를 중심으로 한 사상을 전개하였다. 한편 노자는 무위(無爲)와 도(道)를 강조하여 자연 그대로의 삶을 추구하였고, 무지(無知)가 진실한 앎이라고 여겼다. 또 묵자는 유가의 인(仁)과는 달리, 겸애(兼愛)사상을 토대로 백성들과 소통하며 화목하게 지내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사상가들은 각자 다른 자신의 사상을 언급하였고, 삶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자신이 생각한 이상사회를 이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주요 중국사상가들의 다양한 교육사상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예비 윤리교사로서 다양한 지도법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조현규 저자의「동양교육사상」을 참고하여 여러 사상가들 중 다른 점이 많았던 맹자와 묵자의 교육사상을 비교하며 정리해 보고자 한다.
    Ⅱ. 맹자는 어떠한 교육을 강조하였는가?
    (1) 맹자의 교육적 생애
    맹자는 맹모삼천(孟母三遷)의 일화로 유명하다. 이 일화는 맹자가 어렸을 때 그의 어머니가 주변 환경의 중요성을 알고 아들의 교육환경을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이야기이다. 이렇게 맹자는 어머니의 노력으로 공부하기 좋은 환경에서 학문을 성취해가며 자랐다. 맹자는 자사(子思)의 문인에게서 수학하였고, 항상 공자를 공경하여 훌륭한 성인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학업에 몰두하였다. 당시 사회는 혼란하였고, 그릇된 여러 학설이 유행하여 분위기가 좋지 않았다. 따라서 맹자는 나라를 바로잡기 위하여 인의(仁義)로써 다스리고자 하였고, 왕도정치 사상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맹자는 자신의 사상을 들어 줄 제후를 만나지 못하였고, 결국 그의 사상은 비현실적인 이상주의로 여겨졌다. 만년에 고국으로 다시 돌아온 맹자는 제자를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며, 「맹자」7편을 편찬하여 자신의 사상을 정리하였다. 인간의 참된 마음과 본성이 어떠하며 그것을 어떻게 회복하고 유지할 것인가? 올바른 정치란 어떤 것이며 어떻게 해야 이룰 수 있는가? 바람직한 대장부의 삶은 어떠하며 그들의 역할과 책임은 무엇인가? 등의 문제를 진지하게 살펴보았다. 당시 맹자는 상당한 세력으로 맞섰던 묵가의 학설을 반박하는 데도 크게 공헌하였다. 그렇다면 과연 맹자가 유명해지기까지 커다란 구실을 했던 맹자의 교육사상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2) 맹자 도덕교육사상의 토대
    1. 천명설(天命說)
    공자의 천(天)사상을 계승한 맹자는 천에 대하여 “하늘의 위엄을 두려워하여 길이 나라를 편안케 한다.”, “천리에 순응하는 사람은 조속하고 천리를 거역하는 사람은 망한다.”, “길이 천명을 지키는 것이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하는 것이다.”라고 하여 공자가 강조한 주재적(主宰的) 천을 말하고 있다. 주재적(主宰的) 천은 인간의 의지나 노력으로 어찌할 수 없는 인간의 한계성을 드러내는 운명적(運命的) 천과는 달리, 종교적초월적 의미를 강하게 지닌 것이다. 또한 맹자는 “천하에 적이 없는 사람은 천명을 받아 다스리는 사람이니 그러고서 왕 노릇하지 못할 이가 없느니라.”라고 하였다. 여기서 ‘천하에 적이 없는 사람’은 인격적으로 완성된 사람을 의미하며, 인격적으로 완성된 사람이 왕자로 천명을 받는 것이며, 왕으로서의 기준은 바로 도덕적 완성에 있다고 여겼다. 더 나아가 맹자는 몸을 닦아서 천명을 기다리는 것은 천명을 확립하는 수단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즉, 인간의 수명도, 자손의 초불초도 다 천명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맹자는 무조건 천명에 모든 것을 맡겨 둘 것이 아니라 자신을 갈고 닦으면서 적극적으로 입명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맹자는 공자의 知命을 한층 더 발전시켜 입명을 말하였다. 그리고 맹자는 인을 행하는 근거로 진심지성과 존심양성을 언급하였는데, 이는 사람이 본래 하늘의 소생이고, 인의예지의 성이 근거한 심은 하늘이 나에게 준 것이라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즉, 맹자의 천은 존심양성의 수양을 통해 얻어지는 인간의 내재적인 천이라 할 수 있다. 천은 자신을 의식하여 나의 속에서 느껴지고 생각되는 자각된 것임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맹자는 인간의 내적인 도덕적 자각으로 인해, 외재적이고 형식적인 천 관념을 인간에 내재화하려고 한 것이다.
    2. 성선설(性善說)
    맹자는 인간의 도덕적 기준을 ‘인의(仁義)’에 두고, 도덕 성립의 근거로서 성선설을 제창하였다. 맹자는 다른 사람의 불행을 차마 보지 못하는 인간의 순수한 마음(心)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이러한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을 누구나 생득적으로 구유하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는 것이다. 사람의 본성이 선하다는 단서는 사단지심(四端之心)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맹자」에 보면, “측은한 사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맹자는 측은히 여기는 마음은 인(仁)의 시초요,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은 의(義)의 시초요, 사양하는 마음은 예(禮)의 시초요,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은 지(智)의 시초다.”라고 하여 사람은 누구나 사단을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난다고 하였다. 맹자는 사단의 선천적인 요소를 ‘양지(良知)’, ‘양능(良能)’이라는 말로 설명하였다. 양지, 양능이란 누가 시키지 않아도 어린아이가 제 부모를 따를 줄 아는 것처럼, 배워서 아는 것도 아니고 따져 봐서 할 수 있는 것도 아닌, 태어나면서부터 저절로 갖춘 것임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는 이 선천적 도덕본성은 반드시 후천적으로 함양하고 수양해야 한다고 보았고, 이상적인 세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인간의 선한 본성을 함양하고 수양하여 확충하는 방법이 최선이라고 주장하였다. 타고난 귀한 신분이 아니라 자신을 갈고 닦는 노력에 의해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다는 맹자의 주장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것이었다.
    (3) 맹자 도덕교육사상 이념목표내용
    1. 도덕교육사상 이념